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장원규 (방송통신융합진흥본부 융합진흥부 부장, jwg0619@kca.kr)
이성협 (방송통신융합진흥본부 융합진흥부 선임연구원, shlee@kca.kr )
현재까지의 인터넷이 인간 중심이었다면 미래에는 사물(기기) 간의 통신이 네트워크 트래픽을 대부분 차지하고, 사물(기기)의 지능화로 인간의 삶이 보다 스마트하게 되는 사물인터넷(IoT/M2M)1)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20년에는 약 240억대의 단말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되어 글로벌 시장은 1조 9,8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사물인터넷이 현재 의 이동통신 음성시장의 포화상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융합서비스로 자리 잡을 것이며, 스마트 홈, 스마트 그리드, 헬스케어, 지능형 교통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다각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물인터넷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각광받으면서,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에서도 정부 주도의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사물지능통신 기반구축 기본계획, 인터넷 신산업 로드맵 등을 통해 사물인터넷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최근 AT&T, Verizon, Sprint, NTT DoCoMo, Orange, British Telecom과 국내 이동통신 3사뿐만 아니라, IBM, CISCO, Pachube, Google 등에서도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사물인터넷 정책,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최근 국내외 기업의 주요 서비스 사례를 알아본다.
사물인터넷 주요 기술
사물인터넷의 3대 주요 기술은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센싱 기술은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집·처리·관리하고 정보가 서비스로 구현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구현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종단간(end-to-end)에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근거리 통신기술(WPAN, WLAN 등), 이동통신기술(2G, 3G 등)과 유선통신기술(Ethernet, BcN 등) 등의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이 필요하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센싱, 가공/추출/처리, 저장, 판단, 상황 인식, 인지,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인증/인가, 디스커버리, 객체 정형화, 오픈 API, 오픈 플
랫폼 기술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이 필요하다
관련문서 :
'기술-IT-인터넷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 국민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데이터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0) | 2014.10.28 |
|---|---|
| 스마트폰 이후 사물통신(IoT) 시대, 센서 수요 급증 (0) | 2014.07.14 |
| 사물인터넷 현실화 제품 - 심박 이상 감지 의기대응 시스템 (1) | 2014.04.09 |
| IEEE, ‘2014 사물인터넷 세계포럼’ 국내에서 최초로 개최 - 2014년 3월 6일(목) ~ 8일(토) (0) | 2014.03.03 |
| 사물지능통신이 여는 스마트 세상 <1> 현실로 다가온 미래 (0) | 2014.01.21 |
| 퀄컴사의 무선헬스 기술에 대한 투자방향 (0) | 2014.01.21 |
| 2014년 주목하여야 할 10가지 정보기술 (0) | 2014.01.21 |
| 2020년 사물 인터넷으로 인한 새로운 산업 (0) | 2014.01.21 |
취업, 창업의 막막함, 외주 관리, 제품 부재!
당신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 실패만 반복하는 외주 계약,
아이디어는 있지만 구현할 기술이 없는 막막함.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명확한 학습, 실전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의 부재'에서 시작됩니다.
이제 고민을 멈추고, 캐어랩을 만나세요!
코딩(펌웨어), 전자부품과 디지털 회로설계, PCB 설계 제작, 고객(시장/수출) 발굴과 마케팅 전략으로 당신을 지원합니다.
제품 설계의 고수는 성공이 만든 게 아니라 실패가 만듭니다. 아이디어를 양산 가능한 제품으로!
귀사의 제품을 만드세요. 교육과 개발 실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세요.
지난 30년 여정, 캐어랩이 얻은 모든 것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귀사가 성공하기까지의 긴 고난의 시간을 캐어랩과 함께 하세요.
캐어랩
2_20130627102967.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