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인공지능과 인간

초인공지능 4강 범용 AI: 전뇌 복사와 전뇌 아키텍쳐

지구빵집 2020. 7. 23. 10:12
반응형

 

초인공지능 4강 범용 AI: 전뇌 복사와 전뇌 아키텍처

 

현재 심층학습이 AI 붐을 일으키는 것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더불어 인간과 동일한 수준의 폭넓은 지적 활동이 가능한 AI를 의미하는 '범용 A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실현에 좀 더 가까워지고 있다는 믿음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범용 AI 뿐만 아니라 기술적 특이점 Singularity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시 말해서 범용 AI란 컴퓨터가 "일반적으로" 사람이 할 수 있는 모든 지적인 작업을 수행하고 자연어를 사용해 사람과 같은 방법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단계다.

 

초인공지능 1강 AI와 미래 변화, 기술적 특이점은 올 것인가?

초인공지능 2강 인간의 사고를 기계화하려는 시도들

초인공지능 3강 기계학습과 심층학습: 인간의 직관을 갖춘 AI

초인공지능 4강 범용 AI: 전뇌 복사와 전뇌 아키텍쳐

초인공지능 5강 인간의 지성을 뛰어넘는 AI

초인공지능 6강 로봇의 반란

초인공지능 7강 의식을 가진 AI

 

범용성을 높여가기만 하면 기계 자체가 인간처럼 활동한다고 볼 수는 없다. 인간의 지적 능력은 범용성뿐만 아니라 자율성도 높기 때문이다. 

 

 

범용 AI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전뇌全腦 아키텍처(Whole Brain Architecture)와 전뇌 복사(Whole Brain Emulation)가 있는데 그 두 가지를 비교해보자.

아직 존재하지 않는 프로젝트지만 전뇌 복사란 뇌의 신경계의 네트워크 구조의 전부를 스캔해 컴퓨터에서 재현하는 방법이다. 신경계 너트워크 구조 전부를 나타내는 도면을 '커넥톰 connectome 신경회로 지도'라고 한다. 인간 뇌에 포함된 천억 개의 뉴런과 백 조개의 시냅스에 대한 완전한 도면인 인간 커넥톰은 과학자들이 획득하고자 하는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 전뇌 복사는 어려운 일이라서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여기지만 원리적으로는 불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전뇌 복사가 실현되면 인간의 뇌 활동을 거의 완전히 재현할 수 있다. 

전뇌 아키텍처는 전뇌 에뮬레이션과 달리 '인간 커넥톰'을 손에 넣는 것보다 뇌의 기능을 재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일본에서는 이런 방법으로 두뇌형 AI를 만들기 위한 '전뇌 아키텍처'라는 명칭의 프로젝트가 2013년에 시작되었다. '전뇌 아키텍처'는 신피질, 기저핵, 해마 같은 뇌의 부위별 기능을 각각 프로그램(모듈)으로 재현하고 나중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전뇌 아키텍처 이니셔티브'의 부대표인 이과학 연구소의 다카하시 고이치는 전뇌 아키텍처의 접근법을 가능케 하는 조건을;
- 뇌는 모듈로 나뉘어 있다 (분해 가능함)
- 각 모듈은 machine learning 기기이다.
- 그 machine learning 기기들을 조합하면 새로운 기능, 지성이 생겨난다.라는 세 가지 가설로 정리했다. 

전뇌 복사가 가능하게 되었다고 해도 AI가 인간과 같은 지적 활동을 하려면 신체가 필요하다(논의 중인 문제). 신체로는 로봇과 같은 물리적인 신체와 컴퓨터상에서 구현되는 가상의 신체를 생각할 수 있다. 현재 인간의 뇌와 기계를 연결해 생각하는 대로 기계를 움직이는 기술인 브레인 머신 인터페이스, BMI 기술이 실현되고 있다.

특정한 인간의 뇌를 컴퓨터상에 복사하는 것을 마인드 업로딩이라고 한다. 컴퓨터상에 개인의 신경계가 재현되었을 경우 그것은 단순한 복사본인지, 아니면 의식까지 컴퓨터로 옮겨진 것인지 중요한 문제가 대두된다. 모라벡은 인간의 의식이 신체의 물질성에 의거한다는 생각을 '신체 본성론'이라고 명명했다. 이와 달리 인간의 의식이 물질성으로부터 해방된 패턴에서 생긴다는 생각을 '패턴 본성론'이라고 하였다. 후자에 따르면 신경계 네트워크 구조와 동일한 패턴이 소프트웨어로 존재한다면 의식은 그곳에도 존재한다는 의미가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신체 본성론을 지지하는 이유는 현재 신체가 가지고 있는 뇌의 패턴이 다른 컴퓨터에 재현되어 있다고 해도 신체가 파괴되어버리면 자신은 죽을 수밖에 없다는 생각 때문이다.

인공도시에서 자연도시로 성장하듯, 인공 신경망이 학습을 반복함으로 자연 성장하는 인공지능으로 진화하는 모습이 자연스럽지 않을까?

 

 

참고

범용 인공 지능 : 진정한 AI를 향한 길

2030 고용 절벽 시대가 온다 

‘신불(神佛) 애니미즘’과 트랜스휴머니즘 문서 

인공지능의 발전과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 

참고 사이트 주소: 고등과학원 초학제[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머니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