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AI Slop 현상, Enshittification, AI 자가포식 현상, 죽은 인터넷 이론 Claremont 이론에 대한 간단하고 알기 쉽게 설명한 내용입니다.
1. AI Slop 현상
AI Slop은 AI가 생성한 저품질 콘텐츠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 올라오는 이상한 AI 생성 이미지(예: 새우로 만든 예수 상)나 의미 없는 텍스트, 가짜 리뷰, 허위 뉴스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왜 생기나? AI는 빠르게 대량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어서, 이를 이용해 광고 수익을 얻거나 검색 엔진 순위를 조작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 문제점: 이런 콘텐츠는 인터넷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진짜 정보를 찾기 어렵게 합니다. 페이스북 같은 플랫폼에서는 알고리즘이 이런 콘텐츠를 더 많이 노출시켜 문제를 악화시킵니다.
- 비유: 마치 스팸 메일처럼, 아무도 원하지 않지만 계속 쌓이는 디지털 쓰레기입니다.
2. Enshittification (플랫폼 부패 현상)
Enshittification은 온라인 플랫폼이 시간이 지나면서 품질이 점점 나빠지는 현상을 뜻합니다. 이 용어는 Cory Doctorow가 만들었습니다.
- 과정:
- 처음에는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해 많은 사람을 끌어모음(예: 초기 페이스북, 유튜브).
- 다음으로, 광고주나 비즈니스 파트너에게 더 유리하게 변함(광고가 늘어나고 사용자 경험이 저하).
- 마지막으로, 플랫폼은 주주 이익만 추구하며 사용자와 파트너 모두를 쥐어짬(예: 유료 구독 강요, 콘텐츠 제한).
- 결과: 플랫폼은 점점 더 불편하고 품질이 떨어지는 곳이 됩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이 AI Slop으로 가득 차고, 유튜브에 광고가 넘쳐나는 게 대표적입니다.
- 비유: 처음엔 맛있는 무료 뷔페였던 식당이, 나중엔 비싸고 맛없는 음식만 내놓는 것과 비슷합니다.
3. AI 자가포식 현상 (AI Self-Cannibalization)
AI 자가포식 현상은 AI가 AI가 만든 콘텐츠를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면서, 결과적으로 AI 모델의 품질이 점점 나빠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 왜 생기나? AI는 인간이 만든 데이터를 학습해 작동합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AI 생성 콘텐츠(AI Slop)가 많아지면, AI가 이를 학습해 출력물의 독창성과 품질이 떨어집니다.
- 문제점: AI가 계속해서 자기 자신을 “먹으며” 점점 더 비슷하고 평범한 콘텐츠만 만들어냅니다. 이는 창의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데 방해가 됩니다.
- 비유: 마치 복사본을 계속 복사하다 보면 원본의 선명함이 흐려지는 것과 같습니다.
4. 죽은 인터넷 이론 (Dead Internet Theory)
죽은 인터넷 이론은 인터넷의 대부분이 실제 인간이 아니라 봇과 AI가 만든 콘텐츠로 채워져 있다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2016~2017년경부터 인터넷이 “죽었다”고 주장합니다.
- 주요 주장:
- 소셜 미디어 게시물, 댓글, 조회수는 대부분 AI 봇이 만들어낸다.
- 검색 엔진과 소셜 미디어 알고리즘이 진짜 인간 콘텐츠 대신 AI Slop을 우선시한다.
- 일부는 정부나 기업이 이를 이용해 여론을 조작한다고 믿는다(음모론적 요소).
- 현실성: 이 이론은 과장된 면이 있지만, AI Slop과 봇 활동이 늘어나면서 점점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에 AI가 만든 가짜 이미지가 바이럴이 되고, 유튜브 조회수가 봇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비유: 인터넷이 사람들로 북적이는 시장이었다면, 이제는 대부분 로봇과 유령이 돌아다니는 유령 도시에 가깝다는 느낌입니다.
요약 비교
현상 | 핵심 아이디어 | 주요 원인 | 예시 |
---|---|---|---|
AI Slop | AI가 만든 저품질 콘텐츠 | 광고 수익, 검색 엔진 조작 | 새우 예수 이미지, 가짜 리뷰 |
Enshittification | 플랫폼 품질 저하 | 이익 추구, 광고 증가 | 페이스북의 광고 과다, 유료화 |
AI 자가포식 | AI가 AI 콘텐츠를 학습해 품질 저하 | AI 콘텐츠의 범람 | 반복적이고 평범한 AI 출력물 |
죽은 인터넷 이론 | 인터넷이 봇과 AI로 가득 차 인간 활동 감소 | 봇 활동, 알고리즘 편향 | 가짜 조회수, AI 댓글 “Amen” |

1. AI Slop 현상 (AI Slop Phenomenon)
설명:
AI Slop은 “AI 쓰레기 콘텐츠 현상”이라고 보면 돼. AI가 자동으로 만든 텍스트, 이미지, 영상들이 너무 많이 퍼지면서 질 낮은 콘텐츠들이 쏟아지는 현상이야. 이건 특히 검색 엔진, 뉴스, 유튜브, SNS 등에 가짜 정보나 무의미한 글, 표절된 내용들이 넘쳐나는 문제를 만든다.
