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ue to technical issues, the search service is temporarily unavailable.)
막대에 LED를 달아 회전하게 만들려면 다음과 같이 회로를 구성하고 부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부품
- LED: 원하는 색상과 크기의 LED
- 모터: DC 모터 또는 스텝 모터 (회전 속도와 토크에 따라 선택)
- 슬립 링: 회전 중에도 전원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
- 배터리 또는 전원 공급 장치: 모터와 LED에 전원 공급
- 저항: LED 보호를 위한 적절한 저항
- 스위치: 전원 제어
- 기판 또는 PCB: 회로 배선용
- 막대: LED와 모터를 고정할 구조물
회로 구성
- 전원 연결: 배터리 또는 전원 공급 장치를 슬립 링에 연결합니다.
- 모터 연결: 슬립 링을 통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합니다.
- LED 연결: LED를 슬립 링에 연결하고, 각 LED에 적절한 저항을 직렬로 연결합니다.
- 스위치 연결: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스위치를 회로에 추가합니다.
단계별 설명
- 막대 준비: LED를 부착할 막대를 준비합니다.
- 모터 고정: 막대를 모터에 고정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합니다.
- 슬립 링 설치: 모터와 막대 사이에 슬립 링을 설치하여 회전 중에도 전원이 공급되도록 합니다.
- LED 배치: 막대에 LED를 균일하게 배치하고, 각 LED를 슬립 링에 연결합니다.
- 회로 연결: 모든 부품을 회로도에 따라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합니다.
- 테스트: 스위치를 켜서 모터가 회전하고 LED가 점등되는지 확인합니다.
주의사항
- 슬립 링 선택: 회전 속도와 전류 용량에 맞는 슬립 링을 선택하세요.
- LED 보호: 각 LED에 적절한 저항을 사용하여 과전류로부터 보호하세요.
- 모터 제어: 필요에 따라 모터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성하면 막대가 회전하면서 LED가 점등되는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Due to technical issues, the search service is temporarily unavailable.)
아두이노를 사용해 막대에 LED를 달아 회전하게 만드는 회로도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회로는 아두이노를 통해 모터를 제어하고, LED를 동시에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필요한 부품
- 아두이노 보드 (예: Arduino Uno)
- DC 모터 (또는 스텝 모터)
- 모터 드라이버 (예: L298N 모터 드라이버)
- LED: 원하는 개수와 색상
- 저항: LED 보호용 (보통 220Ω 사용)
- 슬립 링: 회전 중 전원 공급을 위해
-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 모터와 아두이노 전원 공급
- 점퍼 와이어 및 브레드보드
회로도 설명
1. 모터 연결
- 모터 드라이버(L298N)를 사용해 DC 모터를 제어합니다.
- 모터 드라이버의
OUT1
과OUT2
를 DC 모터에 연결합니다. - 모터 드라이버의
IN1
과IN2
를 아두이노의 디지털 핀(예: D2, D3)에 연결합니다. - 모터 드라이버의
VCC
와GND
는 외부 전원(배터리)에 연결합니다. - 모터 드라이버의
5V
와GND
는 아두이노의5V
와GND
에 연결합니다.
- 모터 드라이버의
2. LED 연결
- LED는 슬립 링을 통해 회전하는 막대에 부착됩니다.
- LED의 양극(Anode)은 슬립 링의 한쪽 단자에 연결합니다.
- LED의 음극(Cathode)은 저항을 통해 아두이노의
GND
에 연결합니다. - 슬립 링의 고정 부분은 아두이노의 디지털 핀(예: D4, D5, D6 등)에 연결합니다.
3. 전원 연결
- 아두이노는 USB 또는 외부 전원으로 전원을 공급받습니다.
- 모터 드라이버는 별도의 전원(배터리)을 사용합니다.
회로도 (텍스트 기반)
아두이노 모터 드라이버(L298N) DC 모터
----- --------------- -----
D2 (IN1) -----------> IN1 OUT1 -----------> 모터 단자 1
D3 (IN2) -----------> IN2 OUT2 -----------> 모터 단자 2
5V -----------> 5V
GND -----------> GND
아두이노 슬립 링 LED
----- -------- ---
D4 (LED1) -----------> 고정 단자 1 LED1 양극
D5 (LED2) -----------> 고정 단자 2 LED2 양극
GND -----------> GND LED 음극 -> 저항 -> GND
아두이노 코드 예시
// 모터 제어 핀
const int motorPin1 = 2;
const int motorPin2 = 3;
// LED 제어 핀
const int ledPin1 = 4;
const int ledPin2 = 5;
void setup() {
// 모터 핀 설정
pinMode(motorPin1, OUTPUT);
pinMode(motorPin2, OUTPUT);
// LED 핀 설정
pinMode(ledPin1, OUTPUT);
pinMode(ledPin2, OUTPUT);
}
void loop() {
// 모터 회전 (시계 방향)
digitalWrite(motorPin1, HIGH);
digitalWrite(motorPin2, LOW);
// LED 점등
digitalWrite(ledPin1, HIGH);
digitalWrite(ledPin2, HIGH);
delay(1000);
// 모터 정지
digitalWrite(motorPin1, LOW);
digitalWrite(motorPin2, LOW);
// LED 소등
digitalWrite(ledPin1, LOW);
digitalWrite(ledPin2, LOW);
delay(1000);
}
동작 설명
- 모터는
IN1
과IN2
신호에 따라 회전 방향이 결정됩니다. - LED는 슬립 링을 통해 회전하는 막대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받습니다.
- 아두이노는 모터와 LED를 동시에 제어합니다.
이 회로를 통해 막대가 회전하면서 LED가 점등되는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LED 개수나 모터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FB 박성윤 교수
반응형
'아두이노우노 R4'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quest Sensor Data via SMS using Arduino and SIM900 GSM Shield (0) | 2025.04.22 |
---|---|
Lora 모듈: 15km 거리에서 릴레이 켜기 (0) | 2025.03.24 |
Arduino 또는 ESP8266을 사용한 JSON 디코딩 및 인코딩 (9) | 2025.03.20 |
포모도로 기법과 아두이노로 실제 만드는 방법 (0) | 2025.03.06 |
아두이노 활용 카드뉴스 만들기 (0) | 2025.02.26 |
Node-Red IoT 대시보드 - 코딩이 필요 없습니다! (1) | 2025.02.08 |
아두이노 우노 R4 키보드로 컴퓨터 업무 자동화 (0) | 2025.01.31 |
Arduino Uno R4 WiFi 볼 것 (0) | 2025.01.08 |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