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IT-인터넷 동향

소셜 그래프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을 찾아주는 소프트웨어

지구빵집 2012. 9. 17. 08:30
반응형




  



공항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륙할 비행기에 필요하다. 탑승구의 스태프나, 승무원, 비행 관계자, 조종사들은 요구된 과업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호간에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모든 항공기는 항공 관제소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출발시간과 탑승 스케줄을 조율하고 코디네이션하게 된다. 


커뮤니케이션 기능은 공항 시설이 보다 원활하고 안전하게 운영되도록 만드는데 있어서 중요한 부분임에 틀림없다. 


컴퓨터 측면에서도 항공 관제소는 중앙기능의 적절한 연결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해당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연결고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항공 시스템 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영향자를 찾는 것은 각각의 항공기 이륙 프로세스 상에 있어서도 동일한 중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필수적인 부분으로 취급되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상에서도 가장 영향력을 가지는 사람이 누구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컴퓨터 용어로 그래프 상에서의 올바른 접근 경로를 찾는 것인데, 일반적인 항공경로 설정보다 더욱 복잡하다. 수천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단일 주제에 대하여 상호작용을 수행하고 네트워크의 엣지 상의 새로운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스트리밍 대화에 참여한다. 







미국 조지아텍의 연구진은 이와 같은 스트리밍 그래프 상에서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다른 말로 가장 큰 중앙값을 가지는 노드가 무엇인지를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련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선보였다. 본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내에 정보 변화자로서 영향자가 누구인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에 개발된 스트리밍 도구는 2012년 9월 첫째 주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 소셜 컴퓨팅 컨퍼런스에서 소개되었다. 


기존 알고리즘과 다르게,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새로운 엣지(edge)가 그래프에 추가될 때마다 컴퓨터 계산 프로세스를 재구동할 필요성을 없앤다고 조지아텍의 컴퓨터학과 교수이자 이번 개발 프로젝트의 리더인 David Bader는 말한다. 단순하게 재구동하기 보다는, 이번에 개발된 알고리즘은 그래프의 이전 중앙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새로 삽입된 엣지에 의하여 컴퓨팅 자체가 받는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몇몇 경우에 중앙값에 해당하는 노드들이 이번에 개발한 조지아텍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기존보다 거의 100배나 빠르게 작동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번에 개발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는 조만간 상용화될 전망이다. 


고성능 계산에 있어서 본 기관의 최고 책임자인 Bader 교수는 본 기술이 소셜 그래프 상에서 가장 영향력을 가지는 대상을 찾는 것에 더하여 다방면에 활용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되면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었을 때, 트위터 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혹은 페이스북 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트위터와 페이스북 전체를 아우르는 범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관한 지식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소셜 미디어 자체가 다방면으로 분권화되고, 파편화되어 있지만, 이번에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각각의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전체를 분석할 수 있게 되고, 서로 이종의 플랫폼 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단일 영향자가 누구인지에 관한 정보들 또한 포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활용사례로, 본 알고리즘은 러시아워에 교통정체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교통이동에 패턴에 관한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교통 관계자나 당국자들은 교통 혼잡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장 적합한 경로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이에 관한 내용들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연구결과는 Bader 교수 이외에 전기&컴퓨터 공학과 박사과정생인 Rob McColl과 공동으로 수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원문 출처 :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2/09/120907124719.htm


출처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GT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