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슐린 펌프

간 혈당 조절원리 규명…新당뇨병 치료제 발판 국내 연구진이 간에서 혈당 조절 원리를 규명해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학성 교수, 최정민 박사팀이 ‘미래유망융합기술 파이오니어사업’ 지원으로 간에서 간세포에서 단백질에 의한 혈당 조절 기작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혈당 조절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 글루코카이네이즈(GK)와 간세포에서 이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조절단백질(GKRP)의 복합체 구조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이어 혈당 변화에 따른 GKRP의 GK 활성 조절 기작을 밝히고, 이를 통해 간에서 체내 혈당이 조절되는 근본 원리를 보여줬다. 해당 연구는 당뇨병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1명이 당뇨병..
당뇨병과 고혈압 관리를 스마트폰으로 ! 스마트폰(앱)의 자가 관리 서비스가 당뇨와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KT는 2011년부터 올해 초까지 약 2년 동안 경기도 광명, 안산 보건소의 30~64세 당뇨 환자 680명을 대상으로 'Q-care 서비스'를 시범 적용한 결과 참가자의 99.9%가 서비스에 만족감을 드러냈다고 5일 밝혔다. 'Q-care 서비스'는 KT와 경기도, 질병관리본부, 퀄컴이 함께 협력해 만든 IT 기반 혈압·혈당 관리 솔루션으로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자가 웹(Web)과 스마트폰 앱(App)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자가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사진은 본 내용과 관련이 없슴 - 출처 구글링. 특히 조사 결과 참가자의 70.9%가 당화혈색소 수치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
미래의 당뇨병 치료법 - 인공췌장 1921년 인슐린이 처음 발견된 이후 인슐린은 가장 효과적인 당뇨병 치료제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물론 현재까지 당뇨병 치료를 위한 여러 가지 경구용 약제들(oral agents)이 많이 시판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접 인슐린을 사용하는 방법은 궁극적인 당뇨병의 치료법이며 제1형 당뇨병(type 1 diabetes)에서는 유일한 치료법입니다. 다만 인슐린을 여러 번 주사한다고 하더라도 혈당을 완벽하게 조절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하루 수회의 인슐린 주사가 번거럽다고 여기는 많은 당뇨병 환자들이 주사를 기피하기도 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체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pancreas)의 기능을 대신하여 주는 인공 췌장(arti -ficial pancreas)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당뇨병환자가 지켜야 할 발 사랑 6계명 당뇨병학회 9일부터 ‘제3회 파란양말캠페인’ 대한당뇨병학회는 오늘(1일) 당뇨병 환자의 족부절단을 예방하고 족부질환의 주범 당뇨병성신경병증을 조기발견하기 위해 9일부터 ‘제3회 파란양말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환자·가족·의료진이 함께하면 심각한 족부질환으로부터 당뇨병환자의 발을 아름답고 건강하게 지킬 수 있다’는 기치 아래 ▲가족이 함께하는 당뇨병환자의 아름다운 발 사랑수칙 발표 ▲파란양말 가족(佳足)사랑교실 진행 등으로 구성된다. 캠페인에 앞서 대한당뇨병학회와 건강보험공단은 국내 족부절단의 절반가량(44.8%)이 당뇨병 때문이며 당뇨병환자의 25%는 발·다리가 점점 썩어들어가는 ‘족부궤양’을 앓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대한당뇨병학회 관계자는 “당뇨병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어 ‘..
마이크로 펌프 개발 동향과 과제 펌프는 특정유체를 목표로 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는 대표적 유체기계의 하나이다. 전통적으로는 유체이송이나 기기·시스템을 냉각하기 위해 배관을 이용하는 화학/석유화학플랜트, 발전설비, 철강, 제약, 기계공장과, 농수관개, 광산, 토목공사장, 가정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체내 약물전달과 DNA분석·세포분석·화학분석, 잉크젯프린터헤드, 전자기기·컴퓨터냉각, 우주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마이크로펌프가 핵심디바이스로서 주목받고 있다. 마이크로(mm)환경에서는 점성·유속·채널구조 등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설계·재료·제어 등 의 기술적 문제해결을 위해 국제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관련 특허들이 설정되고 있다. 마이크로펌프를 내장한 일부의 유체시스템들은 이미 실용화되어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