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P32

ESP32 종합 가이드

반응형

 

ESP32는 Espressif Systems에서 개발한 혁신적인 시스템온칩(SoC)으로 사물인터넷(IoT) 혁명의 초석이 되었습니다.

 

이 강력한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듀얼코어 프로세서, Wi-Fi 및 블루투스 연결, 수많은 주변장치를 결합하여 개발자가 혁신적이고 기능이 풍부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만들 수 있도록 합니다. 이 포괄적인 가이드는 ESP32의 복잡한 내용을 깊이 파고들어 시작의 기본부터 고급 개념과 응용 프로그램 탐색까지 안내합니다.

 

 

 

 

1장: Arduino의 ESP32 도입

 

1.1 소개: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새로운 지평

 

ESP32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의 환경에 큰 영향을 미쳐 처리 능력, 연결성, 경제성의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조합을 제공합니다. 개발자는 더 비싸고 리소스 집약적인 하드웨어로만 가능했던 복잡한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ESP32의 등장은 제작자, 취미인, 전문가 모두에게 가능성의 세계를 열었습니다.

 

1.2 ESP32 살펴보기: 자세히 살펴보기

 

ESP32의 핵심은 강력한 32비트 듀얼 코어 Xtensa LX6 마이크로프로세서입니다. 이 프로세서는 통합 Wi-Fi 및 Bluetooth 기능과 결합되어 ESP32를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매우 다재다능하고 매력적인 선택으로 만듭니다. ESP32에는 SPI, I2C, UART, ADC, DAC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한 풍부한 주변 장치 세트가 장착되어 있어 다양한 외부 구성 요소와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1.3 특징 및 기능: ESP32의 무기고

 

ESP32에는 인상적인 기능이 가득합니다.

 

  • 강력한 듀얼 코어 프로세서: Xtensa 듀얼 코어 프로세서는 놀라운 연산 능력을 제공하여 복잡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멀티태스킹 기능을 지원합니다.
  • 내장형 Wi-Fi 및 Bluetooth: Wi-Fi 802.11 b/g/n 및 Bluetooth v4.2 BR/EDR 및 BLE 사양을 포함한 원활한 연결 옵션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통신 및 네트워킹을 강화합니다.
  • 저전력 설계: 세밀한 클록 게이팅, 다중 전원 모드 및 동적 전원 스케일링은 배터리 구동 장치 및 에너지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에 필수적인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를 보장합니다.
  • 광범위한 주변 장치: 광범위한 통합 주변 장치는 외부 센서, 액추에이터, 디스플레이 및 기타 구성 요소와의 인터페이싱에서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1.4 애플리케이션: ESP32가 빛나는 곳

 

ESP32의 다재다능함은 다양한 도메인에서 널리 채택되었습니다.

 

  • 스마트 홈 및 자동화: ESP32는 가전 제품 제어, 센서 모니터링 및 지능형 생활 환경을 위한 상호 연결된 시스템 생성을 포함한 스마트 홈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합니다.
  • 웨어러블 전자 제품: 피트니스 트래커, 스마트워치 및 기타 웨어러블 기기는 원활한 데이터 수집 및 통신을 위해 ESP32의 연결 및 처리 기능을 활용합니다.
  • 산업 자동화: ESP32는 산업 자동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제어, 데이터 수집, 산업 환경에서의 효율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로봇공학 및 자율 시스템: 로봇공학 및 자율 시스템은 제어 알고리즘, 센서 통합 및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ESP32의 처리 능력, 연결성 및 주변 장치 통합의 이점을 얻습니다.

 

2장: Arduino ESP32 시작하기

 

2.1 먼저 해야 할 일: 무대 설정

 

ESP32 개발의 세계로 뛰어들기 전에 Arduino ESP32 프로젝트의 기초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Espressif Systems와 Arduino 커뮤니티의 협력적 노력입니다. Espressif는 하드웨어와 기반 소프트웨어(ESP-IDF)를 제공하는 반면 Arduino 커뮤니티는 Arduino 코어, 라이브러리 및 문서에 기여하여 익숙한 Arduino 프레임워크로 ESP32를 액세스하고 사용하기 쉽게 만듭니다.