내 생각:
AI는 유용한 도구지만, 인간이 만든 원본 콘텐츠를 기반으로 학습하고 있기 때문에 AI 콘텐츠만 쌓이다 보면 품질이 계속 낮아지고, ‘복붙의 복붙’만 남는 세상이 될 수 있어. 정보 생태계가 오염되면 진짜 창의성과 진실된 정보가 묻히게 되지.
2. Enshittification (엉망진창화 현상)
설명:
코리 닥터로우(Cory Doctorow)가 만든 말이야. 플랫폼(예: 아마존, 유튜브, 인스타그램)이 처음엔 사용자에게 좋은 서비스를 주고, 그다음엔 판매자에게 유리하게 조정하고, 마지막엔 오직 플랫폼 자신만 이익을 얻도록 바뀌는 과정을 말해. 결국 사용자 경험은 점점 나빠지고, 플랫폼은 돈만 쫓게 된다는 구조야.
내 생각:
이건 거의 모든 빅테크 플랫폼이 겪는 필연적인 순환이라고 봐. 기업이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본성 때문이기도 하고, 경쟁이 사라진 폐쇄된 구조도 한몫하지. 오픈 웹과 탈중앙화 플랫폼에 대한 논의가 더 활발해져야 한다고 생각해.
3. AI 자가포식 현상 (AI Cannibalism)
설명:
AI가 만들어낸 콘텐츠를 또 다른 AI가 학습하게 되면서, 점점 품질이 낮아지고 오류가 많아지는 현상이야. 원래는 인간이 만든 고유한 데이터로 학습했지만, 이제는 AI가 만든 ‘2차 생산물’을 다시 학습하게 되면서 왜곡이 심해지는 거지.
내 생각:
이건 마치 인간이 계속 인스턴트 음식만 먹으면서 건강을 망치는 것과 비슷해. AI가 AI 콘텐츠만 먹고 자라면, 결국 “기계가 기계한테 가짜 정보를 가르치는 세계”가 되고, 이건 AI 자체의 한계이자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어.
4. 죽은 인터넷 이론 (Dead Internet Theory) + Claremont 이론
설명:
죽은 인터넷 이론은 인터넷의 많은 활동(댓글, 리뷰, 게시글 등)이 이제는 실제 인간이 아니라 봇이나 AI가 만든 것일 수 있다는 가설이야. Claremont 이론은 여기에 더해 2016년쯤 미국 정부나 거대 기관이 AI를 활용해 여론 조작, 감시, 조정을 시작했다는 음모론적 요소가 붙어.
내 생각:
죽은 인터넷 이론에는 부분적으로 수긍할 수 있는 면이 있어. 특히 트위터, 유튜브, 아마존 리뷰 등에서 봇 활동이 실제로 많거든. 하지만 Claremont 같은 음모론은 검증 없이 믿기엔 위험해. 대신 ‘누가 콘텐츠를 만들고 조작하는가?’에 대한 의심은 필수라고 봐. 앞으로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더 중요해질 거야.
정리하자면
이 네 가지는 다 연결되어 있어.
- 플랫폼은 이익 때문에 콘텐츠 품질을 희생하고 (Enshittification)
- AI는 그 저품질 콘텐츠를 학습하며 (AI Cannibalism)
- 유저는 AI가 만든 무수한 가짜 정보 속에서 진짜를 찾기 힘들고 (AI Slop)
- 그러다 인터넷 자체가 '가짜 천지'처럼 느껴지기도 하지 (Dead Internet Theory)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
'WebAnarch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소규모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방법 (0) | 2025.04.24 |
---|---|
미래를 선점할 20가지 온라인 사업 트렌드 (4) | 2025.04.22 |
헌법재판소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요지 전문 (2) | 2025.04.04 |
페이페이 리, AI는 변곡점에 있다고 말하다 (3) | 2025.04.03 |
온라인에서 소규모 비즈니스를 시작하기 위한 5가지 팁 (0) | 2025.03.28 |
작가들의 한 줄 성명 전문, 책 파일 포함 (11) | 2025.03.26 |
2025 Digital Marketing Summit (0) | 2025.03.24 |
의사 결정에 관한 세계 최고 사상가의 마지막 결정 (1)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