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 & Other

기상 용어, 이 정도면 기상 통보관

지구빵집 2022. 5. 31. 08:18
반응형

 

 

기상 용어사전

 

가항반원

 

동심원 구조를 갖는 태풍의 왼쪽 반원 부분으로 중위도 지방에 진행할 때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풍속이 약한 구역

 

가시광선

 

사람의 눈으로 느낄 수 있는 빛. 빛을 눈으로 느낄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은 그 빛의 파장의 길고 짧음에 좌우됨. (파장은 약 4,000∼8,000Å)

 

간빙기 (interglacial period)

 

빙기와 다음 빙기 사이에 나타나는 비교적 온난한 시기. 지질시대 말기의 제4기 홍적세는 빙하시대라고 불리듯이 지구상의 육지의 많은 부분이 빙하에 덮였다. 그러나 빙하시대 전 기간 동안 내내 한랭한 기후만 계속된 것이 아니라, 한난의 고기후의 변화가 주기적으로 되풀이되었다. 간빙기는 전후의 빙기에 비해서 비교적 온난한 기후가 상대적으로 오래 계속된 시기로서, 빙기에 저위도 지방에까지 발달해 있던 빙하가 이 시기에는 고위도 지방으로 후퇴·축소되어 뒤에 이탄지나 호소를 남겼으며, 빙기에는 빙상 주변의 툰드라였던 지역이 온대림으로 뒤덮였다. 간빙기는 빙하시대에 3∼4회 이상이 인정되고 있는데, 전후 빙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유럽의 알프스 지방에서는 오래된 것부터 귄츠-민델 간빙기(제1간빙기), 민델-리스 간빙기(제2간빙기), 리스-뷔름 간빙기(제3간빙기)가 알려져 있다. 간빙기의 기온은 현재와 같거나 현재보다 따뜻한 편이었으므로, 현재는 제4간빙기에 해당되며, 장차 5번째의 빙기가 올지도 모른다는 설이 있다.

 

간접순환

 

적도와 위도 30°사이의 해들리 순환과 극과 위도 60°사이의 극세포 순환에 의해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순환

 

강수(降水)

 

지상에 떨어지는 대기 중의 수분의 총체. 강우, 강설, 우박 등 고형인 것도 모두 포 함한 것.

 

강수량

 

비, 눈, 우박 등이 지상에 내린 물의 총량

 

강설량

 

어느 기간 동안에 내린 눈의 양. 눈을 녹이거나, 그 무게를 측정하여 물의 양으로 바꾸어 나타낸 것이 강설량임.

 

강우량

 

어느 기간 동안에 내린 비의 양. 땅 위를 흘러가거나 스며들지 않고, 땅 표면에 괴 어 있다고 가정할 때의 괸 물의 깊이로 나타냄.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우량은 약 1,200mm 정도로 비교적 많은 편임.

 

건구온도

 

건습구 습도계의 두 개의 온도계 중 물 축인 헝겊으로 싸지 않은 보통 온도계가 가리키는 온도

 

건습구 습도계

 

보통 온도계와 물 축인 헝겊으로 싼 온도계를 이용하여 물의 증발하는 정도를 재 어 습도를 측정하는 장치

 

건조단열변화

 

불포화 상태의 공기가 연직 상승 운동을 하면서 외부 와의 열의 출입이 없이 행하 여지는 물체의 상태변화

 

건조공기

 

불포화공기

 

건조단열감율(乾燥斷熱減率)

 

포화에 달하기 전까지의 건조단열에 따라 나타나는 기온저하율을 말하며 대략 1,000ft 에 5.5℉(1,000m에 10℃)로 높이에 따른 정상적인 기온 체감률(1,000m에 5.6℃)보다 크다.

 

건조지수

 

어느지역의 건조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말한다. 건조지수(I) = P / T+10 P : 연강수량(mm) T : 연평균기온(℃)

 

▷ 사막에서 I=5이하, 스텝기후에서는 5~10, 30이상이면 삼림이 이루어지고 인류 생활에 맞는 기후를 형성하게 됨

 

경도풍

 

등압선(또는 등고선)의 접선 방향으로 부는 이론상의 수평 바람으로써 코리올리힘 (전향력), 원심력, 수평기압경도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 있을 때의 수평 바람을 말한다.

 

경압대기 (Baroclinic atmosphere)

 

경압(등밀도면과 등압면이 일치하지않는 상태)구조를 가진 모형대기를 말한다. 등압면상에서 온도 경도가 있고 바람이 높이에 따라 변화한다.

 

계절풍

 

해양의 열용량이 대륙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대륙은 빨리 데워지고 빨리 냉각되므로 여름에는 대륙이 해양보다 온도가 높아 저압부가 되고, 겨울에는 온도가 낮아 고압부가 되어, 바람이 여름에는 해양에서 대륙으로 불고, 겨울에는 대륙에서 해양으로 불게 되는 열적 순환

 

고기압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상태. 그러나 어느 기준값 이상의 기압을 말하는 것이 아니 라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곳을 말함. 바람은 기압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을 향해 불어 나가는데,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이며 남반구에서는 그 반대임. 고 기압 권 안에서는 보통 하강 기류가 있으므로 맑은 날이 되는 경우가 많음.

 

고적운

 

고도 2∼6km의 중층운으로 뭉클뭉클하게 덩어리 진 양 떼 같은 구름

 

고층운

 

고도 2∼6km의 중층운으로 두께가 얇고 회색 차일 같은 구름

 

곡풍

 

낮에 산 사면의 부등가열로 골짜기에서 산 정상으로 부는 바람

 

골바람

 

곡풍

 

골승무(滑昇霧)

 

산사면에 따라 구름이 올라가면서 생기는 안개.

 

공기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의 하층 부분을 구성하는 무색투명한 기체. 지상 20km 이하에서는 그 성분이 거의 일정한 비율로 존재하며, 질소 78%, 산소 21%, 기타 1%의 혼합 기체로 구성됨.

 

공기오염

 

그을음, 재, 먼지, 유독 가스 등으로 공기가 더럽혀진 상태. 공기 오염은 연료를 태우는 데서 주로 생기며, 화학 공업에서 나온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등도 공기 오 염의 주요한 원인이 됨.

 

과냉각수

 

물이 녹는점(0℃) 이하로 냉각되었어도 액체상태 그대로인 것

 

과냉각수적

 

대기중에서 녹는점(0℃) 이하로 냉각되었어도 액체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물방울

 

광화학반응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그 빛 에너지에 따라 일어나는 화학반응. 열반응으로서는 일어나지 않으며, 빛을 쪼임으로써 일어나는 반응은 대단히 많다. 빛에 의한 분해, 합성, 이성질화, 산화, 중합 등 중요한 반응이 포함됨.

 

광화학스모그

 

배기가스 속의 탄화수소와 질소 산화물이 자외선을 받아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미세한 먼지로 되고, 여기에 옥시던트(산화제) 등과 같은 다른 광화학적 생성물질을 이용해, 흡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한낮에도 시야가 나쁘고 눈이나 호흡기 질환을 일으켜 심할 경우 생명에 위협을 주기도 하는 것. 이 현상은 보통은 자외선이 강한 맑은 날에 발생하지만, 곳에 따라서는 흐린 날이나 야간에도 발생하는 일도 있으며, 그 원인 물질은 옥시던트·아크롤레인· 질산메틸 등으로 알려져 있다. 대기가 광화학 스모그로 오염되면 눈이나 목에 자극이 오지만, 경련이나 의식불명이 되는 수도 있음.

 

구름

 

대기 중의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빙정)가 모여서 하늘에 떠 있는 것.

 

구름분류

 

구름의 과학적 분류는 1803년에 하워드가 최초로 제안하였고, 국제적인 구름의 분 류는 모양에 따라 10종의 기본형과, 높이에 따라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 및 수 직 으로 발달한 구름으로 구분됨. 이밖에도 바다의 물결처럼 보이는 파상운(波狀雲), 하나의 구름에서 여러 개의 구름탑이 솟아오른 탑상운(塔狀雲), 볼록 렌즈와 같은 렌즈 운, 젖가슴처럼 생긴 유방운, 한 곳에 모여지는 듯한 수렴운(收斂雲) 등이 있음.

 

구름씨 뿌리기

 

인공적으로 비를 내리게 하기 위하여 구름 속에 빙정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가루나 요오드화은을 뿌려 주는 것

 

권운

 

고도 6∼13km의 상층운으로 털실이나 새털 같은 구름

 

권적운

 

고도 6∼13km의 상층운으로 흰 조개 같은 구름

 

권층운

 

고도 6∼13km의 상층운으로 흰 베일을 덮은 것 같은 구름으로 햇무리나 달무리를 만들기도 함.

 

규모고도 (Scale height)

 

밀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한 가상적인 대기의 상당고도(相當高度)를 말함.

 

균질대기 (Homogeneous atmosphere)

 

밀도가 높이와 더불어 변하지 않는 가상적인 대기로서 등밀도대기(等密度大氣)라고도 한다.

 

극고기압

 

냉각에 의한 공기의 침강으로 양극 지방에 형성되는 고기압

 

극광

 

고위도 지방의 하늘에 나타나는 발광 현상. 그 원인은 태양에서 발산하는 대전 입자가 지자기(地磁氣) 때문에 양극으로 끌려가 고층 대기를 구성하는 원자와 충돌하여 빛을 내기 때문임. 발광의 바닥 높이는 90∼130km이며, 색깔은 황록색이나 암적색을 띰(오로라)

 

극동풍

 

극지방에 침강한 공기가 지면을 따라 저위도로 이동하면서 전향력을 받아 북반구에서는 북동풍,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편동이 되는 극지방에서 불어 나오는 바람(극풍 혹은 극편동풍)

 

극야

 

고위도 지역이나 극점 지역에서 겨울철에 오랫동안 해가 뜨지 않고 밤만 계속되는 현상. 백야 현상과 반대되는 현상으로, 북반구의 고위도에서는 11월 중순에서 1월 말까지, 남반구에서는 북반구와 계절이 반대이므로 반대 시기에 나타남.

 

극풍

 

극지방에 침강한 공기가 지면을 따라 저위도로 이동하면서 전향력을 받아 북반구에서는 북동풍,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편동이 되는 극지방에서 불어 나오는 바 람(극동풍 혹은 극편동풍)

 

기단(氣團)

 

지름이 1000km 정도의 규모를 갖는 기온과 수증기의 양이 거의 일정한 공기 덩어 리. 넓은 대륙이나 넓은 바다와 같이 특수한 성질을 갖는 지역이 넓게 펼쳐져 있을 때 그 위에 오랫동안 놓인 대기층은 지표면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온도, 습도, 안정도 등 독특한 수직 분포를 갖는 대기의 넓은 단괴.

 

기류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흐름 (상승이나 하강하는 공기의 흐름을 말함)

 

기상

 

날씨가 덥거나, 춥거나, 흐리거나, 개거나 하는 대기 가운데서 일어나는 모든 물리 적 변화의 현상. 기상의 구체적인 범위는 기압, 기온, 상대 습도, 증기압, 바람, 강수량 등.

 

기상경보

 

기상 현상으로 인하여 커다란 재해가 예상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하여 발하는 경보.

 

기상개황

 

한 지방의 부근 전반에 뻗친 기상의 대체적인 상황

 

기상관측

 

대기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 기압, 기온, 습도, 풍향, 풍속 등을 측정하고, 구름, 안 개, 비, 눈 등 대기의 모든 현상을 관측하는 일. 기상은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그 변화 속도가 크기 때문에 기상 관측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님.

 

ⅰ) 여러 곳에 있어서의 관측 자료가 비교되어야 함.

ⅱ) 국제적으로 통일된 규격에 의해서 관측되어야 함.

ⅲ) 언제, 어디서 관측한 것인가를 명백히 하여야 함.

ⅳ) 가능한 한 짧은 시간 간격으로 관측되어야 함.

 

기상 관측에 이용되는 계기로는 우량계, 풍속계, 증발계, 일사계, 운고계 등 여러 가지가 있음. 또 높은 대기층의 관측 자료는 기구나 라디오존데 따위를 이용함. 현재는 기상 레이더와 기상 인공위성이 널리 이용되며, 모든 관측 자료와 기상도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 정밀하게 분석되고 있음.

 

기상요소

 

기상 요소로는 천기(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의 대기 상태)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 쓰이는 것으로 기온, 기압, 풍속과 풍향, 습도, 운량과 운형, 강수의 6요소가 있음. 넓은 뜻으로는 일조, 시정(대기 혼탁 정도), 번개, 천둥 등의 현상을 포함함.