 

2.2 무기 선택: 지원되는 SoC

 

Arduino-ESP32 프로젝트는 각각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요구 사항에 맞게 조정된 광범위한 ESP32 SoC를 지원합니다. 프로젝트에 적합한 SoC를 선택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 메모리 크기: SoC마다 다양한 양의 플래시 메모리와 RAM을 제공하여 코드의 복잡성과 데이터 저장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 처리 능력: 코어 구성과 클럭 속도가 다른 SoC는 다양한 수준의 컴퓨팅 능력을 제공하여 프로젝트의 응답성과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 주변 장치 가용성: 각 SoC에는 고유한 주변 장치 세트가 제공되므로 프로젝트의 인터페이싱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주변 장치를 선택하십시오.

 

다음 표는 지원되는 SoC와 주요 특성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2.3 개발 환경 선택: 지원되는 운영 체제 및 IDE

 

Arduino ESP32 프로젝트는 Windows, Linux, macOS를 포함한 인기 있는 운영 체제를 지원하여 개발자에게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원하는 IDE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Arduino IDE: 사용자 친화적인 Arduino IDE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개발을 간소화합니다. 초보자와 Arduino 생태계에 익숙한 사람에게 훌륭한 선택입니다.
  • PlatformIO: 디버깅, 단위 테스트, 코드 분석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전문 개발을 위한 보다 고급 IDE입니다. PlatformIO는 대규모 프로젝트와 숙련된 개발자에게 적합합니다.

2.4 지침 찾기: 커뮤니티 지원의 힘

 

Arduino ESP32 프로젝트는 개발자로 구성된 활기찬 커뮤니티로 구성되어 풍부한 리소스와 지원을 제공합니다. 온라인 포럼, 토론 그룹 및 리포지토리는 귀중한 정보, 코드 예제 및 문제 해결 지원을 제공합니다.

 

  • Espressif 포럼: 공식 Espressif 포럼은 ESP32 칩에 대한 토론, 문제 해결 및 지식 공유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 Arduino 포럼 — ESP32 섹션: ESP32 관련 토론을 위한 Arduino 포럼의 전담 섹션입니다.
  • Reddit: "r/esp32" 서브레딧은 ESP32 애호가들이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질문하고, 서로에게서 배우는 커뮤니티를 육성합니다.
  • GitHub: GitHub의 Arduino-ESP32 저장소는 프로젝트 소스 코드, 문제 추적 및 커뮤니티 기여를 위한 중앙 허브입니다.

 

3장: 설치 가이드

 

3.1 Arduino ESP32 지원 설치

 

이 장에서는 Arduino IDE로 ESP32 보드를 프로그래밍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단계별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3.2 설치 전: 필수 준비 사항

 

다음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 Arduino IDE(버전 1.8.13 이상): arduino.cc/en/software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  
  • 인터넷 연결: ESP32 보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데 필요합니다.

 

3.3 Arduino IDE 보드 관리자를 사용한 설치

 

  1. Arduino IDE를 열고 파일 > 환경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2. "추가 보드 관리자 URL" 필드에 다음 링크를 붙여넣습니다.

 

https://raw.githubusercontent.com/espressif/arduino-esp32/gh-pages/package_esp32_index.json

 

  • https://raw.githubusercontent.com/espressif/arduino-esp32/gh-pages/package_esp32_index.json
  1. 기존 항목이 있는 경우 쉼표로 구분합니다.
  2. "확인"을 클릭하여 환경 설정을 저장합니다.
  3. 도구 > 보드 > 보드 관리자로 이동합니다.
  4. "esp32"를 검색하여 "esp32 by Espressif Systems"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3.4 ESP32 보드 선택

 

  1. 설치 후 도구 > 보드로 이동합니다.
  2. 목록에서 특정 ESP32 보드를 선택합니다(예: "ESP32 Dev Module").
  3. 이제 ESP32 보드 프로그래밍을 시작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4장: 개발 보드 탐색

 

4.1 적합한 보드 선택: 주요 고려 사항

 

적절한 개발 보드를 선택하는 것은 성공적인 프로젝트에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 요소를 고려하세요.

