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서핑할 때 익스플로러나 크롬 브라우저에 표 스타일로 나오는 자료를 가져오기가 쉽지 않다. 워드로는 가져오기가 조금은 편한데 이것도 때에 따라서는 엉망으로 나타난다. 브라우저의 표 스타일 자료를 쉽게 한글 문서로 옮기는 방법을 설명한다. 브라우저 표를 복사 -> 엑셀에 붙여넣기 -> 다시 복사 -> 표를 적당히 만들여 덮어쓰기로 붙여넣기 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그대로 따라하면 아주 간단하게 한글 표로 옮길 수가 있다. 한글 문서로 옮기고 나서 보기 좋은 형태로 약간의 작업을 해야 한다.
예제는 아무거나 골랐다. 아래 이미지는 https://www.data.go.kr/dataset/15015117/fileData.do 사이트에 가면 표가 있는데 표를 캡처했다.

표를 가만히 보면 가로 칸수와 세로줄을 비슷하게 정해야 한다. 예로 든 위의 표를 보면 4칸이고 10줄이라고 보면 된다. 표 자체를 마우스로 긁어서 ctrl-C 하여 카피한다. 다음으로 엑셀을 사용한다. 엑셀을 열어서 맨 첫 칸에서 ctrl-V 로 붙여 넣는다. 붙여넣기 한 엑셀 화면이 아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전체를 다시 ctrl-C 를 눌러 복사한다. 이제 마지막으로 한글 프로그램을 연다. 한글 프로그램을 열어서 4칸 10줄짜리 표를 만들고 ctrl-V를 눌러 붙여넣기 하는데 표 삽입 옵션에서 덮어쓰기를 한다. 그러면 아래 화면처럼 덮어써서 아름답게 표시된다. 물론 100% 완벽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지만 브라우저 표 모양을 한글로 불러들여 사용할 때 좋은 방법이다. 한글에서 약간만 보완하면 된다.
더 좋은 방법을 알고 계시면 알려주시길 바란다.

'개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모두를 위한 머신러닝/딥러닝 강의 (0) | 2020.01.16 |
|---|---|
| AI 온라인 강의 사이트 모음 (0) | 2020.01.15 |
| 티스토리 글 목록 가져오기 Open API 사용(파이선, open api) (0) | 2019.12.29 |
| C Programming Language 문법 설명 링크 (0) | 2019.12.10 |
| atom 초기화 방법, atom 에디터 환경 초기화 (1) | 2019.10.29 |
| Python으로 웹 스크래퍼 만들기 1 (0) | 2019.10.25 |
| 라즈베리파이3 B+ OLED 모듈 구동하기 (0) | 2019.10.09 |
| Address already in use 혹은 Bind failed 에러 해결하기 (0) | 2019.09.30 |
취업, 창업의 막막함, 외주 관리, 제품 부재!
당신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 실패만 반복하는 외주 계약,
아이디어는 있지만 구현할 기술이 없는 막막함.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명확한 학습, 실전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의 부재'에서 시작됩니다.
이제 고민을 멈추고, 캐어랩을 만나세요!
코딩(펌웨어), 전자부품과 디지털 회로설계, PCB 설계 제작, 고객(시장/수출) 발굴과 마케팅 전략으로 당신을 지원합니다.
제품 설계의 고수는 성공이 만든 게 아니라 실패가 만듭니다. 아이디어를 양산 가능한 제품으로!
귀사의 제품을 만드세요. 교육과 개발 실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세요.
캐어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