 

기상위성

 

 

 

기상 관측 및 관측 자료를 전송, 중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인공위성. 현재 정지 기상 위성과 극궤도 기상 위성이 사용되고 있음. 1959년 2월에 발사된 미국의 뱅가드 2호가 최초의 기상 위성이고, 정지 기상 위성은 적도 위 약 3만 5,800km 에서 원궤도를 지구의 자전과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자전함. 따라서 지구에 대해 상대 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임. 궤도의 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위성 바로 아래의 점을 중심으로 반지름 약 6,000km의 범위를 항상 관측함. 극궤 도 기상 위성은 어떤 지점의 상공을 매월 2회, 일정한 시각에 통과하는 것으로 미국의 타이로스-N은 고도 약 850km, 경사 각도 99°의 극궤도를 약 100분 주기로 돌고 있음. 정지 기상 위성에 비해 고도가 낮으므로 정밀한 관측에 적당함. 어느 것이든 기상 위성의 주된 임무는 적외 검지기로 구름의 분포를 식별하고, 지면·해 면과 구름 상부의 온 도를 측정하는 일, 구름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공의 바람을 관측하는 일, 송신 장치를 갖춘 부표(buoy)나 선박, 항공기 등의 기상 관측 보고를 중계하는 일, 각지 의 기상대로 관측자료를 전송 중계하는 일을 함

 

기상주의보

 

기상 현상에 의하여 다소의 피해가 있으리라고 예측될 때 주의시키기 위하여 발 표하는 예보

 

기상통보

 

기상 개황이나 실황을 일반에게 알리는 보도

 

기상특보

 

기상 통보 이외에 때에 따라 알리는 특별한 보도

 

기상학

 

행성의 대기 중의 기상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의 총칭. 지구뿐만 아니라 화성이나 금성 따위의 대기도 그 대상이 되며,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관 측·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론적으로 밝히는 기초 기상학과 그것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다른 분야에 활용하는 응용 기상학으로 크게 나누어짐. 기초 기상학에 는 기상 역학·기상 열역학·물리 기상학 등이 있으며, 응용 기상학에는 일기 예 보·농업 기상·산업 기상·항공 기상·해상·기상·위성 기상 등의 분야가 있음. 기압

 

단위 면적에 작용하는 공기 기둥의 압력 (단위 면적의 공기 기둥 안에 있는 공기의 질량에 작용하는 무게)지구 표면의 단위 면적 위에 덮인 공기층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대기의 압력. 기압은 1643년 이탈리아의 토리첼리가 처음으로 한쪽 끝이 막힌 길이 약 1m의 유리관에 수은을 채워 수은이 든 그릇에 거꾸로 세우면, 유리 관 속의 수은이 밑으로 내려가다가 약 76cm의 높이에 멈추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를 '토리첼리의 실험'이라 함. 이때 높이 76cm의 수은주의 밑면에 작용하는 압 력과 같은 대기의 압력(대기압)을 1기압이라 함. 단위에는 밀리바(mb), 토리첼리 (Torr), 헥토파스칼 (hpa) 등이 있는데 현재는 헥토파스칼을 사용함. 1기압 = 760mmHg = 760Torr = 1013mb = 1013hpa

 

기압계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 일반적으로 수은 기압계와 아네로이드 기압계가 쓰 이며, 매우 낮은 기압의 측정에는 피라니 기압계가 쓰임.

 

기압경도력

 

대기압력의 공간적 차에 의하여 나타나는 힘을 말한다. 공기는 기압이 높은 쪽에 서 낮은 쪽으로 힘이 작용한다.

 

기압골

 

기압이 띠 모양으로 낮게 되어 있는 부분. 고기압과 고기압 사이에 생김. 일기도에서는 등압선이 가늘고 길게 뻗어 있음. 일반적으로 기압골이 서쪽으로부 터 다가오며 날씨는 나빠지게 됨.

 

기압의마루

 

일기도에서 고기압의 중심으로부터 길게「V」자 또는「∩」자 모양으로 뻗은 고압 부로 날씨가 맑음.

 

기압의 단위

 

1 기압 = 76cmHg = 1033g중/cm2 = 1013×10 3dyne/cm2 = 1013mb = 1013hPa

 

기온

 

대기의 온도. 일상생활에 쓰이는 기온은 지면으로부터 1.5m 높이의 것을 말함. 기온은 지면에서 약 10km 정도까지는 높이가 100m 높아짐에 따라 약 0.5∼0.6℃ 씩 낮 아지는데, 이러한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범위를 대류권이라 함. 기온 측정

 

지표면 부근의 기온은 보통 수은 온도계로 측정함. 이때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서 직사광선을 피하여 측정해야 하며, 보통은 백엽상에 온도계를 걸어 놓고 일정하게 측정함. 높은 곳의 기온은 라디오존데에 의해 측정하며, 이보다 더 위인 100km까 지는 로켓을 이용하여 측정함. 또 그 이상의 기온은 기상 위성 따위를 이용한다. 관측된 기온은 보통 섭씨 온도(℃), 화씨 온도(℉)로 나타내며, 기온을 하루에 한 번만 측정할 경우에는 오전 9시의 값을 취하나, 대체로 하루의 평균 기온은 오전 3시부터 6시간마다 또는 오전 2시부터 4시간마다 관측한 값을 평균하여 구함. 그러나 최고 온도계와 최저 온도계를 설치하여 그날의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을 알 수 있다면, 그 두 값을 평균하여 일평균 기온을 구하게 되며 이때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의 차이를 일교차라 함.

 

기온역전층

 

고도 11km이하의 대류권내에서는 상공으로 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데 지표면의 복사 냉각이나 찬공기의 유입으로 하층의 기온이 상층보다 낮아진 기층으로 매우 안정하여 바람이 없고 오염물질의 확산이 안되며 서리, 이슬, 안개, 스모그 등이 생김.

 

기온감률

 

대기층에서 상공으로 가면서 나타나는 기온 변화율

 

기층의 안정도

 

상승이나 하강하는 공기가 단열변화를 할 때 주위공기의 온도와 비교하여 계속 움 직일 것인지(불안정), 제자리로 되돌아 갈것인지(안정), 그대로 멈출 것인지(중립)를 판단.

 

기후

 

어떤 지역에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일정 기간의 평균 기상 상황. 기상 기구 (WMO)에서는 1931년부터 1960년까지의 30년 동안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삼고 있음.

 

기후요소

 

기후는 대기 현상의 각종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기후 요소의 결합의 차이에 의하여 각 지역의 기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남. 기후 요소에는 기온, 습도, 강수 량, 바람, 증발, 일조(日照), 일사(日射)가 있다.

 

기후인자

 

기후는 기후 요소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지리적 원인에 따라서도 상당한 영향을 받는데, 이러한 요소를 기후 인자라 함. 기후 인자는 기후의 분포를 명백히 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위도, 해발 고도, 수륙 배치, 해류, 지형 및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등이 이에 속함.

 

기후변동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는 기후의 변동(변화). 현재와 비교하여 온난 ·냉량·한랭 또 는 건조·습윤한가를 검토함. 기후 변동의 연구에는 빙하·단구(段丘)·해침·해퇴 등의 지형학적 증거, 꽃가루 분석에 의한 방법 또는 나무의 나이테 분석에 의한 방법 등이 주로 이용됨. 최근에는 산소의 동위 원소 존재비에 의한 수온 변 화의 역사를 추적함으로써 기후 변동을 추적하고 있음.

 

낙뢰

 

벼락

 

난류

 

유체의 불규칙한 흐름 또는 그러한 상태를 말한다.

 

난방도일 (Heating degree-day)

 

난방공들이 에너지의 수요를 추산하기 위하여 개발해낸 일기온 적용기준으로 일평균기온이 18℃이하로 떨어질 때 사람들이 난로를 사용하기 시작한다는 가정에 토대를 둔 것으로 일평균 기온이 16℃라면 난방도일은 18-16으로 2가 된다.

 

난층운

 

중층운의 하나. 10가지 구름 종류의 하나로 비층구름, 또는 비구름 이라고도 함. 기호는 Ns이고, 2∼7km의 높이에 나타남. 구름의 층이 매우 두껍기 때문에 구름의 밑은 거의 암흑색으로 보이며, 대개 온 하늘에 퍼진다. 저기압의 중심 부근이나 전선 부근 등에 널리 발달하는데, 비나 눈이 내릴 때가 많음.

 

남고북저형

 

전형적인 여름철의 기압 배치로, 가열된 북반구 대륙의 안쪽에 저기압의 중심이 있고, 남쪽 북태평양상에 북태평양 고기압이 위치하고 있는 형태.

 

남동무역풍

 

대기 대순환에 의한 풍계로 남반구 위도30°에서 0°지역으로 부는 남동풍.

 

남방지수 (Southern Oscillation Index : SOI)

 

다른 관측소가 때때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의 다윈과 타히티 사이의 해면기압차를 사용하여 남방진동을 감시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큰 값의 음의 SOI는 warm event를 나타내고 큰 값의 양의 SOI는 cold event (라니냐)를 나타낸다. 엘니뇨의 공간적으로 제한적인 원래 정의를 사용하여 남방진동과 엘니뇨 출현 사이의 일대일 대응은 아니다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 From NCAR ]

 

남방진동 (Southern Oscillation)

 

태평양과 인도-오스트레일리아 지역 사이의 기단의 시이소오이다. 예를 들어 남태평양에서 기압이 낮고 인도네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상공에 고기압이 있을 때 태평양 무역풍은 약화되고, 태평양 적도상과 페루 연안을 따라 차가운 해수의 용승이 약화되거나 멈춰지고 해수면 온도는 용승이 약화되는 지역에서 증가한다. [ From NCAR ]

 

냉각안개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냉각되면서 포화상태에 이르러 발생한 안개. (복사안개, 이류안개, 활승안개 등이 있음)

 

냉방도일 (Cooling degree-day)

 

난방도일과 반대적인 개념으로 평균기온에서 22℃를 뺀 값이다.

 

노점온도(露點溫度)

 

기온의 하강이 일어나면 상대습도는 높아져 쉽게 포화상태에 달하여 기체인 수증 기는 액체로 또는 고체로 변한다. 이때의 온도를 노점이라 한다.

 

높새바람

 

북동풍을 뜻하며 이 바람이 불면 날씨는 맑고 기온이 상승하여 극히 건조해진다. 뱃사람들이 북동풍을 가리켜 높새라고 한 데서 생긴 말. 보통 태백산맥을 넘어 영서 지방으로 내리 부는 고온 건조한 북동풍을 말함. 늦은 봄과 초여름에 습윤 한 바람이 불어와 태백산맥을 넘어오는 사이에 고온 건조한 바람이 됨. 이 바람 이 많이 불면 농토와 농작물이 말라 많은 피해를 봄. 이와 같은 높새바람은 푄 현상에 의한 것으로 푄 바람의 일종임.

 

뇌우

 

천둥, 번개가 치며 내리는 비. 적란운 또는 거대한 적운에서 잘 발생함. 이때 나 타나는 현상은 갑자기 거센 바람이 불고, 몇 분 동안에 기온이 10℃ 이상이나 낮 아지기도 하며, 습도는 거의 100%에 이른다. 때로 우박을 동반하기도 함. 우리 나 라에서는 주로 여름철에 특히 내륙 지방에서 잦게 일어남.

 

 

공기 중의 수증기가 아주 작은 핵을 중심으로 얼음 결정을 이루어 지상으로 내리는 것. 내리는 도중에 녹아서 물방울로 되면 비가 됨. 모양 및 내리는 속도 결정의 모 양은 판 모양, 별 모양, 바늘 모양, 각기둥 모양, 나뭇가지 모양 등 여러 가지이며, 대 체로 육각형을 이룬 것이 많다. 그와 같은 모양은 결정을 이룰 때의 기온에 따라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높을 때는 눈의 결정이 서로 엉겨 붙어 눈송이를 이루며, 기온이 낮을 때는 눈송이를 이루지 못하여 가루눈으로 내림.

 

단열감률

 

단열 된 상태에서 상승이나 하강하는 공기의 체적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면서 온도 가 변하는 현상으로 건조공기 일때는 ±1℃/100m, 습윤공기 일 때는 ±0.5℃ /100m임

 

단열기온변화(斷熱氣溫變化)

 

대기가 상층으로 상승하거나 하층으로 하강할 때 기온상(氣溫上)에 일어나는 변화. 지표에서 가열된 공기 덩어리는 그 밀도가 작아져서 상승 운동을 하게 된다. 공기 덩어리가 상승할 때는 팽창하여 공기 덩어리 자체의 내부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기온은 하강한다.