 

  • 폼 팩터: 프로젝트 크기와 장착 요구 사항에 맞는 보드를 선택하세요.
  • 주변 장치: 보드가 프로젝트에 필요한 주변 장치(예: I2C, SPI, UART, ADC)를 제공하는지 확인하세요.
  • 전원 공급 장치: 보드마다 전원 공급 요구 사항이 다르므로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맞는 보드를 선택하세요.
  • 비용: 보드 가격을 고려하고 예산에 맞는 보드를 선택하세요.

 

4.2 Espressif 개발 보드: 공식 선택

 

Espressif는 각각 고유한 기능과 기능을 갖춘 다양한 공식 개발 보드를 제공합니다.

 

  • ESP32-DevKitC: Wi-Fi, Bluetooth 및 다양한 주변 장치를 포함한 균형 잡힌 기능 세트가 있는 인기 있는 선택입니다. 브레드보드에 적합하며 프로토타입 제작 및 개발에 적합합니다.
  • ESP32-S2-Saola-1: 보안과 비용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ESP32-S2 SoC를 특징으로 합니다. Wi-Fi 연결과 여러 주변 장치가 포함되어 있어 IoT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 ESP32-C3-DevKitM-1: ESP32-C3 SoC를 기반으로 하는 소형이고 비용 효율적인 보드입니다. Wi-Fi와 Bluetooth 5를 지원하여 향상된 연결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입니다.
  • ESP32-S3-DevKitC-1: ESP32-S3 SoC가 있는 고성능 보드입니다. 강력한 처리 기능, AI 가속 및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광범위한 주변 장치를 제공합니다.

 

4.3 타사 개발 보드: 지평 확장

 

수많은 타사 공급업체가 ESP32 기반 개발 보드를 제공하며, 종종 특수 기능이나 폼 팩터를 제공합니다. 다음은 그 예입니다.

 

  • Adafruit HUZZAH32: 통합 LiPo 충전기와 배터리 커넥터가 있어 휴대용 프로젝트에 이상적입니다.
  • SparkFun Thing Plus — ESP32 WROOM: 온보드 LiPo 충전기와 JST 커넥터가 있는 소형 보드로, 웨어러블 전자 제품에 적합합니다.
  • M5Stack Core2: 컬러 디스플레이, 버튼, 다양한 센서가 있는 모듈식 및 스택 가능한 개발 플랫폼입니다.

 

5장: 라이브러리의 힘 잠금 해제

 

5.1 라이브러리 소개: 기능 확장

 

라이브러리는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미리 작성된 코드 모음으로, 개발 프로세스를 간소화합니다. 복잡한 작업을 간소화하여 프로젝트의 핵심 로직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Arduino ESP32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대한 라이브러리 생태계를 지원합니다.

 

5.2 Arduino ESP32 라이브러리: 풍부한 생태계

 

