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Anarchist

일자리 창출이 이미 정체

반응형

 

가장 큰 기술 대기업인 MAG 7조차도 몇 년 동안 고용을 크게 하지 않았습니다. AI가 반드시 대기업의 일자리 감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일자리 창출이 이미 정체되어 있었다는 것을 드러낼 뿐이다.

 

미래? 더 적은 수의 대기업. 1-10명으로 구성된 소규모 팀이 노동 시장을 지배할 것입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어떤 형태로든 보편적 기본소득에 의해 부양될 것이다.

 

저는 젊은 투자자 또는 미래의 직원으로서 당신이 어떻게 이 발전을 이해하고 탐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책 Money (That's What Boys Want)를 썼습니다.

 

현실과 사회적 기술을 배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그래프를 보고 충격을 받아 느꼈던 내용을 공유해봅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들이, 가장 먼저 자리를 잃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의 일자리를 앗아간 건 바로 그들이 만들고 있었던 인공지능 때문이다.

 

기술은 언제나 인간의 노동을 바꾸어 왔다. 증기기관이 등장했을 때, 방적공과 마부는 자리를 잃었다. 그러나 그 변화는 주로 육체노동의 영역에 머물렀다. 인간의 손이 하던 일을 기계가 대신했을 뿐, 머리는 여전히 인간의 영역이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다르다. 인공지능은 이제 인간의 생각을 모방하기 시작했고, 그 수준은 단순한 흉내를 넘어선다. 언어를 이해하고, 코드를 작성하며, 사람의 요구를 예측해 반응한다. 그것도 24시간 내내, 실수 없이, 그리고 임금이나 복지 같은 비용도 요구하지 않으면서 말이다. 이 변화는 단순한 산업 재편이 아니라, 인간 노동의 정의 자체를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그렇기에 이제는 사회 전체가 새로운 방향을 논의하고, 그에 대한 합의를 마련해야 할 시점으로 보인다.

 

- 노동의 재정의가 필요하다: 더 이상 임금을 받는 일만이 노동일 수는 없다. 돌봄, 창작, 공동체 활동처럼 시장의 가격으로는 측정되지 않는 노동도 사회적 가치로 인정받아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기본소득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

 

- 인간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단순한 기술 습득이나 직무 훈련을 넘어, 인간만이 지닌 판단력, 상상력, 윤리의식을 키우는 교육이 필요하다. AI와 경쟁하기보다는, AI와 구별되는 인간다움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 공공 AI의 개발과 통제가 중요하다: 현재 AI 기술은 소수의 빅테크 기업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다. 이를 공공의 영역으로 확장하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 분산된 개발과 투명한 통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AI는 어디까지나 도구이지, 권력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제 어느때보다 우리는 달라지는 인간의 위치에 대해 깊은 성찰을 해야할때로 보인다. 

 

 

반응형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