 

단열변화

 

단열 된 상태에서 상승이나 하강하는 공기의 체적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면서 온도 가 변하는 현상.

 

단열승온

 

단열 된 상태에서 하강하는 공기의 체적이 압력의 증가로 수축 하면서 온도가 올 라가는 현상.

 

단열압축

 

단열 된 상태에서 하강하는 공기의 체적이 압력의 증가로 수축하는 현상.

 

단열팽창

 

단열 변화의 하나. 단열된 상태에서 물체의 체적이 팽창하는 일. 이때에 대부분 의 기체는 온도가 내리며 물체는 냉각됨. 대기는 고도가 높아지면 기압이 줄며 팽창함.

 

달무리

 

달의 언저리에 둥그렇게 둘리어 구름같이 허옇게 보이는 현상. 얼음의 결정으로 된 얇은 구름에 의해서 달빛이 반사, 굴절되어서 일어나는 현상임.

 

대기

 

지구 중력에 의하여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 또한 대기권을 구성하고 있는 기 체를 통틀어 말하기도 함. 대기는 여러 가지 기체의 혼합물이다. 보통 공기라고 하 는 데, 일반적으로 공기란 대기 중에서 수증기를 제거한 건조 공기를 말함. 공기의 대부분 은 질소와 산소이며, 전체 공기 부피의 약 99%를 차지한다. 이 밖에 아르 곤, 이산화탄소, 네온, 헬륨 등 여러 가지 기체가 포함되어 있음. 기체들의 부피 비는, 지표 부근에서 는 어느 곳에서나 거의 일정함. 아주 높은 곳에서는 공기의 상하 운동이 거의 없기 때 문에 성분 기체 중 무거운 기체는 아래쪽으로, 가벼운 기체는 위쪽으로 분리되어 있음.

 

대기권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의 층. 지상 약 1,000km까지를 말하며, 지구 상 전체 공기의 대부분은 지상 약 30km 이내에 존재함. 대기층은 대기의 조성뿐만 아니라 온도나 그 밖의 물리적인 성질이 높이에 따라 다르므로 다시 몇 개의 층으로 나눌 수 음. 일반적으로 기온 분포에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등으로 나눔. 그 밖에도 성층권에 있는 오존층, 열권에 있는 전리층 등이 있음.

 

대기오염

 

그을음, 재, 먼지, 유독 가스 등으로 공기가 더럽혀진 상태. 공기 오염은 연료를 태우는 데서 주로 생기며, 화학ㆍ공업에서 나온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등도 공기 오 염의 주요한 원인이 됨.

 

대기대순환

 

저위도 지방의 태양 복사 에너지가 고위도 지방으로 가기 위하여 지구의 대기가 크게 순환하는 현상. 적도에서 가열된 공기는 극 쪽으로 가면서 코리올리의 효과 (전향력) 때문에 북위 30°부근에서 서풍이 됨. 북위 30°부근에는 공기가 계속 모여 중위도 고압대가 형성되어 하강한 공기의 일부는 무역풍이 되어 적도로 가고, 일 부는 편서풍이 되어 북쪽으로 감. 양극에서는 공기가 냉각되어 고기압이 된 다음, 동쪽으로 치우치면서 편동풍이 되어 사방으로 불어 나감. 편동풍과 편서풍은 북위 60°부근에서 만나 고위도 저압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대기의 대순환이 이루어짐. 남반구의 대기 대순환은 북반구의 대기 대순환과 대칭으로 생김.

 

대류권

 

대기권의 제일 아래층으로 지상 약 12km까지의 기층. 높이는 지역에 따라 다름. 높이가 100m 높아질수록 기온은 약 0.5∼0.6℃씩 낮아짐. 대기 전체의 4분의 3이 이 범위에 있으며, 비·바람·구름·눈 따위의 기상 현상이 일어남.

 

대류권계면(對流圈界面)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를 이루는 기층. 높이는 극지방에서는 지상 8km, 적도 지 방에서는 지상 18km에 달하며, 두 면은 중위도 지방에서 끊어져 있음. 이 곳에 서는 보통 편서풍이 강하고 제트 기류가 관측됨.

 

대류우(對流雨)

 

대기의 상승에 따르는 단열냉각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가열된 가벼운 공기가 상 층으로 올라가면 주위의 찬 공기는 따뜻한 공기를 둘러싸게 되어 대류성의 세포를 이루고, 이것이 냉각됨으로써 구름이 생기며, 마침내는 난적운이 형성되어 맹렬한 비가 쏟아진다. 소나기(squall) 현상.

 

대륙성기단

 

대륙에서 발달하는 건조한 기단. (시베리아기단, 양쯔강기단)

 

대륙성기후

 

해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육지의 내부나 둘레가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 같은 데서 볼 수 있는 기후. 밤낮의 기온차, 추위와 더위의 차가 크며, 일반적으로 강 수량 이 적고. 비는 겨울에는 적고 여름에는 많음. 해양성 기후와는 반대로 기온의 일교 차와 연교차가 크고, 겨울에는 육지의 심한 냉각으로 한대 대륙 기단의 발생지가 되기도 함.

 

대상지수(Zonal index)

 

위도권에 따른 대상류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수를 말하며 지수의 순환주기는 4~6 주 정도이며, 지수 값이 높을 때 태평양ㆍ시베리아 고기압, 알류산ㆍ아일랜드 저기 압이 발달하여 서풍이 강하고, 지수 값이 낮을 때는 고ㆍ저기압 모두 약하며 편서풍도 약하다. 동안기후

 

중위도 지방 대륙의 동안 지역에 나타나는 기후로 편서풍 때문에 공기가 대륙에서 유입되어 겨울에 춥고, 여름에 더우며, 일교차와 연교차가 큼.

 

드라이아이스가루

 

고체 이산화탄소를 일컫는 말. 기체 이산화탄소를 압축하여 액체로 만든 다음, 작 은 구멍을 통하여 뿜어내어 갑자기 팽창시키면, 일부는 기체로 되지만 일 부는 눈과 같은 결정으로 됨. 이 결정들을 압력을 가하여 뭉쳐서 만듦. 드라이아이스는 고체에서 직접 기체 이산화탄소로 되는 성질(승화)이 있고, 이때 주위로부터 열 (기화열)을 흡수하므로 주위의 온도가 내려감. 또 젖지 않는 장점을 가지므로, 가 정용·공 업용의 냉각제로 이용됨. 에테르 등과 혼합시키면 약 -80℃의 온도를 얻을 수 있음.

 

등고선

 

기상에서는 일반적으로 등압면 일기도에 있어서 지오포텐셜 고도가 같은 곳을 연 결한 선을 말한다. 저위도를 제외한 자유대기 중에서는 등고선은 유선에 근사하다.

 

등압변화

 

기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

 

등압선

 

기압이 같은 지점을 연결한 선. 지표면의 여러 관측소에서 측정한 기압 값을 해면의 값으로 보정하여 지도상의 각 관측소의 위치에 기입하고, 기압이 같은 지점을 연결하여 작성함. 등압선은 도중에 없어지거나 서로 교차하지 않으며, 등압선의 간 격이 좁을수록 기압의 차가 크므로 바람의 세기가 강함.

 

등온변화

 

기체의 온도가 변하지 않게 하는 것

 

등온선

 

같은 기온의 지점을 연결한 선. 등온선이 극 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은 위도에 비해 고온임을 뜻하고 적도 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은 위도에 비해 저온임을 의미한다.

 

등풍속선

 

일기도 상에서 풍속이 같은 곳을 연결한 선. 특히 제트류의 분석에 많이 사용된다.

 

등풍향선

 

종관 일기도 상에서 풍향이 같은 곳을 연결한 선을 말한다. 등풍속선과 함께 유선 분석에 이용된다.

 

라니냐 (La Nina)

 

라니냐는 중앙이나 동쪽 적도태평양 지역에서 평년보다 낮은 해수면 온도 출현에 적용된다 (엘니뇨 반대). 많은 과학자들은 라니냐라는 용어 사용을 좋아하지 않고 cold event라고 부르는 것을 더 좋아한다. [ From NCAR ]

 

라디오존데

 

대기 상층의 기상 요소를 자동적으로 측정하여 소형 송신기에 의해 지상으로 송신하는 장치. 각 관측 기계는 매초 5m의 속도로 상승하는 기구에 실려 20∼ 30km의 상공에 이르기까지 관측과 송신을 계속하며, 관측 결과는 지상의 수신기로 수신, 해독하여 기온·기압·습도·풍향·풍속 등의 수직 분포를 알아 냄.

 

레너드효과

 

물방울이 분열되었을 때 큰 물방울이 양의 전기를 작은 물방울이 음의 전기를 가지는 현상을 말한다. 영국의 Simpson은 레너드 효과를 근거로 하여 뇌운의 전기발생과 그 분포를 설명하였다.

 

로스비수

 

회전 유체에서 일어나는 운동에 대하여 관성력이 코리올리힘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무차원수를 말한다. V/2ΩL 로 표시된다. ( V : 유속 , L : 대표적 길이 , Ω : 회전 각속도 ) Ω 대신 Ωsinφ 를 쓴다. ( φ : 위도 )

 

로스비파

 

편서풍대의 대기 파동은 지구 자전의 영향으로 물결친다고 생각하여 1939년에 제창한 파이다. 파장을 L 이라 하고 임계파장을 Ls 라고 할 때 L>Ls이면 서진을 하며 L< Ls 일 때는 동진을 하게 된다.

 

마파람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앞바람. 오풍. 마풍

 

모발습도계

 

습도계의 한 가지. 머리카락이 습도가 높아지면 늘어나고, 습도가 낮아지면 오므라 드는 성질을 이용하여 만든 습도계로 1780년경 프랑스에서 처음 만들었다고 함. 모발 습도계는 아주 간단한 것으로 어는점 이하의 기온에서도 쓸 수 있어 편리하 기는 하나 정확하지는 못함. 머리카락 대신 동물의 털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음.

 

무지개

 

소나기가 그친 뒤 태양과 반대 방향의 하늘에 나타나는 7가지 색깔의 반원형고리. 색깔은 바깥쪽에서부터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의 차례임. 무지 개는 공기 중에 떠 있는 수많은 물방울에 태양 광선이 닿아 그 물방울의 내부에서 굴 절, 반사할 때, 물방울이 프리즘과 같은 작용을 하여 나타나는 현상임. 보통 볼 수 있는 무지개는 본 무지개 또는 제1무지개라고 함. 또 그 바깥쪽으로 또 하나의 무지개가 보이기도 하는데, 이 무지개의 색 배열은 빨간색이 안쪽, 보라색이 바 깥쪽으로 본무지 개와는 반대가 됨. 이를 제2무지개라 하는데, 물방울 속에서 빛이 2회 반사하여 만들어진 것임.

 

미스트랄

 

겨울에서 봄에 걸쳐 부는 한랭한 바람.

 

밀리바

 

기압의 단위. 기호로는 mb로 나타내며, 1바(bar)의 1,000분의 1로서 1㎡의 넓이 에 100뉴턴(N)의 힘이 가해질 때의 압력임. 기압의 단위로는 처음에 mmHg단위가 쓰였으나, 1946년 이후 세계 각국이 mb 단위를 쓰게 되었으며, 각 단위 사이의 환산 관계는 다음과 같음. 1mb=(1/10³)bar=100N/㎡=0.75mmHg

 

백엽상

 

기온이나 습도 등을 재기 위해 최고 온도계, 최저 온도계, 자기 온도계, 습도계 등 을 부착하여 실외에 설치한 작은 집모양의 나무 상자. 직접 햇빛을 받지 않고 비 나 눈을 맞지 않으며, 바람이 잘 통하도록 사방의 벽을 겹비늘 모양으로 만들어야 하 며 햇볕을 흡수하지 않도록 겉에는 흰색 페인트를 칠해 놓는다. 백엽상은 보통 노장(露場)이라고하는 편평한 잔디밭의 중앙에 세우는데, 측정기는 그 눈금이 지 상 약 1.5m 에 놓이도록 설치하고 북쪽 창문을 이용하여 관측함.

 

밴앨런 복사대

 

지구를 둘러싼 2중의 도넛 모양의 복사선이 강한 영역을 말한다. 고 에너지 입자 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안쪽의 것은 고 에너지 양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바깥쪽 은 전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번개

 

많은 전기를 띤 구름과 구름, 또는 구름과 지면 사이에 일어나는 불꽃 방전과 함 께 생기는 강한 빛. 전광 모양, 끈 모양, 나뭇가지 모양 등 여러 가지 모양이 있으며, 길이는 2∼3km가 보통임. 번개가 일어날 때 나는 소리는 전광이 대기 속을 통 과할 때 공기가 가열되어 팽창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임.