  • WiFi 라이브러리: Wi-Fi 연결을 활성화하고,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고,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ESP32를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합니다.
  • Bluetooth 라이브러리: 직렬 통신을 위한 클래식 Bluetooth와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Bluetooth Low Energy(BLE)를 포함한 Bluetooth 통신 기능을 제공합니다.
  • SPI 라이브러리: SD 카드, 디스플레이, 센서와 같은 고속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싱에 사용되는 직렬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SPI) 통신을 용이하게 합니다.
  • I2C 라이브러리: 센서, 실시간 시계 및 기타 I2C 장치와 통신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통신을 활성화합니다.
  • SD 라이브러리: 데이터 저장을 위해 SD 카드에 액세스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Wire 라이브러리: I2C 통신을 간소화하여 I2C 주변 장치와 쉽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 Servo 라이브러리: 로봇 및 자동화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서보 모터를 제어합니다.
  • ESP32 AnalogWrite 라이브러리: Arduino analogWrite 함수를 확장하여 ESP32의 LED 제어(LEDC) 주변 장치와 함께 작동하여 정밀한 PWM 제어를 수행합니다.

 

5.3 타사 라이브러리: 가능성 확장

 

수많은 타사 라이브러리가 ESP32의 기능을 더욱 확장하여 다음과 같은 작업에 대한 특수 기능을 제공합니다.

 

  • 그래픽 라이브러리: LCD 화면과 OLED 디스플레이에 그래픽을 표시합니다.
  • 센서 라이브러리: 특정 센서와 인터페이스하여 데이터 수집 및 처리를 간소화합니다.
  • 네트워킹 라이브러리: 고급 네트워킹 프로토콜 및 통신 기능을 구현합니다.
  • 클라우드 통합 라이브러리: 데이터 로깅, 원격 제어 및 기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위해 클라우드 플랫폼에 연결합니다.

 

6장: 자세한 API 탐색: 특정 기능 살펴보기

 

이 장에서는 주요 Arduino ESP32 API의 세부 사항을 살펴보고 자세한 설명, 코드 예제 및 기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6.1 ADC: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기본 주변 장치로, 실제 세계의 아날로그 신호를 읽고 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ESP32의 ADC는 여러 채널을 제공하므로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및 광 센서와 같은 다양한 아날로그 센서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습니다.

 

Arduino ESP32 ADC API는 ADC 주변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포괄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include <Arduino.h>
const int tempSensorPin = 36; // Connect your temperature sensor to GPIO 36
void setup() {
  Serial.begin(115200);
  analogReadResolution(12); // Set ADC resolution to 12 bits
}
void loop() {
  int rawValue = analogRead(tempSensorPin); // Read raw ADC value from the sensor
  float voltage = rawValue * (3.3 / 4095.0); // Convert raw value to voltage
  float temperatureC = (voltage - 0.5) * 100; // Convert voltage to temperature (Celsius)
  Serial.print("Temperature: ");
  Serial.print(temperatureC);
  Serial.println(" °C");
  delay(1000); // Update temperature reading every second
}

 

6.2 Wi-Fi: 세상과 연결하기

 

Wi-Fi는 기기를 인터넷에 연결하고 무선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유비쿼터스 무선 네트워킹 기술입니다. ESP32의 내장 Wi-Fi 기능은 Io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이상적이며, 프로젝트를 인터넷에 연결하고, 로컬 네트워크를 만들고,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Arduino ESP32 Wi-Fi API는 Wi-Fi 연결을 관리하기 위한 포괄적인 함수 세트를 제공합니다.

 

#include <WiFi.h>
const char* ssid = "your_wifi_ssid";
const char* password = "your_wifi_password";
void setup() {
  Serial.begin(115200);
  WiFi.begin(ssid, password);
  while (WiFi.status() != WL_CONNECTED) {
    delay(500);
    Serial.print(".");
  }
  Serial.println("Connected to Wi-Fi");
  Serial.print("IP address: ");
  Serial.println(WiFi.localIP());
}
void loop() {
  // Your code that uses Wi-Fi connectivity goes here
}

 

 

 

6.3 Bluetooth: 손끝에서 사용 가능한 무선 통신

 

Bluetooth는 널리 사용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기술로, 장치 간의 단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ESP32는 직렬 통신을 위한 Bluetooth Classic과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Bluetooth Low Energy(BLE)를 모두 지원합니다.

