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 & Other

얼음의 과학

지구빵집 2019. 7. 22. 10:01
반응형

 

자연에서 산출되는 고체 중 하나로, 결정을 갖고 성분이 고정되어 있어 광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광물은 상온(섭씨 25도)에서 고체일 것을 요구하지만, 얼음, 수은 등의 몇 가지 예외가 있다. 흔히, 지표상에서 가장 흔한 광물로 알려져 있다.

 

같은 온도 조건 하에서 투명한 얼음과 불투명한 얼음의 녹는 속도 차이는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불투명한 얼음은 내부 기포 때문에 표면적이 넓어져서 더 빨리 녹는다느니, 투명한 얼음은 단단하게 얼지 않아서 빨리 녹아버린다느니 하는 소리가 있지만 전부 다 헛소리니 쿨하게 무시하자. 얼음의 녹는 속도는 온도에 비례한다. -80℃ 의 온도를 유지하는 참치보관용 냉동고에서 보관하던 불투명한 얼음이 미적지근한 제빙기에서 갓 뽑아낸 투명한 얼음보다 더 오래 버틴다는 말도 사실이 아니다. 투명한 얼음을 쓰는 이유는 단 하나, 시각적으로 예쁘기 때문이다.

얼음이 당연히 녹아 물이 되기 때문에 얼음이 첨가된 식품은 점점 얼음이 녹아 생긴 물의 비중이 높아져서 맛이 밍밍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게 아이스큐브인데 네모난 금속이나 암석을 차갑게 만들어서 얼음 대신 집어넣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문제가 있는데, 얼음까지 먹는 사람에게는 얼음을 못 먹는다는 큰 단점이 있고 쇠나 돌을 음료에 집어넣는다는 점 때문에 심리적인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술에서는 얼음이 녹으면서 나오는 물이 술맛에도 영향을 끼친다. 시간이 지나면서 녹아내린 물이 술과 섞여서 다른 맛을 내는 것이다. 또 아이스큐브는 얼음과 달리 물에 가라앉는데, 얼음은 물에 뜨기 때문에 위에서부터 녹아내린 차가운 물이 아래로 대류해 음료 전체를 차갑게 해주지만 아이스큐브는 가라앉으니 음료를 섞어주지 않으면 아래쪽만 점점 더 차가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얼음은 대체로 동일한 부피의 물보다 더 비싸다. 그런데 커피 같이 얼음 있는 버전과 없는 버전을 동시에 판매하면서도 둘의 가격이 비슷한 커피 전문점들이 많은데, 이는 이런 '아이스 커피'를 시킬 경우 들어가는 얼음의 부피 때문에 그만큼 컵 속으로 음료가 덜 들어가기 때문이다. 상술했듯 음료를 내올때 얼음을 내올 생각이라면 얼음의 부피를 고려해서 담아야 한다. 즉 통상적인 컵 한잔에 음료를 가득 담지 말고 평소보다 다소 부족하게 담은 뒤 얼음을 양껏 투하하면 끝. 얼음이나 음료의 양을 잘못 계산하면 음료가 지나치게 싱거워질 수 있다.

얼음은 충분히 두터우면 흉기로 쓸 수도 있다. 이 점을 노려 몇몇 추리소설에선 둔기로 살해당한 피해자가 있지만 정작 흉기는 어디에도 보이지 않아 수사에 난항을 겪었는데 알고보니 얼음으로 살해한 것이라는 내용이 담긴 스토리가 제법 있다. 케네디 대통령이 얼음 총탄으로 암살당해서 총알이 보이지 않았다는 음모론도 존재한다. 당연히 그저 음모론. 미스버스터 실험에서는 얼음 탄환이 발사 시 발생하는 열기로 녹아버린다. 실제로도 고의는 아니겠지만 고드름의 경우 적당히 단단하기만 하면 높은 곳에서 떨어지면 사람에게 충분히 해를 입힐 수 있다.

 

콜라나 사이다 등 탄산음료에 얼음을 넣어서 마시고 싶다면 얼음컵에 바로 넣지 말고 물을 넣자. 얼음에서 딱딱소리가 나면 물을 버리고 음료를 넣으면 거품이 생기지 않고 충분히 넣을 수 있다. 여담으로 얼음은 콜라나 사이다보다 물에서 훨씬 빨리 녹는다. 약간 위험한 방송에서도 실험한 바 있는 현상으로, 기체인 탄산이 섞여있는 음료와 달리, 순수 액체인 물이 확실히 열을 더 잘 전달하기 때문. 같은 이유로 동일한 온도라면 공기 중에서보다 물 속에 얼음을 넣었을 때 더 빨리 녹는다. 뜨거운 냄비를 공기 중에서 식힐 때보다 물 속에 넣었을 때 더 빨리 식는 것처럼, 열 전달도 동일하게 액체가 더 잘 한다고 보면 된다.(자료 출처: 나무위키 얼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