 

베르세론(Bergeron)

 

스웨덴의 기상학자로서 국제적인 기상학상의 정의, 코드, 기호 등을 창안 또는 제 정하는데 크게 기여한 사람이다.

 

벼락

 

많은 전기를 띤 구름과 구름, 또는 구름과 지면 사이에 일어나는 불꽃 방전과 함께 생기는 강한 빛 지상에 닿는 경우를 벼락이라 함.

 

병합설

 

열대 지방의 강수 이론으로 크기가 다른 물방울이 구름 속에서 이동할 때 큰 물 방울이 작은 물방울을 병합하여 비가 된다는 설

 

보라

 

겨울철에 별안간 세게 불어 내려오는 차고 건조한 북풍.

 

보우퍼트(Beaufort)

 

영국의 제독 수학자로서 해면의 파랑 상황을 가늠해서 풍력계급을 고안하였다.

 

복사무(輻射霧)

 

야간의 방사로 인하여서 지면이 냉각하여 발생하는 안개로 내륙 분지나 골짜기 같은 곳에 심하게 발생한다. 도시의 스모그 현상도 이 종류에 속한다.

 

복사안개

 

지표면의 복사 냉각으로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응결한 안개로 기온 역전층 이 형성되고, 일교차가 큰 맑은 날 새벽에 잘 생김.

 

복사에너지

 

적외선이나 광선 등의 복사선이 운반하는 에너지. 예를 들면 태양의 빛, 난로의 열, 전등 빛 등과 같은 것임. 복사 에너지는 검은 물체에 잘 흡수되며, 표면이 희거 나 광택이 나는 물체에서는 잘 반사됨.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햇빛에 수직인 1㎠의 면에 대하여 1분간에 약 2cal의 태양 복사 에너지를 받음.

 

부등가열

 

지표면이 똑같이 가열되지 않음

 

부란

 

블리자드의 일종.

 

북동무역풍

 

무역풍의 하나. 북반구의 중위도 지역의 고압대에서 적도 부근의 저압대로 향해 부는 바람을 말하며, 이에 대해 남반구에서 부는 바람을 남동 무역풍이라고 함.

 

북서계절풍

 

아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부 지방에서 겨울철에 부는 계절풍. 북서쪽의 대륙 내부에서 생긴 대륙성 고기압에서 불어 오는 바람으로 매서운 추위를 몰고 옴.

 

북태평양고기압

 

북태평양의 중위도 부근에 존재하는 고온 다습한 해양성 고기압. 겨울에는 남하하 여 약해지나 여름에는 북상하여 세력이 강해짐. 우리 나라에는 장마가 끝난 뒤 여 름철 날씨에 큰 영향을 주며, 높이가 높은 온난 고기압임.

 

불쾌지수(discomfort index)

 

무더위에 대하여 인체가 느끼는 불쾌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 날씨에 따라 사람 이 느끼는 불쾌감의 정도를 기온과 습도를 조합하여 나타내는 수치. 1959년 여름 에 미국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체감 온도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불쾌 지수는 0.72×(기온+습구 온도)+40.6으로 계산됨. 통계에 따르면 불쾌 지수가 75 이상 이면 50%의 사람이, 80이상이면 대부분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낌.

 

불포화공기

 

상대습도가 100%에 이르지 못한 건조 공기

 

블리자드

 

눈보라를 수반하는 강풍으로 극심한 추위와 간한 눈보라를 몰아온다.

 

비습(比濕)

 

1㎏의 습윤대기 중의 수증기량(g)을 표시한 것. 즉, 수증기의 질량과 이에 관계되 자연공기의 질량과의 비.

 

비열

 

어떤 물질 1g의 온도를 1℃만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비열은 어떤 물체에 가한 열량(cal)을 그 물체의 질량(g)과 온도 변화(℃)의 곱으로 나누어 구하며, 일반적으로 물질의 비열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물질의 특성이 될 수 있음.

 

빈의법칙

 

절대 온도 T인 흑체(黑體)에서는 여러 가지 파장의 빛이 각기 다른 세기로 방출되 는데, 세기가 가장 큰 빛의 파장 λ는 T에 반비례한다는 법칙. 빈의 변위 법칙 이 라고도 한다.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음. λ T = a(a는상수)

 

빙정

 

대기 중에서 생긴 매우 작은 얼음의 결정. 공기가 0℃ 이하로 식으면 포화된 수증 기가 빙정핵을 중심으로 승화하여 빙정이 됨. 빙정에 공기 중에 있는 매우 찬 물 방 울이나 다른 빙정이 달라붙으면 차차 결정이 커져서 눈송이가 되며, 빙정은 맨 눈으로 는 보이지 않고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데, 보통 바늘 모양, 육각뿔 모양, 삼각판 모양 등 여러 가지 결정 구조로 되어 있음. 중위도 지방에서 지상 약 5km 이상의 상층운(권 운, 권적운, 권층운)의 구름 알갱이는 빙정으로 이루어져 있음.

 

빙정설

 

온대나 한 대 지방의 구름속에서 빙정과 과냉각수적이 공존할 때 포화수증기압 차 이로 과냉각수적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빙정에 승화하여 빙정이 낙하하면서 비나 눈이 된다는 설.

 

빙정핵

 

수증기가 승화하여 어는 경우에 필요한 핵. 빙정핵의 크기와 대기의 온도에 따라 서 얼음 결정이 생기는 조건이 다르다. 빙정핵에는 과냉각된 물방울이 동결된 동 결핵과 수증기에서 직접 승화되어 핵이 된 승화핵이 있으며, 주로 모래의 미세한 입자 나 화산의 재가 빙정핵이 되는데, 유성진과 같이 지구 밖에서 날아오는 것도 있음.

 

사이클론

 

기상 용어. 인도양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의 일종으로 1년에 2∼3회 발생하 는데 주로 벵골만, 아라비아해에서 계절풍이 발달하기 전(5∼6월)과 뒤(10월)에 많이 발생함.

 

산곡풍

 

산악 지방에서 하루를 주기로 부는 대류풍의 일종. 낮에는 골짜기에서 산등성이로 곡풍(골바람)이 불고, 밤에는 산등성이에서 골짜기로 산풍(산바람)이 분다. 낮에는 산등성이의 기온이 높고, 골짜기의 기온이 낮기 때문에 곡풍이 불게 되며, 밤에는, 낮 과는 반대로 골짜기의 기온이 높고, 산등성이의 기온이 낮기 때문에 산풍이 분다.

 

산성비

 

황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산성도가 높은 비. 석탄이나 석유가 연소 하여 생긴 이산화황이 대기 중에서 산화하면서 황산으로 되어 빗방울에 녹아 들어간 것임. 토양이나 육상의 물을 산성으로 바꾸어 놓아 해를 입힘.

 

산풍

 

산악 지방에서 하루를 주기로 부는 대류풍의 일종. 밤에는 낮과 반대로 골짜기의 기온이 높고, 산등성이의 기온이 낮기 때문에 산등성이에서 골짜기로 산풍(산바람) 이 불게 됨.

 

삼한사온

 

한국과 중국 동북 지방에서 볼 수 있는 기후 특성의 한 가지. 겨울철에 약 3일간 추운 날씨가 계속되다가 다음에 4일 가량 따뜻한 날씨가 계속되는 주기적 기후 현 상을 말함. 겨울철의 날씨를 지배하는 대륙성 고기압의 확장과 분리된 이동성 고 기압이 통과하는 주기가 보통 7일간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임.

 

상당온도

 

포화공기를 혼합비가 0이 될 때까지 단열적으로 팽창시킨후 다시 본래의 기압까지 건조과정으로 단열 압축하였을 때 갖는 온도를 말한다. Te = Texp(Lxs/CpT) T : 초기상태의 온도 Cp : 정압비열 L : 응결시 발생한 잠열 xs : 포화혼합비

 

상대습도(相對濕度)

 

기후요소로서 보통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기온에 있어서의 포화수증기압에 대한 비율(%)로써 표시된다. 기온이 높고 수증기압이 낮을 때는 상대습도는 낮다. 현재 공기 속에 있는 수증기의 양과 그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의 양과의 비. 상대 습 도는 공기 1㎥에 들어 있는 수증기의 질량(g)을 현재 기온에서 1㎥내의 포 화 수증기의 질량(g)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고쳐 구함. 보통 습도라고 하면 이 상 대 습도를 가리키며, 상대 습도는 건습구 습도계나 모발 습도계 등으로 측정함.

 

상변화

 

고체에 열을 가하면 융해되며, 고체가 전부 융해할 때까지 온도는 올라가지 않는 다. 계속해서 열을 가하면 기체로 변한다. 반대로 기체를 냉각시키면 액체, 고체로 환원되는 변화를 말한다.

 

상승응결고도

 

불포화공기가 상승하면서 기온하강으로 포화되어 응결이 시작되는 높이. { h = 125 ( T - Td ) }

 

샛바람

 

동풍(東風)

 

생육도일 (Growing degree-day)

 

농민들이 파종, 재배 및 수확의 적절한 시기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며 생육도일은 일평균기온이 기본온도보다 1도 높은날로 정의된다.

 

서고동저형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볼 때 (북)서쪽에 고기압, (남)동쪽에 저기압을 이루는 전형 적인 겨울철 기압 배치.

 

서리

 

공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붙은 것. 맑고 바람 없는 밤의 기온이 어는점 이하로 떨 어질 때, 공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에 접촉해서 얼어붙은, 흰 가루 모양의 얼음을 말함.

 

선형풍

 

원심력과 수평 기압경도력이 완전히 평형상태에서 부는 가상적 바람을 말한다.

 

성층권

 

대류권과 중간권 사이의 기층. 지구의 표면으로부터 대체로 12∼50km 사이에 있 는 대기의 층이며, 성층권에서는 높이 올라감에 따라서 대류권과는 반대로 기온이 계속 올라가는데, 이는 성층권에 있는 오존층이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흡수 하여 가열되기 때문임.

 

성층경계면(成層圈界面)

 

성층권과 중간권의 경계면. 지상으로부터의 높이는 약 50km임.

 

수은기압계

 

수은주의 높이에 의해 기압을 재는 것으로, 토리첼리의 실험과 같은 원리이며, 높 이 약 1m인 유리관에 수은을 넣고, 이것을 수은이 담긴 용기 속에 거꾸로 세우면 대기압과 수은주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는 상태까지 수은주의 높이가 내려간다. 이 때의 수은주의 높이로 기압을 측정함.

 

수증기압(水蒸氣張力)

 

대기중의 수증기의 압력. [헥토파스칼(hPa)]

 

수치예보

 

전자 계산기로 대기의 운동 방정식을 수치 계산하여, 예상 일기도를 만듦으로써 일기를 예측하고 예보하는 방식.

 

순압대기 (Barotropic atmosphere)

 

등압면이 동시에 등밀도면이기도한 가상의대기로 지균풍이 고도변화를 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바람이 고도변화를 하지않는 대기

 

숨은열

 

온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일 없이, 단지 물질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데 소비되 는 열. 잠열(潛熱)이라고도 함. 예를 들어, 0℃의 얼음 1kg에 80kcal의 열을 가하 면 0℃의 물이 되는데, 이처럼 온도는 0℃를 유지하면서, 얼음에서 물로 상태만 바꾸는 데 쓰이는 열이 바로 숨은열임.

 

슈테판볼츠만법칙

 

흑체의 단위 표면적에서 방출되는 모든 파장의 빛에너지의 총합 E는, 흑체의 절대 온도 T의 4제곱에 비례한다는 법칙. 슈테판이 실험적으로 알아냈고, 볼츠만이 열 역학 이론에 의하여 유도하였음.

 

스모그

 

대기 오염 현상의 한 가지. smoke(연기)와 fog(안개)를 합친 말로 원래는 안개와 연기가 섞인 것, 또는 안개가 연기로 더럽혀진 것을 말하지만, 지금은 안개에 관 계없이 대기 오염에 의해 도회지의 공기가 더렵혀져서 눈앞이 잘보이지 않는 현 상이 발생한 상태를 말함. 스모그는, 공장의 굴뚝에서나 가정 난방으로 생긴 매연 이 원인인 런던형과 자동차의 배기 가스가 주된 원인인 로스앤젤레스형으로 크게 나누기도 하며, 자동차가 많은 대도시에서는 배기가스가 태양 광선의 작용으로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유독 가스의 농도가 높아진 경우인 광화학 스모그도 있는 데, 이는 특히 사람의 눈에 매우 해로움.