 

Arduino ESP32 Bluetooth API는 Bluetooth Classic과 BLE 연결을 모두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include <BluetoothSerial.h>
BluetoothSerial SerialBT;
void setup() {
  Serial.begin(115200);
  SerialBT.begin("ESP32_BT"); // Bluetooth device name
}
void loop() {
  if (Serial.available()) {
    SerialBT.write(Serial.read()); // Send data from serial monitor to Bluetooth
  }
  if (SerialBT.available()) {
    Serial.write(SerialBT.read()); // Send data from Bluetooth to serial monitor
  }
}

 

위의 코드는 Bluetooth Serial API의 사용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ESP32와 스마트폰이나 다른 ESP32 보드와 같은 연결된 Bluetooth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setup() 함수에서 장치 이름 "ESP32_BT"로 Bluetooth Serial 서비스를 초기화합니다. loop()에서 직렬 모니터에 사용 가능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Bluetooth 연결로 전송합니다. 마찬가지로 Bluetooth 연결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직렬 모니터로 전송합니다.

 

이 예제는 ESP32와 다른 Bluetooth 지원 장치 간에 Bluetooth 직렬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6.4 GPIO: 디지털 세계 제어

 

GPIO(범용 입출력) 핀은 물리적 세계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기본 구성 요소입니다. 이를 통해 LED를 제어하고, 버튼 누름을 읽고, 센서와 인터페이스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ESP32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연결하는 데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하는 수많은 GPIO 핀을 제공합니다.

 

Arduino ESP32 GPIO API는 GPIO 핀을 제어하기 위해 익숙한 Arduino 함수를 사용합니다.

 

#include <Arduino.h>
const int ledPin = 2; // Connect your LED to GPIO 2
void setup() {
  pinMode(ledPin, OUTPUT); // Set GPIO 2 as output
}
void loop() {
  digitalWrite(ledPin, HIGH); // Turn the LED on
  delay(1000); // Wait for one second
  digitalWrite(ledPin, LOW); // Turn the LED off
  delay(1000); // Wait for one second
}

 

이 예제에서는 먼저 LED에 연결된 GPIO 2로 ledPin을 정의합니다. setup() 함수에서 pinMode() 함수를 사용하여 ledPin을 출력으로 설정합니다.

 

loop()에서 digitalWrite() 함수를 사용하여 각 상태 변경 사이에 1초 지연을 두고 LED를 켜고 끕니다.

 

이 코드는 ESP32 보드에서 LED를 제어하기 위한 GPIO 핀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보여줍니다.

 

6.5 SPI: 고속 직렬 통신

 

직렬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SPI)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SD 카드, 디스플레이, 센서와 같은 주변 장치 간의 고속 데이터 전송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기식 직렬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ESP32는 여러 SPI 버스를 지원하여 다양한 SPI 장치를 연결하는 데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Arduino ESP32 SPI API는 SPI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함수를 제공합니다.

 

#include <SPI.h>
#include <SD.h>
const int chipSelectPin = 5; // Connect SD card's CS pin to GPIO 5
void setup() {
  Serial.begin(115200);
  if (!SD.begin(chipSelectPin)) {
    Serial.println("Card failed, or not present");
    return;
  }
  Serial.println("card initialized.");
}
void loop() {
  File myFile = SD.open("test.txt"); // Open a file on the SD card
  if (myFile) {
    Serial.println("Reading from file:");
    while (myFile.available()) {
      Serial.write(myFile.read()); // Read data from the file and print it to serial monitor
    }
    myFile.close(); // Close the file
  } else {
    Serial.println("error opening test.txt"); // Error opening the file
  }
  delay(5000); // Repeat every 5 seconds
}

 

이 예제에서는 SPI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SD 카드와 통신합니다. 먼저 칩 선택 핀(chipSelectPin)을 GPIO 5로 정의하고, 이는 SD 카드의 칩 선택 핀에 연결됩니다.

