무한정보제공

지식기반 빅데이터 및 공공오픈데이터 기술 및 정책정보

지구빵집 2017. 9. 4. 10:00
반응형




지식기반 빅데이터 및 공공오픈데이터 기술 및 정책정보


자료링크 :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KOSEN000000000000423 에서 원문보기 링크로 가시면 KOSEN 운영 페이지 링크 - http://www.kosen21.org/info/kosenReport/reportView.do?articleSeq=REPORT_0000000000423 으로 연결되는데 결국은 로그인 하고 다운 받아야 됩니다. ㅠ.ㅠ



빅데이터(Big Data)의 개념과 의의


□ 빅데이터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로는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하기 어려운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2)로, 최근 민간은 물론 정부 및 공공부문에서도 관심이 확대되고 있음


ㅇ 빅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소셜미디어, 멀티미디어 등을 통해 생성되고 제공되는 데이터 뿐 아니라 사무실이나 소매점 및 각종 센서 등을 통해서도 생성되고 축적된 데이터를 포함


ㅇ 이처럼 데이터량이 급증하면서 만들어진 빅데이터는 민간 부문 뿐 아니라 정부공공부문에서의 활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


- IDC(2011)3)에 따르면 세계 디지털 데이터량은 2011년 1.8제타바이트에서 2020년 35제타바이트로 19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국내 디지털 데이터량은 2006년 2.9엑사바이트에서 연평균 약 57% 증가하여 2011년 27엑사바이트에 달함.

- 2011년 기준 국내 디지털 데이터량은 국회도서관 장서 465만 권(2012년 6월 기준)이 가진 데이터량의 약 60만 배 수준


ㅇ McKinsey Global Institute(2011)에 따르면, 빅데이터 활용을 통해 민간부문은 물론 정부부문에서도 대규모 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공공부문의 경우, 미국의 헬스케어부문은 빅데이터의 활용으로만 3,000억 달러 규모의 가치창출이 가능할 전망이며, EU의 공공부문에서는 연간 2,500억 유로 규모의 가치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한편, 민간부문에서는 개인의 위치정보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연간 6,000억 달러의 소비자잉여가 기대될 뿐만 아니라, 소매업 영업이익이 60%정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

- 또, 빅데이터는 미국에서만 14~19만 명의 분석가와 150만 명의 관리자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됨



오픈데이터(Open Data) 개념과 의의


□ 공공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하는 오픈데이터(open data) 정책이 대두


ㅇ 공공데이터는 정부나 공공기관이 생산․보유․관리해온 행정, 경제, 인구, 의료, 기상, 교통, 복지 등의 모든 데이터를 의미


ㅇ 기존에 공개된 공공데이터는 통계나 문서 위주로 가치가 제한적 → 오픈데이터는 개방 범위를 대폭 확대하여 민간의 활용가치가 향상됨


[ 최근 공공데이터 개방의 특징 ]


① 양적인 증가: 인구조사, 가계조사 등 세세한 정보도 공개

② 다양한 확대: 공공안전, 보건의료 등 행정 전반으로 범위가 확대

③ 편의성 향상: 컴퓨터로 자동 수집-처리가 가능한 형태로 제공

④ 실시간 제공: 교통정보 등 인프라 상황이 실시간으로 전송


□ 각국 정부는 공공데이터가 높은 경제적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


ㅇ EU는 오픈데이터 정책을 적극 추진하면 공공데이터 활용 시장을 EU GDP의 약 0.3%(500억달러) 정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산


□ 공공데이터 개방은 다양한 영역에서 파급효과를 유발


ㅇ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재정투입이 곤란해진 가운데, 공공데이터는 이미 다량 축적되어 있어 저비용 공급이 가능하고 기대효과도 탁월

ㅇ 스마트 환경이 일상화되고 데이터 관리․분석에 필요한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술 등이 발달하여 정책의 실행 여건도 빠르게 성숙


□ 공공데이터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는 디지털 자원


ㅇ 사실상 공공/민간의 전 영역이 공공데이터의 수혜 분야


- 위치기반 서비스의 지리․교통정보 데이터, 헬스케어 서비스의 진료․처방기록 데이터와 같이 많은 민간 서비스 개선에 요긴

- 공공서비스를 보완하는 다양한 서비스는 정부 만족도 향상에도 도움


□ 세계 주요국 정부는 오픈데이터 정책을 적극 실행하는 단계에 진입


ㅇ 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 정부는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속속 발표하고 있으며, 최근 전 세계적인 차원의 정책 공조로까지 발전


- 2013년 6월 북아일랜드 G8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은 오픈데이터 참여원칙을 담은 오픈데이터 헌장(open data charter)에 조인


- 한국도 ‘정부 3.0 비전’에서 오픈데이터를 주요 정책과제로 명시

-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2013년 10월부터 시행





이미지 출처 : 공간정보 활용 http://www.nsdi.go.kr/?menuno=2684




목     차


1. 서론   1

  1.1 빅데이터(Big Data)의 개념과 의의   1

  1.2 공공데이터의 개념과 의의   3


2. 주요국 정책동향   6

  2.1 빅데이터 정책   6

    2.1.1. 미국   6

    2.1.2. EU   10

    2.1.3. 시사점   18

  2.2 빅데이터 산업 동향   19

  2.3 빅데이터 관련 특허 분석   31

    2.3.1. 분석대상 특허   31

    2.3.2. 정량분석   32

    2.3.3. 지수분석   38

  2.4 오픈데이터 정책   43

    2.4.1. 주요국 오픈데이터 정책 평가   43

    2.4.2. 오픈데이터 활용 사례   48

    2.4.3. 시사점   55



3. 영국의 빅데이터 및 오픈데이터 현황   56

  3.1 영국의 빅데이터 정책   56

    3.1.1. 영국 의회보고서 ‘Big Data Dilemma’   56

    3.1.2. 영국 연구위원회(RCUK)의 빅데이터 지원 현황   60

       3.1.2.1 영국 경제사회 연구위원회(ESRC)   62

       3.1.2.2 영국 의학 연구위원회(MRC)   66

    3.1.3. 빅데이터 활용 사례   70

       3.1.3.1 Antibiotic Research UK   70

       3.1.3.2 Wellcome trust Sanger institute   73

    3.1.4. 빅데이터 관련 연구 네트워크   76

       3.1.4.1 Mathematics and Big Data Showcase   76

       3.1.4.2 Big Data Methods for Social Science and Policy Workshop   79

       3.1.4.3 Alan Turing Institute Scientific Scoping Workshop   80

       3.1.4.4 Long Term Data Preservation and Access Conference   83

    3.1.5. 시사점   85

  3.2 영국의 오픈데이터 정책   86

    3.2.1. 기본원칙   86

    3.2.2. 추진현황   86

    3.2.3. 영국의 오픈데이터 정책 특징   88

    3.2.4. 오픈데이터 활용 사례   93

       3.2.4.1 Administrative Data Research Network (ADRN)   93

       3.2.4.2 UK Data Service   99

    3.2.5. 시사점   105

4. 결론 및 정책제언   106

5. 참고문헌 및 수집자료 목록   108

6. 참고자료   1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