 

스호베이

 

한해를 일으키는 건열풍. 40℃를 넘는 고온과 습도20%이하의 건조한 바람으로 심 한 한발의 원인이 된다.

 

습구온도

 

건습구 습도계의 두 개의 온도계 중 물 축인 헝겊으로 싼 온도계가 가리키는 온도.

 

습도

 

공기 중에 있는 수증기의 비율. 어느 온도의 공기 속에 들어 있는 수증기의 양이 같은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량의몇 %에 해당되는가로 나타낸다. 상대습도=[{공 기 1㎥에 들어 있는 수증기량(g)}/{현재 기온에서 1㎥내의 포화 수증기량(g)}]× 100(%) 일 반적으로 습도라 하면 이 상대 습도를 말하며, 온도에 관계없이 1㎥의 공기 속에 들어 있는 수증기의 양을 g수로 나타낸 것을 절대 습도라 함.

 

습도계

 

건습구 습도계, 모발 습도계, 자기 습도계 등이 있음. 가장 간단하고 널리 쓰이는 것은 건습구 습도계로서 물의 증발현상을 이용한 것이며, 모발 습도계는 습도에 따라 머리털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그다지 정확하지는 않음.

 

습윤공기

 

포화공기

 

습윤단열감률(濕潤斷熱減率)

 

응결하여 수적이 형성될 때 응결열을 방출하므로 응결한 후의 기온 체감률은 완화 된다. 이 때의 냉각률을 습윤단열감률이라 한다.

 

습윤단열변화

 

포화 상태에 있는 공기의 단열 변화. 지구 표면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승 기류 를 타고 오를 때, 상승 기류 중의 수분들이 서로 응결되면서 물방울을 만드 는 습 윤 단열 변화를 일으킴. 이 때에 이슬점이 어는점 이상인 경우에는 수증기가 물 방울로 변하고 어는점 이하이면 빙정 또는 과냉각 상태의 물방울로 변함.

 

승화

 

고체가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직접 기체로 되거나 반대로 기체가 직접 고체로 되는 현상. 예를 들면 나프탈렌이나 장뇌, 드라이 아이스가 녹는 일없이 점점 작아 지는 현상은 승화에 의한 것이며, 자연 현상에서 서리나 눈은 공기중의 수증기가 0℃ 이하로 차게 식어 승화하여 생긴 것임.

 

시로코

 

모래를 포함한 맹렬한 고온건조한 바람.

 

시베리아고기압

 

겨울철에 시베리아지방에 있는 공기가 냉각되어 주위에 있는 공기보다 밀도가 크 므로 기압이 높아진 한랭한 고기압. 겨울에 생기고, 우리 나라 겨울철 날씨를 지배 함.

 

시베리아기단

 

겨울에 시베리아에서 발생하는 한랭 건조한 기단. 우리 나라의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침.

 

시정

 

공기의 혼탁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수평 방향의 대상물을 눈으로 직접 보고 분간할 수 있는 최대 거리.

 

신기루

 

바다나 사막에서 먼 곳에 있는 물체가 공중에 떠올라 보이거나 거꾸로 비쳐 보이 는 현상. 지표나 수면 부근의 대기와 그것에 접한 대기간에 기온의 차가 클 경우, 2개의 서로 다른 기온층 사이를 빛이 통과할 때 굴절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 임.

 

아네로이드기압계

 

기압을 측정하는 장치의 하나. 얇은 금속으로 만든 진공 상태의 용기가 기압이 높 아지면 오므라들고, 기압이 낮아지면 부풀어오르는 것을 이용한 것임. 휴대하기에 편리하고 견고하기 때문에 선박이나 항공기 등에 널리 쓰이고 있음.

 

아보가드로 수

 

어떠한 기체에 대해서도 그 1킬로몰속에 포함되어있는 분자의 수. NA=6.022×1026

 

아열대고압대

 

남·북위 30∼35°사이에 띠 모양으로 자리잡은 기압이 높은 지역. 중위도 고압대라 고도 하며, 연중 하강 기류가 있어서 습도가 낮고 날씨가 좋음. 세계의 사막 지역 의 대부분이 이 고압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음.

 

안전반원

 

태풍의 왼쪽 반원으로 태풍이 중위도 지방 편서풍대를 지날 때 태풍의 왼쪽 반원 은 편서풍과 태풍의 바람이 충돌하여 상쇄 되므로 비교적 바람이 약함

 

안정한기층

 

기온감률에 비하여 단열감률이 크므로 공기의 연직 운동이 일어나지 못하는 기층 상태.

 

알베도 (Albedo)

 

지표면에 도달하는 복사 에너지와 여기서 반사되는 복사에너지의 비율.

 

에어로졸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많은 고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 바닷물이 증발할 때 생 기는 소금 가루, 화산의 분연, 공장 굴뚝에서 뿜어내는 각종 미립자, 꽃가루, 박테 리아 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크기 0.1mm 이하의 것을 가리키며, 이것들은 햇빛을 산란 시키고 흡수하기도 하여 기온을 저하시켜 이상 기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시정(視程)을 흐리게 한다.

 

엘니뇨 (ElNino)

 

엘니뇨는 원래 페루와 에쿠와도르 해안을 따라 동적도 태평양 지역에서 때때로 warm surface water 출현을 묘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2∼3년마다 minor 엘니뇨가 발생하고 8∼11년마다 major 엘니뇨가 발생한다고 한때 제안되었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엘니뇨가 4∼5년 순환주기를 가지고 있음을 주목한다. 엘니뇨가 발생할 때, 종종 12∼18달 동안 지속된다. [ From NCAR ]

 

엘니뇨/남방진동(ENSO)

 

엘니뇨/남방진동은 현재 과학자들에 의해서 장기간 평균을 비교할 때 해수면 온도 감소 뿐만 아니라 해수면 온도 증가를 포함하는 남방 진동의 전체 범위를 묘사하는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중앙과 동쪽 적도 태평양에서의 해수면 온도의 가온인 가온 상태 또는 더 넓은 관점의 엘니뇨를 설명하기 위해서 과학자들에 의해서 때때로 사용된다. 두문자어 ENSO는 El Nino (엘니뇨) - Southern Oscillation (남방진동)의 합성이고 여기에서 엘니뇨는 해양 성분이고 남방진동은 현상의 대기 성분이다. ENSO는 TV난 신문 등과 같은 매스컴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더 폭넓은 의미의 엘니뇨 정의가 때때로 ENSO을 대신하여 사용되어왔다. [ From NCAR ]

 

역전층

 

기온이 고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층을 말한다.

 

역전(逆轉)현상

 

기온은 높이에 따라 낮아지는 것이 정상이나 특수한 경우에는 반대로 낮은 곳이 높은 곳보다 저온일 때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기온의 역전(逆轉)이라 한다. 춥고 긴 겨울 밤, 바람이 없이 맑게 개인 날, 또는 눈이나 얼음 등으로 지면이 덮 여있을 때 잘 나타난다.

 

연교차

 

1년 중에서 가장 더운 달인 최난월과 가장 추운 달인 최한월이 있는데 최난월과 최한월과의 온도차이를 연교차라 한다. 연교차는 고위도로 갈수록 커진다.

 

열권

 

열권은 대기권에서 가장 높은 부분을 차지하는 층으로, 지표면에서부터 8 5∼600km 사임. 열권에서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급격히 높아져서 낮에는 약 1700℃나 되는 높은 온도에 이르며, 공기가 희박하므로 소량의 태양 에너지가 와도 입자 하나하나가 받는 에너지가 많으므로 밤과 낮의 기온차가 현저하게 나타 남.

 

열대수렴대

 

북동무역풍과 남동무역풍이 모여드는 열대 저압대.

 

열대저기압

 

열대 지방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으로 중심 기압이 960mb 이하이며, 중심 부근에 맹렬한 폭풍권이 있고, 전선을 동반하지 않음. 중위도의 온대저기압에 대하여 열대 에 발생해서 온대를 스쳐가는 열대저기압을 말하며 아시아에서는 태풍(typhoon), 북미에서는 허리케인(hurricane), 인도에서는 사이클론(cyclone), 오스트레일리아에 서는 사이클론 또는 윌리윌리(willywilly)등으로 불리운다. 태풍의 중심 최대 풍속은 32m/sec이상이다.

 

열대해상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양 회귀선(위도 23°27′) 사이의 해상.

 

열섬

 

대기오염과 냉·난방기구, 도로포장, 각종 건축물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기온이 높 은 도시 지역을 말함.

 

오로라

 

남극이나 북극 부근의 하늘에 백색, 녹색, 적색 등의 빛이 베일 모양 또는 방사상 등으로 나타나는 현상. 극광이라고도 함. 위도 70°이상의 지방에서 많이 일어나 며, 빛이 강해지거나 약해지거나 또는 이동하기도 하며, 태양에서 오는 미립자가 대기 중에 있는 원자나 분자와 충돌하여 전리 현상에 의해 전기를 띤 대기의 입자 가 지구 자기장의 영향으로 극지에 모이게 되어 서로 충돌하기 때문에 발광하는 것임. 오로라 의 높이는 100km로부터 수백 km에 이르고, 스펙트럼 분석을 해 보 면 산소, 질소, 수소 등의 원자나 분자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음.

 

오오츠크해기단

 

오오츠크해 부근에 중심을 두고 있는, 기온이 낮고 습기가 많은 기단. 이 기단의 세력이 동해상까지 확장하여 남해상까지 북상한 북태평양 고기압과 마주치게 되면 장마 전선을 형성함.

 

오존층

 

성층권 상층 높이 20∼25km 사이의 오존이 밀집해 있는 층. 오존이 검출되는 1 0∼15km 사이의 성층권도 오존층이라하기도하며, 층의 높이는 계절에 따라 변하 는데, 겨울에서 봄까지는 낮고, 여름에서 가을까지는 높다. 한편 오존의 양은 봄에 가 장 많으며, 가을에 최소가 된다. 오존층은 대기 속의 산소 분자가 파장 2400Å 이하의 파장이 짧은 태양 자외선을 흡수하여 분해함으로써 생긴 것임.

 

온난고기압

 

대기 대순환에 의한 하강기류로 중위도 고압대에 발달하는 고기압으로 중심 온도 가 높고 키가 크며, 우리나라의 여름철에 영향을 주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대표적 인 온난고기압임.

 

온난전선

 

난기와 한기가 접하면 난기는 한기 위를 골승하여 올라가 완만한 불연속면을 이루 는데 이를 온대전선이라 하며 전선부근에 난층운이 생겨 비를 수반한다. 이 전선 을 경계로 풍향, 풍속, 기온, 습도 등의 기상 요소가 바뀜. 온난 전선을 타고 더운 기류가 상승 하면, 냉각되어 구름을 생성하며, 비 또는 눈이 내린다. 이 경우의 비 는 대개 가늘게 끊임없이 오는 비이다. 온난 전선이 지나간 다음에는 일반적으로 기압은 감소하며, 기온이 높아짐.

 

온대

 

기후대의 한 가지. 열대와 한대 사이에 있는 지역으로, 위도로는 대체로 남북 회귀 선(남위·북위 23.5°)에서 남극권, 북극권(남위·북위 66.5°)까지의 사이를 가리킴.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8∼3℃인 지대로서 4계절의 변화가 뚜렷함.

 

온대기후

 

4계절의 변화가 뚜렷하고,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8∼-3℃로 겨울에는 따 뜻하고, 여름에는 덥고 비가 많음. 동아시아, 서유럽,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부와 서부 해안,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동부, 아르헨티나의 동부 등이 이에 속하며, 강 수량의 계 절적 변화에 따라 일년 내내 건기가 없는 온대 습윤 기후, 겨울에 건기 가 나타나는 온대 하우 기후, 여름에 건기가 나타나는 지중해성 기후로 나누어짐.

 

온대저기압

 

온대 지방에서 발생한 저기압. 온대 지방에 형성되는 온대 고기압과 그 북쪽에 잇 닿아 형성되는 한대 전선 사이의전선상에 보통 발생함. 이 저기압은 발생 초기부 터 전선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이며, 저기압의 반지름이 열대 저기압의 반지름에 비해 훨씬 큼. 이 저기압이 접근하고 있을 때는 기온이 상승하고 구름이 점차 낮 아져서 비가 오기시작하며, 일단 통과하면 비가 멈추고, 날씨는 갠 후 다시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서 소나기가 내리고 추워 지기도 함.

