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포스팅은 Arduino를 Processing에 연결하는 방법과 직렬 포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또한 Processing IDE를 사용하여 Arduino 보드에 명령을 보내고 그 반대로 명령을 받아 처리하는 예제를 만들 것입니다.
필요한 부품을 아래에 나타냅니다. Arduino 보드, 브레드 보드 및 점프 와이어, LED, 220 ohm 저항, 푸시 버튼
아래 회로도를 참고하여 회로를 구성합니다.

Arduino 소스코드
int led = 13;
int button = 12;
void setup() {
pinMode(led, OUTPUT);
pinMode(button, INPUT);
Serial.begin(9600);
}
void loop(){
if(Serial.available() > 0) {
char ledState = Serial.read();
if(ledState == '1'){
digitalWrite(led, HIGH);
}
if(ledState == '0'){
digitalWrite(led, LOW);
}
}
int buttonState = digitalRead(button);
if ( buttonState == HIGH){
Serial.println("Button is pressed");
delay(500);
}
}
Processing 코드
import processing.serial.*;
Serial myPort;
String myText="";
void setup(){
size(300, 300);
myPort = new Serial(this, "COM4", 9600);
myPort.bufferUntil('n');
}
void serialEvent (Serial myPort){
myText = myPort.readStringUntil('n');
}
void draw(){
background(0,0,0);
text(myText, 120, 120);
myText="";
if(mousePressed && (mouseButton == LEFT)){
myPort.write('1');
}
if (mousePressed && (mouseButton == RIGHT)){
myPort.write('0');
}
}
'개발자 > Ardu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rduino Portenta H7 기본적인 특징 (0) | 2021.02.18 |
|---|---|
| Arduino Nano 33 BLE Sense Sensor Library 연구 (0) | 2020.12.30 |
| LSM9DS1 라이브러리 버전 2.0 소개 (0) | 2020.12.14 |
| Nano 33 BLE Sense 기반 미세 먼지 센서 데이터 전송 장치 (0) | 2020.12.05 |
| SSD 1306 OLED 디스플레이 원리 (3) | 2020.12.03 |
| LSM6DS3 3D 가속도계와 3D 자이로스코프 미세 진동 감지 (0) | 2020.11.30 |
| Arduino Nano 33 BLE Sense Sensor 라이브러리 소개 (0) | 2020.11.24 |
| SmartEverything LSM6DS3 라이브러리 사용법 - 3축 가속도계와 3축 각속도 센서 (0) | 2020.11.23 |
취업, 창업의 막막함, 외주 관리, 제품 부재!
당신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 실패만 반복하는 외주 계약,
아이디어는 있지만 구현할 기술이 없는 막막함.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명확한 학습, 실전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의 부재'에서 시작됩니다.
이제 고민을 멈추고, 캐어랩을 만나세요!
코딩(펌웨어), 전자부품과 디지털 회로설계, PCB 설계 제작, 고객(시장/수출) 발굴과 마케팅 전략으로 당신을 지원합니다.
제품 설계의 고수는 성공이 만든 게 아니라 실패가 만듭니다. 아이디어를 양산 가능한 제품으로!
귀사의 제품을 만드세요. 교육과 개발 실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세요.
지난 30년 여정, 캐어랩이 얻은 모든 것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귀사가 성공하기까지의 긴 고난의 시간을 캐어랩과 함께 하세요.
캐어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