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P32

ESP32 DevkitC V4 USB C 타입 32E 모듈 적용 개발보드

반응형

 

ESP32 실습 보드를 설계했다. 여러 센서를 모아 PCB 위에 견고하게 조립하고, ESP32 보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도록 두 개를 함께 배치했다. 내가 하는 걱정들은 거의 대부분이 하지 않아도 돼는 걱정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해야 할 일이 다르고, 목표가 다르기에 모든 상황에서 그 사실을 일찍 깨우치기는 힘들다. 그렇다고 해도 실제 걱정이 된다면 행동하면서 해결하고 움직인다면 금방 사라질 생각인데도 그냥 생각만 하게 된다.

 

모든 것을 경계해야 한다. 경계하지 않을 게 무엇인가?

 


 

Espressif Systems ESP32-DevKitC 개발 보드 

 

Espressif Systems ESP32-DevKitC 개발 보드는 다양한 ESP32 모듈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소규모 공간 절약형 보드입니다. 대부분의 I/O 핀은 쉽게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양쪽의 핀 헤더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이 핀을 주변 장치에 연결합니다. 표준 헤더는 또한 브레드보드를 사용할 때 개발을 쉽고 편리하게 만듭니다. 

 

특징

 

32-bit Xtensa® dual-core at 240MHz

Wi-Fi® IEEE® 802.11b/g/n 2.4GHz

BLUETOOTH® 4.2 BR/EDR and BLE

520KB SRAM (16KB for cache)

448KB ROM

34x GPIOs, 4x SPI, 3x UART, 2x I2C, 2x I2S, RMT, LED PWM, and 1x host SD/eMMC/SDIO

1x slave SDIO/SPI, TWAI®, 12-bit ADC, and Ethernet 

 

기능 설명

 

• ESP32-WROOM-32

ESP32-WROOM-32 모듈은 ESP32-DevKitC V4 보드에 납땜되었습니다. ESP32-WROOM-32D, ESP32-WROOM-32U, ESP32-SOLO-1 모듈을 ESP32-WROOM-32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USB-UART 브리지

단일 칩 USB-UART 브리지는 최대 3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 부팅

다운로드 버튼: 부팅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EN 버튼을 누르면 펌웨어 다운로드 모드가 시작됩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직렬 포트를 통해 펌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Micro USB 포트

USB 인터페이스.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 및 PC와 ESP 모듈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 LED 5V 전원

이 LED는 USB 또는 외부 5V 전원이 보드에 인가될 때 켜집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문서의 회로도를 참조하십시오.

 

• EN

리셋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이 리셋됩니다.

 

• I/O

ESP 모듈의 대부분의 핀은 보드의 핀 헤더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사용자는 ESP32를 프로그래밍하여 PWM, ADC, DAC, I2C, I2S, SPI 등과 같은 여러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지원 사항

 

본 제품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개발 환경을 지원합니다. 아래 개발 환경을 정리할 것!

 

ESP-IDF (Espressif IoT Development Framework) – 공식 프레임워크로, 고성능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

Arduino IDE – 직관적인 GUI 기반 환경으로 초보자 및 프로토타이핑에 용이

PlatformIO – Visual Studio Code와 연동되는 통합 개발 환경으로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 가능

MicroPython – 파이썬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로 빠른 테스트 및 교육 목적에 적합

ESPHome –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펌웨어 자동 생성 툴

Mongoose OS – IoT 제품을 위한 경량 운영체제

Zephyr RTOS – 리얼타임 운영체제를 활용한 고급 IoT 개발 지원

NodeMCU (Lua) – Lua 스크립트 기반 개발 지원 (별도 펌웨어 플래싱 필요) 

 

 

블록도

 

 

 

참고문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