 

온도풍

 

지균풍이 불고있는 2개의 등압면이 있을 때 그 사이에 낀 기층의 평균기온의 수평 경도와 비례하는 2 면의 지균풍 차이를 말한다. 온도풍은 윗, 아랫면의 지균풍 층 밀림 벡터의 방향으로 즉, 등온선에 평행하게 분다.

 

온량지수(Index of wormth)

 

일년중 월 평균 기온이 5℃ 이상인 달에 대해 월 평균 기온과 5℃의 차를 연간 합 산한 적산온도를 말하며 단위는 <℃.월>이다. WI = ∑(T-5)i : 월평균기온이 5℃ 이상이 되는 달

 

온실효과

 

대기 중의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는 파장이 짧은 태양 광선을 잘 통과시켜 지면을 가열시키지만, 가열된 지면에서 방출되는 파장이 비교적 긴 지구 복사는 거의 통 과시키지 않고 흡수하여 온실처럼 보온되는 효과.

 

요오드화은

 

AgI. 감광성이 있어 사진에 쓰이며, 인공강우에 응결핵으로 쓰임.

 

용오름

 

지름이 수m∼수백m의 강력한 저기압성 소용돌이로서 적란운의 바닥에서 지상까 지 좁은 깔대기 모양을 이룸.

 

우량계

 

비나 눈 따위가 내린 양을 재는 계기. 보통 지름 20cm의 원통에 빗물을 받아서 그 깊이를 재어 나타냄. 눈이나 우박등은 원통에 들어온 것을 녹여서 재거나 무 게를 달아서 깊이 단위로 환산하며, 조선 세종 23년(1441년)에 설치된 측우기가 세계 최초의 우량계로 알려져 있음.

 

우박

 

하늘에서 눈의 결정 주위에 차가운 물방울이 얼어붙어 얼음이 되어 땅 위로 떨어 지는 덩어리. 주로 적란운에서 발생하며 한 지점에서 보통 몇 분 정도면 그치지만, 때로는 30분 이상 내리는 경우도 있음. 우박은 전체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핵을 중심 으로 투명한 얼음층과 불투명한 얼음층이 번갈아 싸고 있으며, 그 크기는 보 통 지름이 1cm 미만이지만 2∼3cm 정도의 것도 많고 그보다 훨씬 큰 것도 있음.

 

운량

 

하늘을 덮고 있는 구름 양의 비율. 하늘 전체(눈에 보이는 범위)의 몇 %쯤이 구 름으로 덮여 있는지에 따라서 0에서부터 10까지의 11계급으로 나누고 있음. 구름 의 두 께나 종류에는 관계없이 하늘 전체의 30%가 덮여 있을 때는 운량 3으로 다 소 구름이 라고 하며, 비, 안개, 눈 따위가 없는 운량 0∼2일 때를 맑음, 운량 3∼ 7일 때는 다소 구름, 운량 8∼10일 때를 흐림이라고 함.

 

운형

 

구름의 종류로 층운형, 적운형, 권운형, 난형 등이 있음.

 

원격상관 (Teleconnections)

 

원격상관은 멀리 떨어진 지역사이 대기의 상호작용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원격상관은 (시공간에서) 통계적인 상관 (correlation)을 통해서 인식되었다. 이 상관들의 일부는 원격상관과 관련된 지구물리 과정에 관한 가설을 세우는데 사용되었다. 세계 대부분 나라들은 이러한 양상의 남방진동에 관심을 두고 있다. [From NCAR]

 

웜 이벤트 (Warm event)

 

Warm event는 중앙과 동쪽 적도 태평양 해수면 온도의 비정상적인 온난에 적용된다. 이 용어는 ENSO와 엘니뇨와 같은 다른 용어의 사용에 대한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사용되곤 한다. 위에서 언급된 지역에서의 온난은 서쪽 적도 태평양에서의 상대적인 냉각을 동반한다. [ From NCAR ]

 

위험반원

 

태풍의 오른쪽 반원으로 태풍이 중위도 지방 편서풍대를 지날 때 태풍의 오른쪽 반원은 편서풍과 태풍의 바람이 가세 되므로 바람이 강함.

 

윈드칠지수(Wind-chill)

 

한랭기후 하에서는 냉각효과를 고려하여 기온과 바람으로 인한 체감온도를 구하는 데 이를 윈드칠 지수라 한다.

 

윌리윌리

 

 

 

오스트레일리아 지방을 남서진하는 열대 저기압.

 

융해열

 

일정량의 고체가 같은 온도의 액체로 되는 데 필요한 열량. 보통 1g의 고체가 녹 는점에서 융해하여 같은 온도의 액체로 될 때에 필요한 열량(칼로리)을 그 물질의 융해열이라고 함.

 

응결

 

수증기와 같은 기체의 온도를 낮추거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압축할 때 기 체의 일부가 액체(물방울)로 바뀌는 현상.

 

응결고도(凝結高度)

 

어느 높이가 되면 대기 중의 수증기는 포화 상태가 되어 응결되어 구름이나 비가 된다. 그 때의 높이는 대기 상태에따라 다르며, 그 높이를 응결고도라고 한다.

 

응결열

 

기체가 응결할 때에는 기화열과 같은 열량을 밖으로 내는데, 이 열량을 응결열이라 함.

 

응결핵

 

수증기의 응결을 촉진 시키는 흡습성이 강한 부유 미립자. (염분, 이산화황, 질소 산화물, 먼지 등)

 

이동성고기압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이동해 가는 고기압. 우리 나라 부근의 중위도 지방에서는 매 시 40∼50km의 속도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해 가며, 풍속은 매초 5∼6m 이하 이고, 이동성 고기압의 중심부에서는 대체로 맑은 날씨가 됨. 이류무(移流霧)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저온의 수면이나 지면과 접할 때 발생하는 안개를 말하며 해무라고도 한다. 보통 해안지방에서 자주 발생한다.

 

이상기상

 

통계적으로 나타나는 빈도가 매우 드문 대기의 현상. 일정한 통계 기간이있는 것 은 아니나, 대체로 30년에 한 번 정도 나타나는 기상 현상을 가리켜 흔히 그렇게 말함. 이상 기상은 주로 세계적인 대기의 대순환 상태가 여느 때와는 크게 다른 때에 일어나며, 대순환의 변동 원인으로는 태양 활동의 변화, 화산 폭발로 말미암 은 화산재가 태양 광선을 가렸을 경우 등을 들 수 있음.

 

이슬점

 

공기 속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이슬이 생기기 시작하는 온도. 노점(露點)이라고도 함. 이슬점은 수증기의 양에 의해 결정되므로 공기 속에 있는 수증기의 양을 나타 내는 기준이 됨.

 

이슬점온도

 

이슬점

 

이슬점온도변화

 

상공으로 갈수록 기압이 낮아지므로 공기의 부피가 커져 수증기압이 감소하게 된 다. 따라서, 이슬점은 낮아지는데 그 비율이 100m당 약 0.2℃임.

 

인공강우

 

인공적으로 비를 내리게 하는 일. 빙정에 의해 비가 내린다는 원리를 응용하여, 드 라이 아이스(고체 이산화탄소)나요오드화은을 구름 속에 뿌려서 비의 원인이 되 는 빙정을 만들어 비를 내리게 하는 방법. 수차례 실험에는 성공하였으나, 아직 실용화되지는 못하고 있음.

 

일교차

 

하루 동안에 관측된 기상 요소(기온, 기압, 습도 등)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

 

일기도

 

일정 지역의 일기 상태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지도 위에 기상의 상태를 기호 등 으로 나타낸 그림. 일정한 시각의각지의 일기, 구름의 양, 풍향, 풍력, 기압 등 모 든 기상 요소의 값을 기호로 나타냄. 특히 기온이나 기압과 같이 연속된 양을 나 타낼 경 우에는 등온선이나 등압선 등을 이용하는 표현도 아울러 사용되며, 일기 도는 일기 예보의 기초가 됨.

 

일기예보

 

기상청이 일기도 등에 의해 앞으로 다가올 날씨를 미리 알리는 일. 일기 예보는 그 예보 기간에 따라 단기 예보와 장기 예보로 나뉜다. 단기 예보는 72시간까지, 곧 오늘, 내일, 모레까지의 예보이다. 장기 예보는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 2회에 걸 쳐 예보하는데, 화요일에 하는 것은 금요일에서 다음 주 목요일까지, 금요일에 하 는 것은 다음 주 월요일에서 일요일까지 각기 한 주일 동안의 예보이다(실제로는 발표하는 날 부터 10일간을 예보하지만 처음 3일간은단기 예보에 딸린다). 또 매 월 말에 다음 한 달 동안의 기후 변화를 예보하기도 하는데, 그러한 장기 예보를 달리 월간 기상 전망 이라고도 한다. 어느 예보든지 일정 시각에 각지의 측후소에 서 관측한 자료를 모아 일 기도를 만들고, 일기 변화의 형태나 법칙에 따라 예상 일기도를 만든 뒤에 발표함. 요 즈음은 기상 레이더, 무인 관측소, 로켓 및 컴퓨터 를 이용함으로써 일기 예보는 보다 정확해졌으며, 특히 기상 경보나 기상 주의보 는 각지의 측후소가 직접 발표함.

 

자외선

 

전자기파의 한 가지. 파장이 가시 광선보다 짧고 X선보다는 길다. 스펙트럼은 보 라색의 바깥쪽에 있으며, 눈으로는 볼 수 없지만 사진 필름에는 감광 된다. 태양 광 선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염료의 색을 변하게 하거나 공기 중의 산소를 오 존으로 만드는 화학 작용이 있음.

 

잠열

 

물질이 상태 변화를 할 때 출입하는 열. (수증기응결열, 융해열 등)

 

장마

 

북태평양 기단과 오호츠크해 기단이 만나서 생기는 전선이 장시간 많은 비를 몰고 오는 기상현상.

 

장마전선

 

북태평양 기단과 오호츠크해 기단이 만나서 생기는 전선이 장마를 몰고 오는데, 이를 장마 전선이라 함.

 

저기압

 

기압이 주위보다 낮은 구역. 이 구역에서의 바람은 기압이 낮은 중심을 향하여 북 반구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중심을 향해 불어 들어가는 소용돌이가 되어 나타나며, 중심에 가까울수록 바람의 속도는 빠름. 또 중심 부근에서는 상승 기류로 인해 구름이 생성되어 비 또는 눈이 내리기도 함.

 

적도무풍대

 

북동 무역풍대와 남동 무역풍대 사이에 낀 적도 부근의 지대. 적도를 중심으로 하 여 북위 5∼6°, 남위 5∼6°내에 자리잡은 지역은 북동 무역풍과 남동 무역 풍이 마주치는 곳으로 지표면이 흡수하는 태양의 복사 에너지량도 어느 지역보다 많으 며, 대기의 상승 운동이 대단히 왕성함. 적도 무풍대에서는 바람이 거의 불지 않으며, 기온이 매우 높고 비가 많이 내리므로 수목이 잘 자라며, 열대 우림 기후대 또 는 적도 저압대라고도 함.

 

적도수렴대

 

북동무역풍과 남동무역풍이 모여드는 열대저압대.

 

적란운

 

수직으로 발달하는 구름의 한 가지. 열 가지 구름 종류 가운데 하나로 쌘비구름, 또는 소나기구름이라고도 함. 기호는 Cb이고, 지표로부터 13km 높이 사이에 나타 나며, 산봉우리나 탑 모양으로 솟아 있음.

 

적산온도(積算溫度)

 

매일매일의 평균 기온에서 생리적 영점 이상의 기온을 적산한 것.

 

전선

 

전선면이 지표면과 접하는 선을 전선(front)이라고 한다. 전선의 종류로는 온난전선, 한랭정선, 폐색전선, 정체전선으로 구분한다.

 

적운

 

수직으로 발달하는 구름의 한 가지. 열 가지 구름 종류 가운데 한 가지로 쌘구름, 또는 뭉게구름이라고도 하며, 기호는 Cu이고, 지표로부터 13km 높이 사이에 나타 남. 꼭대기는 둥글고 밑바닥은 편평한 덩어리 구름으로, 여름철에지면이 가열되면 잘 생김.

 

적운형구름

 

구름 모양의 한 가지. 구름을 모양에 따라 분류할 때 뭉클뭉클하게 솟는구름으로 상승 기류가 강할 때 잘 생기는 구름을 가리킴.

 

적외선

 

가시 광선보다 파장이 긴 전자기파. 열선(熱線)이라고도 함. 태양 광선이나 전등 빛의 스펙트럼 중에서 빨간색보다바깥쪽에 있는 부분이며, 눈으로는 느낄 수 없 지 만 물체에 흡수되어 열에너지로 변함. 전파나 가시 광선과 마찬가지로 파동의 성질을 지닌 전자기파의 한 가지로 파장 범위는 0.75μm∼1mm 정도임.