 

setup() 함수에서 SD.begin(chipSelectPin)을 호출하여 SD 카드를 초기화합니다. 초기화가 성공하면 직렬 모니터에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loop()에서 SD 카드에서 "test.txt"라는 파일을 열고, 내용을 읽고, 직렬 모니터에 출력합니다. 그런 다음 파일을 닫고 5초 동안 기다린 후 프로세스를 반복합니다.

 

이 코드는 SPI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ESP32 보드에서 SD 카드와 인터페이스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6.6 I2C: 센서 및 주변 장치를 위한 2선 통신

 

I2C(Inter-Integrated Circuit)는 센서, 실시간 클록, EEPROM 및 기타 I2C 주변 장치와 통신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선 직렬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SDA(Serial Data)와 SCL(Serial Clock)의 두 개의 와이어를 사용합니다.

 

Arduino ESP32 I2C API는 I2C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함수를 제공합니다.

 

#include <Wire.h>
#define RTC_ADDRESS 0x68 // I2C address of the RTC module
void setup() {
  Serial.begin(115200);
  Wire.begin(); // Initialize I2C communication
}
void loop() {
  Wire.beginTransmission(RTC_ADDRESS); // Start transmission to the RTC
  Wire.write(0); // Request to read from register 0 (seconds)
  Wire.endTransmission(false); // End transmission (false to keep connection active)
  Wire.requestFrom(RTC_ADDRESS, 7); // Request 7 bytes (seconds, minutes, hours, day, date, month, year)
  int seconds = Wire.read(); // Read seconds
  int minutes = Wire.read(); // Read minutes
  int hours = Wire.read(); // Read hours
  // ... Read other values similarly
  Serial.print("Time: ");
  Serial.print(hours);
  Serial.print(":");
  Serial.print(minutes);
  Serial.print(":");
  Serial.println(seconds);
  delay(1000); // Update time reading every second
}

 

이 예제에서는 I2C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실시간 클록(RTC) 모듈과 통신합니다. 먼저 RTC 모듈의 I2C 주소를 RTC_ADDRESS로 정의합니다.

 

setup() 함수에서 Wire.begin()을 사용하여 I2C 통신을 초기화합니다.

 

loop()에서 다음 단계를 수행합니다.

 

  1. Wire.beginTransmission(RTC_ADDRESS)을 사용하여 RTC 모듈로 전송을 시작합니다.
  2. RTC 모듈에 0을 써서 레지스터 0(초)에서 읽기를 요청합니다.
  3. Wire.endTransmission(false)를 사용하여 전송을 종료하지만 연결은 활성 상태로 유지합니다.
  4. Wire.requestFrom(RTC_ADDRESS, 7)을 사용하여 RTC 모듈에서 7바이트의 데이터(초, 분, 시, 일, 일, 월, 년)를 읽도록 요청합니다.
  5. Wire.read()를 사용하여 개별 값(초, 분, 시)을 읽습니다.
  6. 직렬 모니터에 현재 시간을 인쇄합니다.
  7. 프로세스를 반복하기 전에 1초 동안 기다립니다.

 

이 코드는 I2C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RTC 모듈과 통신하고 현재 시간을 읽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7장: 고급 개념 및 응용 프로그램

 

7.1 딥 슬립: 배터리 구동 장치의 절전

 

딥 슬립은 ESP32의 전력 소비를 크게 줄이는 저전력 모드입니다. 칩의 대부분 구성 요소의 전원을 끄고 특정 이벤트에 따라 장치를 깨우는 데 필수적인 회로만 활성화합니다.

