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un & Other

육두문자를 욕을 의미하는 육담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반응형

 

 

육두문자를 욕을 의미하는 육담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육두문자를 욕을 의미하는 육담(육담, 肉談, 음담(淫談) 따위의 야비한 이야기)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육두문자의 기원은 가뭄에 수면 위로 머리를 내미는 물고기를 보고 어느 무식한 선비가 유식한 척 문자 쓴답시고 " 야 저기 육(고기)두(머리)다"라고 하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즉 육두문자란 욕을 의미하는 육담이 아니라 문자의 표현과 의미가 서로 다른 말을 의미합니다.

 

bad word 검색. 무료이미지 pixabay 

 

예를 들어 '알아야 면장을 한다'에서 면장을 관직이 아닌 면할 면, 장사 장, 즉 알아야 죽음을 면한다 등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현재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육두문자를 육담과 동일하게 여기는 것은 육두문자라는 말의 어원을 모르는 데서 기인한 잘못된 언어 관습으로 생각됩니다.

 

<==>

 

흔히 邑,面,洞의 面長으로 알고 있으나 이 뜻이 아니다. 무식하지 않고 알아야지 담장(牆)에서 얼굴(面)을 면(免)한다는 면면장(免面牆) 곧 면장(免牆)이다. {논어(論語)}에 보면 [공자가 어느날 아들 리(鯉)에게 '너는 주남(南), 소남(南)의 시를 공부했느냐? 사람이 이것을 읽지 않으면 마치 담장을 마주 대하고 서 있는 것과 같다'(陽貨.10)고 한 데서 유래된 것이다. 주남 소남이란 {시경(詩經)}의 편명으로 내용이 수신(修身)과 제가(齊家)인 바 이를 공부하라 하신 것이다. 그래서 여기서 나온 말이 면장(面墻)하면 견식(見識)이 없음을 일컬는 것이고 면장(免墻) 하면 그런데서 벗어나는 것이다. 

 

나쁜 말은 스스로 병든다.

 

현재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육두문자를 육담과 동일하게 여기는 것은 육두문자라는 말의 어원을 모르는 데서 기인한 잘못된 언어 관습에서다.

 

육두문자(肉頭文字)를 사전에서는 '상스러운 말로 된 숙어, 육담으로 된 말'이라고만 풀이해 놓았다.

 

육두(肉頭)는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자면, '고기의 머리' 정도가 되겠다. '머리처럼 쑥 튀어나온 살덩어리'를 육두라고 할 수 있으며, 사람의 신체 중 튀어 나온 곳을 남성의 성기나 여성의 가슴을 빗데어 성과 관련된 욕설이나 상스런 욕을 육두문자라 하게 되었다는 추측도 있다.  

 

언어의 역사

 

 

 

 

반응형

캐어랩 고객 지원

취업, 창업의 막막함, 외주 관리, 제품 부재!

당신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 실패만 반복하는 외주 계약, 아이디어는 있지만 구현할 기술이 없는 막막함.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명확한 학습, 실전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의 부재'에서 시작됩니다.

이제 고민을 멈추고, 캐어랩을 만나세요!

코딩(펌웨어), 전자부품과 디지털 회로설계, PCB 설계 제작, 고객(시장/수출) 발굴과 마케팅 전략으로 당신을 지원합니다.

제품 설계의 고수는 성공이 만든 게 아니라 실패가 만듭니다. 아이디어를 양산 가능한 제품으로!

귀사의 제품을 만드세요. 교육과 개발 실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세요.

지난 30년 여정, 캐어랩이 얻은 모든 것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카카오 채널 추가하기

카톡 채팅방에서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귀사가 성공하기까지의 긴 고난의 시간을 캐어랩과 함께 하세요.

캐어랩 온라인 채널 바로가기

캐어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