 

전선

 

기온, 습도, 풍향 등이 다른, 두 개의 기단(氣團 : 공기 덩어리)이 부딪칠 때 생기 는 경계면(전선면)이 지표면과 만나서 이루어지는 경계선. 불연속선이라고도 하며, 온난 전선, 한랭 전선, 폐색 전선, 정체 전선이 있음.

 

전선대

 

전선이 발달하는 지역

 

전선면

 

이질적인 기단이 접촉하여 그 접촉면은 하나의 불연속면을 만드는데 이를 전선면 이라고 하며. 온도나 습도 등의 성질이 다른 두 기단이 만나면 잘 섞이지 않고 서 로 부딪쳐서 따뜻한 기단이 찬 기단 위로 올라가서 그 사이에 경계면이 생기는데, 이를 전선면이라 하며, 전선면은 보통 찬 기단 쪽으로 기울어져 생김.

 

전선무(前線霧)

 

성질이 다른 기단 사이의 경계에 해당하는 전선에 생기는 안개. 즉 따뜻한 기층으 로부터 내리는 비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찬공기 중에서 냉각되어 응결한 안개.

 

전선성강우(前線性降雨)

 

저기압이 통과할 때, 주변 대기와는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그 사이에는 전선이 형 성되고, 전선을 따라 심한 기온변화가 일어나므로 강우의 형성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강우를 전선성강우라 한다. 또, 저기압의 중심으로는 주위에서 대기가 수렴하 여 상승하므로 강우를 만들게 된다.

 

절대습도(絶對濕度)

 

단위 체적 안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절대량을 중량이나 압력으로 표시한 것. 즉 공기 1m³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의 질량을 g 단위로 나타낸 것. 절대 습도는 기온에 따라 수증기가 포함될 수 있는 최대 값이 이미 정해져 있으며, 그 최대 값 은 기온이 높으면 커지고 낮으면 작아짐.

 

 

 

절대안정기층

 

 

 

기온역전층이 형성된 경우 공기의 움직임이 전혀 없는 안정한 기층.

 

 

 

절대온도

 

 

 

-273℃를 0도로 하여 섭씨 온도와 같은 눈금으로 나타낸 온도. 켈빈 온도라고도 하며, 기호로는 K로 표기함. 기체의 온도가 -273℃(0 K)로 되면 그 부피가 0이 되어, 그 온도 이하의 기체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되며, 이 온도를 절대 0도(0 K) 로 하고, 섭씨 온도의 눈금을 그대로 씀. (K=℃+273)

 

 

 

정체고기압

 

 

 

시베리아 고기압이나 북태평양 고기압과 같이 중심의 위치가 크게 이동이 없는 고기압

 

 

 

정체전선

 

 

 

거의 이동하지 않고 일정한 자리에 머물러 있는 전선. 양쪽 기단의 세력이 서로 평형을 이룰 때 생기며, 전선이 동서로 길게 생기는 것이 보통임. 정체 전선 근처 에서는 날씨가 흐리고 비가 오는 시간 도 길어지는데, 여름철에 우리 나라에 걸치 는 장마 전선도 정체 전선의 한 가지임.

 

 

 

제트류

 

 

 

대류권 상부 또는 성층권에서 그의 수평축을 따라 불고 있는 강한 바람대. 제트류 는 수천km의 길이와 수백km의 폭, 그리고 수백m의 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보 통이지만, 겨울철 전성기에는 전지구를 휘감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제트 기류 가 까이서는 풍속의 변화가 아주 심함.

 

 

 

중간권

 

 

 

성층권 계면에서 중간 권계면까지를 중간권이라고 부르는데, 중간 권계면은 80km 쯤의 높이에 위치하며, 중간권은 대기권 전체에서 평균 기온이 가장 낮은 곳임. 또 대류권에서처럼 대류 현상이 일어나고,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내려감.

 

중간권계면

 

중간권과 열권의 경계부로 지상에서 80km정도의 높이이며 대기권 중 기온이 가장 낮음.

 

중위도고압대

 

남북 양 반구의 위도 30˚부근에서 지구를 띠 모양으로 둘러 싸고 있는 기압이 높 은 지역. 이 고압대는 적도에서 상승한 공기가 위도 30˚부근에서 하강하여 생긴 것으로 아열대 고압대라고도 함.

 

증발무(蒸發霧)

 

이류무와 반대로 따뜻한 수면상에 찬 공기가 흘러 들어갔을 때 따뜻한 수면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찬 공기를 만나 응결하며 생기는 안개. 겨울철 아침 강안(江岸)에 생기는 안개.

 

증발산(蒸發散)

 

증발과 통산을 합한 것.

 

지구복사

 

지구에서 외계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 지표가 방출하는 지표 복사와 대기가 방 출하는 대기 복사를 합쳐 지구 복사라 하며, 지구는 288K(273K+15K=15℃)의 저 온으로 태양보다 파장이 긴 4∼120μm의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므로 지구복사를 장파 복사라 함.

 

지균풍

 

2차원 흐름에 있어서 코리올리힘과 기압경도력이 완전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을 때 등고선에 따라(평행하게) 부는 가상의 바람을 말한다. 지구 대기와 같이 얇은 층의 화전 유체중에서 수1000Km이상의 수평 규모의 대규모 운동이 일어날 때 코리올 리힘과 수평기압경도력이 가장 큰값을 차지하여 운동 방정식 중에서 이 2개의 항 이 균형을 이룬다.

 

지방풍

 

어떤 지역의 특수한 조건으로 발생하는 특수한 바람을 말하며 다른말로 국지풍이 라고도 한다. 국지풍에는 한랭한 바람이 있는데 그 예로 보라(Bora), 미스트랄 (Mistral)이 있다.

 

지상풍

 

지상에서 등압선이 직선일 때 기압 경도력, 전향력, 마찰력이 비겨서 등압선에 대 하여 10∼45˚의 각을 가지고 등속으로 부는 바람. 지상풍이 등압선과 이루는 각은 해상에서는 10∼20˚이고, 산악 지방에서는 20∼45˚ 정도이다. 기압 경도력이 같아 도 지상풍의 풍속은 마찰로 인하여, 지균풍의 약 반정도 밖에 안 됨. 즉 마찰력이 클수록 등압선과 이루는 각도가 큼.

 

지중온도계

 

땅 속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 땅 표면에서 30cm 정도까지의 깊이의 온도를 잴 때에는 기역자 모양으로 구부러진곡관식 지중 온도계를 쓰고, 깊이 50cm 이 상에서는 지름 4cm 정도의 아래 끝이 막힌 철관을 파묻는 철관식 지중 온도계를 이용함. 수은 온도계를 끈에 매달아 철관 속에 필요한 깊이만큼 늘어뜨려 넣은 다 음, 몇 시간 후에 꺼내어 온도를 측정함.

 

지연단열감률(遲延斷熱減率)

 

건조단열감률보다 낮은 률로 냉각되는 것을 말하며 그 률은 고온일 때 보통 건조 단열감률의 반, 혹은 1,000ft에 3℉(1,000m에 6.5℃)가 된다. 그러나 습윤단열감 률은 건조단열감률이 일정한 것 과는 달리 기온에 따라 그 율이 다르며, 기온이 낮을수록 그 율은 커져 건조단열감률에 가까워진다.

 

지오 퍼텐셜

 

해면으로부터 높이 Z에 있는 단위 잘량의 물체가 가지는 위치에너지 즉, 해면으로 부터 높이 Z까지 단위질량의 물체를 들어올리는데 필요로 하는 일의 양을 말한다.

 

지형성강우(地形性降雨)

 

바람받이가 되는 산사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대기가 산에 부딪치면 산등을 따 라 상승하여 단열냉각되므로 응결고도에서 구름이 생기고 비가 내린다. 이와같이 산이나 산맥과 같은 지형에 의해 대기가 상승되어 형성되는 비를 지형성강우라고 한다.

 

직접순환

 

지표면의 가열이나 냉각으로 인하여 고열원에서 저열원으로 열을 운반하는 지구 규모의 직접적인 열대류 운동. (위도 0°∼30°, 60°∼90°지역의 대기대순환)

 

진눈깨비(Sleet)

 

눈이 녹아서 비와 함께 섞여 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천둥

 

번개와 함께 나타나는 현상으로 하늘이 요란하게 울리는 일. 서로 다른 전기를 띤 구름 사이에서 생기는 방전 현상이 번개이며, 그러한 현상으로 전기의 절연 상태 가 파괴될 때 구름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를 천둥이라 함.

 

체감온도

 

인체가 느끼는 더위·추위 등을 수량적으로 나타낸 것. 측정 방법에는 기온과 습도 와 풍속으로 산출하는 공식 외에, 특수한 카타 온도계도 있음.

 

최저온도계

 

일정한 시간 안의 가장 낮은 온도를 재는 데 쓰이는 온도계. 수평으로 놓인 알코 올 온도계의 알코올 기둥 속에 유리로 된 지표를 넣은 것임. 온도가 내려가면 알 코올은 지표와 함께 내려가지만, 온도가 올라갈 때는 지표는 남고 알코올만 올라 가 므로, 알코올 기둥 쪽 지표 끝이 최저 온도를 나타내게 됨.

 

층운

 

하층운의 한 가지. 10가지 구름 종류의 하나로, 층구름 또는 안개구름 이라고도 하며, 기호는 St이고, 지표∼2km 사이의 높이에 나타남. 안개와 비슷한 모양을 한 회색 의 구름이며, 지면 가까이에 층을 이루어 간혹 안개비를 내림.

 

층운형구름

 

구름을 모양에 따라 분류할 때 길게 옆으로 퍼진 구름으로, 상승 기류가 약할 때 생김.

 

층적운

 

하층운의 한 가지. 10가지 구름 종류의 하나로, 층쌘구름 또는 두루마리구름이라 고도 하며, 기호는 Sc이고, 지표∼2km 사이의 높이에 나타남. 검은 회색의 긴 구 름 덩어리가 옆으로 모여 불규칙한 골을 이루거나 사방으로 퍼져서언덕같이 옆으 로 길게 보이기도 함.

 

콜드 이벤트(Cold event)

 

Cold event는 종·동 적도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기후 평년값보다 더 찬 경우를 나타낸다. 이 용어는 과거에 anti-El Nino와 La Nina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라니냐는 엘니뇨의 한정적인 관점과는 달리 태평양의 유역 규모의 현상에 적용된다. [ From NCAR ]

 

콜리올리힘

 

전향력

 

쾨펜(Koppen)

 

1884년 세계의 식물 분포에 맞도록 세계의 기후를 구분하였다.

 

클라이모그래프(Climograph)

 

기온과 습도에 따라 기후를 구분하여 만든 그래프. 가로축을 습도 세로축을 기 온으로 하였다.

 

태양복사에너지

 

태양은 표면 온도가 6,000℃이고, 중심부의 온도는 약 1,500만 ℃에 이르므로 막 대한 양의 열과 빛을 내놓는데, 그 양은 무려 9.2×10"{22} kcal에 이른다. 그러나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약 1억 5,000만 km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지구에 이르는 태 양 복사 에너지의 양(태양 상수)은 약 2cal에 지나지 않는다. 태양 복사 에너지는 수소가 원자핵 융합 반응에 의해 헬륨으로 변할 때 생기는 질량 결손에 의한 에너 지이며, 우리의 일상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의 근원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기상 현상이나 바다에서의 해류의 원동력이 되기도 함.

 

태양상수 (Solar constant)

 

지구가 태양과의 평균거리에 있을 때 대기 밖에서 태양광선에 수직으로 놓여 있는 단위 면적당 받을 수 있는 전체 복사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1분당 1cm2에 거의 2cal(1367W/m2)로 일정 수준을 유지한다.