 

#include <Arduino.h>
const int wakeupPin = 2; // Connect a button to GPIO 2
RTC_DATA_ATTR int bootCount = 0; // Variable to store boot count (retained in RTC memory)
void setup() {
  Serial.begin(115200);
  ++bootCount;
  Serial.println("Boot number: " + String(bootCount));
  pinMode(wakeupPin, INPUT_PULLUP); // Set GPIO 2 as input with pull-up
  esp_sleep_enable_ext0_wakeup(GPIO_NUM_2, 0); // Wake up on low level on GPIO 2
  Serial.println("Going to sleep now");
  esp_deep_sleep_start();
}
void loop() {
  // This code will not be executed after going to deep sleep
}

 

이 예에서는 ESP32의 딥 슬립 기능을 사용합니다. 우리는 wakeupPin을 버튼에 연결된 GPIO 2로 정의합니다. 또한 RTC(실시간 시계) 데이터 속성 bootCount를 사용하여 ESP32가 부팅된 횟수를 저장합니다.

 

setup() 함수에서 bootCount 변수를 증가시키고 직렬 모니터에 출력합니다. 그런 다음 풀업 저항이 있는 입력으로 wakeupPin을 설정하고 핀이 낮게 당겨지면(예: 버튼을 누를 때) ESP32가 딥 슬립에서 깨어나도록 구성합니다.

 

마지막으로 esp_deep_sleep_start()를 호출하여 ESP32를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합니다. ESP32가 딥 슬립 모드로 전환된 후에는 loop() 함수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이 코드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IoT 기기에 필수적인 딥 슬립 기능을 사용하여 전력을 절약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7.2 ESP-NOW: 직접 기기 간 통신

 

ESP-NOW는 Espressif에서 개발한 프로토콜로, Wi-Fi 액세스 포인트 없이도 ESP32 기기 간에 직접 통신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직접 기기 간 통신이 필요한 기타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include <esp_now.h>
#include <WiFi.h>
// Replace with the MAC address of the receiver ESP32
uint8_t broadcastAddress[] = {0xFF, 0xFF, 0xFF, 0xFF, 0xFF, 0xFF};
// Structure example to send data
typedef struct struct_message {
  char a[32];
  int b;
  float c;
  bool d;
} struct_message;
// Create a struct_message called myData
struct_message myData;
esp_now_peer_info_t peerInfo;
// Callback when data is sent
void OnDataSent(const uint8_t *mac_addr, esp_now_send_status_t status) {
  Serial.print("\r\nLast Packet Send Status:\t");
  Serial.println(status == ESP_NOW_SEND_SUCCESS ? "Delivery Success" : "Delivery Fail");
}
void setup() {
  Serial.begin(115200);
  WiFi.mode(WIFI_STA);
  if (esp_now_init() != ESP_OK) {
    Serial.println("Error initializing ESP-NOW");
    return;
  }
  esp_now_register_send_cb(OnDataSent);
  memcpy(peerInfo.peer_addr, broadcastAddress, 6);
  peerInfo.channel = 0;  
  peerInfo.encrypt = false;
  if (esp_now_add_peer(&peerInfo) != ESP_OK){
    Serial.println("Failed to add peer");
    return;
  }
}
void loop() {
  // Set values to send
  strcpy(myData.a, "THIS IS A MESSAGE");
  myData.b = random(1, 20);
  myData.c = 1.2;
  myData.d = false;
  esp_err_t result = esp_now_send(broadcastAddress, (uint8_t *) &myData, sizeof(myData));
  if (result == ESP_OK) {
    Serial.println("Sent with success");
  }
  else {
    Serial.println("Error sending the data");
  }
  delay(2000);
}

 

이 예에서는 ESP-NOW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Wi-Fi 네트워크 없이도 두 ESP32 기기 간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먼저 보내려는 데이터를 보관할 구조체 struct_message를 정의합니다. 그런 다음 이 구조체의 인스턴스를 myData라고 합니다.

 

setup() 함수에서 ESP-NOW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콜백 함수를 등록하여 전송 상태를 처리하고, 피어 장치(MAC 주소로 식별)를 ESP-NOW 네트워크에 추가합니다.