 

태풍

 

주로 북태평양 남서부 해상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의 한 가지. 중심 부근의 최 대 풍속이 32m/s 이상의 매우 강한 저기압을 가리키며, 17∼32m/s의 것을 열대 성 폭풍, 17m/s이하의 것을 열대 저기압이라 함. 태풍은 그 발생 지역에 따라 이 름을 달 리하는데, 인도양이나 벵골만에서 발생하여 인도, 파키스탄 등지에 해를 입히는 태풍을 사이클론, 카리브해에서 발생하여 미국 동해안과 쿠바 등지에 해를 입히는 태풍을 허 리케인, 오스트레일리아 북쪽 주변의 바다에서 발생하여 남반구 로 진행하는 것을 윌리 윌리라고 함. 이에 대해 북태평양 남서부에서 발생하여 필 리핀, 일본, 우리 나라 등지 에 해를 입히는 것을 타이푼(typhoon)이라 하며, 일반 적으로 태풍이라 하면 이것을 가 리킴. 태풍의 씨앗이 되는 열대 저기압은 주로 남북 위도 5°∼10°부분에서 발생하며, 특히 해면 부근의 온도가 27℃ 이상인 열대 해역에서 잘 발생 함. 계절별로는 7∼10월 사이에 많이 발생하며, 태풍의 수명은 발생해서부터 소멸될 때 까지 1주일에서 1개월 정도이다. 또 태풍의 진로는 저위도 에서 발생해서 서쪽으로 계속 진행하여 소멸하는 것과, 북서쪽으로 진행하다가 도 중에서 방향을 바꾸어 북동쪽으로 진행하여 소멸하는 것이 보통이며, 대부분 격심 한 바람과 비를 몰고 오므로 그 피해는 매우 큼.

 

태풍의눈

 

강렬한 태풍이 불 때에 비교적 안정된 기상 현상이 나타나는 중심 부분. 태풍의 중심부는 그 주위가 두껍고, 높은 구름으로 둘러싸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맑게 개 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곳을 태풍의 눈이라고 하며, 그 지름은 약 30∼50km 에 이 르고, 여기에서는 바람도 약해지고 비도 멎으며, 때로는 푸른 하늘이 보이기 도 함.

 

토네이도

 

미국의 육상에서 발생하는 용권현상. 지름이 수m∼수백m의 강력한 저기압성 소용 돌이로서 적란운의 바닥에서 지상까지 좁은 깔대기 모양을 이룸. (용오름)

 

통산(通散)

 

식물표면에서의 증발 페렐순환 적도와 위도 30°사이의 해들리 순환과 극과 위도 60°사이의 극세포 순환에 의해 역학적으로 형성되는 간접순환.

 

편동풍

 

지구의 위도권을 따라 동에서 서로 부는 바람. 지구의 양 극에서는 공기가 냉각되 어 고기압이 된 다음, 동쪽으로 치우치면서 사방으로 불어 나가는 극편동풍이 있 으며, 위도 30˚부근에서 적도 방향으로 부는 바람은 전향력에의해 동풍으로 바뀌 는 적도 편동풍 또는 무역풍이 있음.

 

편동풍대

 

지구를 둘러싼 극 ∼ 60°사이, 30°∼ 적도사이의 전향력에 의해 동쪽으로 치우쳐 (남동, 북동) 부는 바람대

 

편서풍

 

중위도(30∼60˚) 지방에서 서에서 동으로 부는 바람. 무역풍과는 바람의 방향이 정반대이며. 편서풍은 상공까지 불고 있어서 온대 지방의 일기가 서쪽으로부터 변 하는 원인이 됨.

 

편서풍대

 

중위도(30∼60˚) 지방에서 전향력에 의해 서쪽으로 치우쳐(남서, 북서) 부는 바람 대

 

편서풍파동

 

편서풍대 상공에서 지구의 자전과 남북간의 온도차에 의해 남북 방향으로 굽이 치 면서 지구를 감싸고 도는 상공풍.

 

평균기온

 

어느 일정 기간 동안 기온의 평균값. 보통 1일, 5일, 10일, 1개월, 1년을 기간으로 잡으며, 산술평균을 이용하여 평균을 구함.

 

폐색전선

 

한랭전선은 온난전선보다 빨라 한랭전선은 차차 온난전선을 뒤쫓아가서 두 전선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고 끝내는 온난전선과 한랭전선은 겹쳐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폐색(閉塞)이라 하며, 두 전선에 겹쳐진 부분의 전선을 폐색전선이라 한다. 그 때 나타나는 날씨는 한랭 및 온난의 각 전선과 비슷함.

 

포차(飽差)

 

일정기온에 있어 단위 체적 안의 수증기의 절대량과 포화량과의 차. 현재온도와 이슬점의 차이로 포화의 정도에 반비례 함

 

포화(飽和)

 

액상의 물과 기상의 물이 평형상태에 도달한 것. 즉, 수면에서 나가는 분자수와 들 어오는 분자수가 똑같이 되는 상태. 공기나 물이 어떤 물질을 더 이상 머금을 수 없는 한도까지 머금은 상태. 온도나 압력이 일정하면 머금는 한도도 일정하며, 조 건을 바꾸어 주면 한도 이상으로 머금는데, 그것을 과포화라고 함.

 

포화공기

 

수증기로 포화된 공기

 

포화수증기량

 

포화 상태의 공기 1㎥ 속에 들어 있는 수증기의 질량을 g으로 나타낸 값. 온도와 압력에 따라서 머금는 수증기의 양은 일정하며, 다른 기체가 있어도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온도가 올라가면 포화 수증기량은 증가하고, 압력이 커지면 감소함.

 

포화수증기밀도(飽和水蒸氣密度)

 

포화상태에서의 수증기의 밀도

 

포화수증기압(飽和水蒸氣壓)

 

수증기가 미치는 압력. 즉, 수증기의 분압. 포화 상태의 수증기압. 온도와 압력에 따라서 머금는 수증기압은 일정하며, 다른 기체가 있어도 거의영향을 받지 않으며, 온도가 올라가면 포화수증기압은 증가하고, 압력이 커지면 감소함.

 

푄현상

 

산밑으로 불어 내린 공기가 산을 넘기 전의 공기보다 건조하고 기온이 높아지는 현상. 이 때 산을 넘어 비탈을 따라 아래로 부는 고온 건조한 바람을 푄 바람이라 고 한다.

 

풍향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 풍향은 풍향계로 재며, 16방위 중의 하나로 나타내는데, 기준을 남북으로 하기 때문에 동북풍, 서남풍이라 하지 않고 북동풍, 남서풍이라 함.

 

풍향풍속계

 

풍향과 풍속을 동시에 잴 수 있는 기구

 

하늬바람

 

서풍(西風)

 

하마탄

 

내륙의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오기 때문에 대단히 건조하고 먼지가 많은 바람이 다.

 

하이더그래프(hithergraph)

 

클라이모 그래프와 비슷하다. 세로축에 월평균기온을 가로축에는 월 강수량을 두 었다.

 

한대전선

 

한대 기단과 열대 기단 사이에 형성되는 전선. 온대 저기압은 흔히 이 전선상에서 발생하므로, 이 지역에서는 날씨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며, 한대 기단과 열대 기 단의 세력에 따라 한대 전선은 북반구에서는 여름에 북상하고 겨울에 남하함.

 

한대기단

 

한대에서 형성되는 기단. 발원지가 해양상이냐 대륙상이냐에 따라 한대 해양성 기 단(Mp)과 한대 대륙성 기단(Cp)으로 구분됨. 우리 나라에 영향을 주는 한대 기 단 에는 겨울철의 시베리아 기단과 장마철 또는 가을철의 오호츠크해 기단이 있음.

 

한대전선대

 

위도 60°부근의 저압대로 전선이 주로 형성되는 지역

 

한랭고기압

 

겨울철에 극지방에 있는 공기가 냉각되어 주위에 있는 공기보다 밀도가 커져서 생 기고, 우리 나라 겨울철 날씨를 지배 함. 시베리아 고기압이 대표적이며, 이것의 일부가 기압이 낮은 곳으로 그 세력을 확장하게 될 때 그 전면에서 일어나는 것이 한파임.

 

한랭전선

 

한기가 난기 아래로 돌입하여 이루는 전선으로 경사는 온난전선면의 경사보다 약 간 급한 편으로 적난운과 같은 대류성의 구름이 생성되며 소낙비가 내린다. 이동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비가 오는 구역은 좁으며, 때로는 돌풍이 일기도 함.

 

해들리순환

 

위도 0°∼30°지역에서 열적 원인에 의해 일어나는 직접순환.

 

해륙풍

 

해풍과 육풍을 아울러 일컫는 말. 해풍은 바다로부터 육지로 향하여 낮에 부는 바 람이고, 육풍은 육지로부터 바다로 향하여 밤에 부는 바람으로, 해안 지방은 모래 와 물이 맞닿아 있으므로 태양 복사 에너지가 같아도 더워지는 정도가 달라(비열 차) 공기의 순환이 일어나서 해륙풍이 불게 됨.

 

해면경정

 

해면상이 아닌 측후소 에서는 측정한 기압은 모두 보정하여 해면상의 기압치로 나 타내는 것.

 

해면기압

 

대높이가 다른 여러 관측소의 기압을 해면에서 측정한 값으로 환산한 기압으로 일 기도에는 해면기압이 기록됨.

 

해양성기단

 

해양에서 발달하는 다습한 기단. (오호츠크해기단, 북태평양기단, 적도기단)

 

해양성기후

 

바다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해안 지방의 온화한 기후. 대륙성 기후에 상대되는 말로 기온의 일교차, 연교차가 적어 기후가 온화하고, 강수량과 습도가 높으며 안개가 잦음.

 

햇무리

 

태양의 언저리에 둥그렇게 둘리어 구름같이 허옇게 보이는 현상. 얼음의 결정으로 된 얇은 구름에 의해서 햇빛이 반사, 굴절되어서 일어나는 현상임.

 

허리케인

 

북대서양 남부, 카리브해나 멕시코만에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 풍속이 초속 17m 이상인 것의 연간 발생 개수는 평균 8개, 계절적으로는 8∼10월에 많이 생겨남. 허리케인은 대개 서북서로 나아가 멕시코만으로 상륙하든지, 또는 북동으로 돌아 미국 동부 연안으로 몰려가 엄청난 풍수해를 일으킴.

 

헥토파스칼

 

압력의 단위(hPa). 세계 기상 기구(WMO)는 1983년 총회에서 기압(氣壓)의 단위를 1984년 7월 1일부터 헥토파스칼로 바꾸기로 결정했으며, 수치상으로는 밀리 바와 같음. (1기압 = 1013mb = 1013.25hPa)

 

혼합무(混合霧)

 

온도가 다른 두 공기가 혼합할 때 생기는 안개.

 

혼합비(混合比)

 

단위질량(1㎏)의 건조대기와 공존하고 있는 수증기 양(g)의 비. 즉 수증기의 질량 과 이와 관계되는 건조 공기의 질량의 비.

 

화씨온도

 

1724년에 독일의 파렌하이트가 세계 최초로 정한 온도 눈금. ℉로 나타내며, 섭씨 0˚를 32℉로, 섭씨 100˚를 212℉로 정하고 이를 180 등분한 눈금임. 현재는 섭 씨 온도 눈금 C를 기준으로 F=(9/5)C+32의 눈금으로 화씨 온도 눈금을 정함.

 

활승안개

 

다습한 공기가 산사면을 타고 상승할 때, 단열팽창에 의해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 긴 안개.

 

황사현상

 

중국 북부나 몽고의 황토 지대에서 바람에 날려 올라간 모래먼지가 하늘을 뒤덮고 내리는 현상. 보통 저기압의 활동이 왕성한 3∼5월에 많이 발생하며, 때로는 상 공의 강한 서풍을 타고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까지 날아감. 황사 현상이 나타나면 태양 은 빛이 가려져 심하면 황갈색으로 보이고, 흙먼지가 내려쌓이는 경우도 있음.

 

황화스모그

 

화석 연료의 연소에 의한 매연과 이산화황 등이 안개와 어울려 이루어진 스모그. (런던형 스모그)

 

흑체 (Black body)

 

모든 열을 다 흡수하는 완전 흡수체와 주어진 온도에서 최대한으로 열을 방출하는 완전 방출체

 

흑체복사

 

흑체에서 방출되는 열복사. 흑체 방사라고도 함. 이것을 실현 시키려면 우주 복사 를 투과시키지 않는 벽으로 둘러싸인 공동(空洞)을 만든 다음 벽에 작은 구멍을 뚫어 일정 온도를 유지하면 공동 내부는 복사 평형 상태가 되며, 작은 구멍에서 방출 되는 복사량을 측정하면 그 온도에 있어서의 흑체 복사로 간주할 수 있으므 로 흑체 복사를 공동 복사라고도 함. 

 

 

“어떤 것도 아주 오랫동안 고정되어 있지 않다가 다시 무너지기 시작하는 것이 형태의 세계입니다. 형태가 용해됩니다. 새로운 형태가 생긴다. 구름을 조심해. 그들은 당신에게 형태의 세계에 대해 가르칠 것입니다.” - 에크하르트 톨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