 

loop()에서 myData 구조에 값을 설정하고 esp_now_send() 함수를 사용하여 피어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또한 OnDataSent() 콜백 함수에서 전송 상태를 처리합니다.

 

이 코드는 다양한 IoT 애플리케이션에서 유용할 수 있는 직접 장치 간 통신을 위해 ESP-NOW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7.3 OTA 업데이트: 펌웨어를 무선으로 업데이트

 

OTA(Over-the-Air) 업데이트를 사용하면 ESP32의 펌웨어를 무선으로 업데이트하여 장치에 물리적으로 액세스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원격 위치나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 배치된 IoT 장치에 매우 중요합니다.

 

Arduino-ESP32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OTA 업데이트를 지원합니다.

 

  • ArduinoOTA: OTA 업데이트를 위한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운 라이브러리입니다.
  • ESPAsyncWebServer: OTA 업데이트 파일을 제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비동기 웹 서버를 만드는 라이브러리입니다.

 

OTA 업데이트는 공격자가 잠재적으로 악성 펌웨어를 기기에 업로드할 수 있으므로 보안 위험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보안 조치를 구현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코드 서명: 펌웨어에 디지털 서명을 하여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 보안 통신: HTTPS와 같은 보안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업데이트 중에 통신 채널을 보호합니다.
  • 인증: 업데이트 프로세스에 대한 무단 액세스를 방지하기 위해 인증 메커니즘을 구현합니다.

 

8장: 문제 해결 및 디버깅

 

8.1 일반적인 ESP32 문제: 문제 식별 및 해결

 

  • 연결 문제: ESP32가 Wi-Fi 네트워크 또는 Bluetooth 기기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네트워크 자격 증명, 신호 강도 및 잠재적 간섭을 확인합니다.
  • 컴파일 오류: 구문 오류, 누락된 라이브러리 또는 잘못된 핀 할당이 있는지 코드를 검토합니다. Arduino IDE의 오류 메시지를 사용하여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합니다.
  • 업로드 오류: Arduino IDE에서 ESP32 보드가 선택되었는지, 올바른 COM 포트가 선택되었는지, 보드가 플래싱 모드인지 확인합니다(업로드하는 동안 부팅 버튼을 누르고 있음).
  • 메모리 문제: ESP32의 메모리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코드를 최적화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입니다. 큰 데이터 구조, 불필요한 변수 및 비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8.2 디버깅 기술: 근본 원인 찾기

 

  • 직렬 모니터: Arduino IDE의 직렬 모니터를 사용하여 디버그 메시지, 변수 및 기타 정보를 인쇄하여 코드의 문제를 식별합니다.
  • LED 표시기: LED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상태를 시각화하여 특정 이벤트 또는 오류를 나타냅니다.
  • 로직 분석기: 로직 분석기를 사용하면 ESP32 핀의 디지털 신호를 캡처하고 분석하여 타이밍 문제와 통신 문제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8.3 문제 해결 리소스: 솔루션 찾기

 

  • Espressif 문서: 공식 Espressif 문서(espressif.com/en/support/documents)는 ESP32, 주변 장치 및 ESP-IDF 프레임워크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Arduino 포럼 — ESP32 섹션: Arduino 포럼에서 문제와 관련된 토론을 검색하세요. 문제를 게시하고 커뮤니티에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 온라인 커뮤니티: ESP32 개발에 전념하는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지원 및 문제 해결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결론: ESP32 여정 시작

 

ESP32는 혁신적이고 강력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만드는 데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이 포괄적인 가이드는 Arduino ESP32를 시작하고 기능, 기능 및 잠재적 응용 프로그램을 탐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ESP32 개발의 세계에 더 깊이 들어가면서 방대한 커뮤니티 리소스와 온라인 문서를 활용하여 기술을 향상시키고 놀라운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을 잊지 마세요. 

 

 

언제나 늘 그렇듯이 이 문서의 원본 출처를 방문하시려면 이 링크를 따라가세요.

 

 

반응형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