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un & Other

ESG 용어 정리

반응형

 

 

ESG 경영이란 기업이 수행하는 환경과 사회에 대한 책임과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평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이 고객 및 주주∙직원에게 얼마나 기여하는가, 환경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가, 지배구조는 투명한가를 다각적으로 평가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재무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윤리적인 책임을 다하는 기업에게 투자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투자’를 위한 지표가 됩니다. 즉, 아무리 시공능력이 뛰어나도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친환경 제품을 최우선으로 사용하며, 폐기물 처리에도 능숙한 건설사가 더 높은 평가를 받게 됩니다. 또한, 품질 경쟁력이 앞선 기업보다 고객을 먼저 생각하는 아낌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착한 기업을 선호하죠. ESG 경영의 최종 목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사회적 이익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랍니다. 

 

ESG 구성요소 - 참고

 

 

ESG 구성요소  https://www.hyosungfms.com/fms/promote/fms_news_view.do?id_boards=13640

 

ESG 경영의 특징

 

ESG 경영의 특징 https://www.hyosungfms.com/fms/promote/fms_news_view.do?id_boards=13640

 

 

 

1. 주요 용어

 

그리드 패리티 (Grid Parity)

 

나심 N. 탈레브의 ‘블랙스완’을 기후위기에 빗댄 용어로,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금융위기의 명백한 발생 가능성을 지칭한다. 각국 중앙은행 협력기구인 국제결제은행(BIS)은 2020년 1월 발간한 보고서 <기후변화 시대의 중앙은행과 금융안정>을 통해, 기후변화가 환경과 사회를 위협하고 실물경제 위기를 발생시켜 종국에는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그린스완을 분석해 관리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그린스완 (Green Swan)

 

나심 N. 탈레브의 ‘블랙스완’을 기후위기에 빗댄 용어로, 급격 한 기후변화로 인한 금융위기의 명백한 발생 가능성을 지칭한다. 각국 중앙은행 협력기구인 국제결제은행(BIS)은 2020년 1월 발간한 보고서 <기후변화 시대의 중앙은행과 금융 안정>을 통해, 기후변화가 환경과 사회를 위협하고 실물경제 위기를 발생시켜 종국에는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그린스완을 분석해 관리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그린워싱/ 위장환경주의 (Greenwashing)

 

ESG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면서 기업이 자사의 친환경 적 측면을 실제 영향보다 과장하는 경향을 일컫는다. 기업의 ESG 활동의 가치를 부풀려 홍보해 친환경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얻으려고 위장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기후중립 (Climate Neutrality)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의 특별 보고서 (2018)에 따르면, 기후 중립은 인간 활동이 기후 시스템에 어떠한 실질적 영향도 초래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넷제로(net zero, 탄소 포함 온실가스 순배출량 제로)나 탄소중립(탄소 순배출량 제로)뿐 아니라, 태양 복사 표면 반사율이나 국지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 활동의 생물-지구물리학적(bio-geophysical) 결과가 설명되어야 한다. 한편, 탄소중립과 넷제로는 엄밀한 의미는 다르지만, 배출량(+) 대비 흡수량(-)을 같게 만들어 더 이상 배출이 늘어나지 않는 상태로 만든다는 측면에서 둘 다 ‘탄소 순배출 제로’의 의미로 같이 사용된다.

 

사회성과 연계채권 (SIB : Social Impact Bond)

 

민간의 투자로 공공사업을 수행한 후, 정부가 성과목표 달성 시에만 약정된 기준에 따라 성과급(pay for success) 형태로 예산을 집행, 투자자에게 상환하는 계약이다. 정부 입장에선 사회문제 해결에 쓰는 예산을 보다 효과적·효율적으로 집행해 예산을 절감하고, 민간 투자자 입장에서는 임팩트 투자를 할 수 있다. 공공사업 운영기관과 투자자 간의 계약이므로, 자본 시장에서 실제 유통되는 확정금리부 채권(bond)은 아니다. 계약에 따른 권리로서의 채권으로 폭넓게 이해하면 된다. 2010년 영국에서 최초로 시행하였으며, 국내에서는 2015년 서울시 아동복지시설 거주 아동의 교육 사업에 적용되었다.

 

설리번 원칙 (Sullivan Principles)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미국 기업은 종업원을 고용할 때 인종차별을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말한다. 1977 년 GM사의 감독위원회 중 최초의 흑인이자 침례교 목사인 레온 설리번(Leon H. Sullivan)이 제정했다. 당시 인종분리 정책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하의 남아공에서 설리번 원칙을 수용한 영미권 기업들과 투자자들은 사업 제한과 금융 제재를 통해 남아공 정부를 압박했다. 이 사례는 기관투자자들이 글로벌 차원에서 사회책임투자(SRI)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중요한 계기로 인용된다. 한편, 아파르트헤이트가 철폐된 후 1999년 설리번은 UN과 함께 글로벌 설리번 원칙 (Global Sullivan Principles)을 제정했다.

 

순환경제 (Circular Economy)

 

친환경 제품 생산으로 폐기물을 줄이고, 새로 제품을 생산할 때 기존에 생산된 제품을 재활용하는 등 기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경제 시스템이다. Reduce, Reuse, Recycle로 표현 되는 자원순환 과정이 대표적이다. 생산품이 소비된 후 바로 폐기되던 기존의 선형경제(Linear Economy)에서 벗어나 지속가능성을 추구한다.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Stakeholder Capitalism)

 

주주를 중심으로 경영 목표와 시스템을 설정하던 ‘주주 자본 주의(Shareholder Capitalism)’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기업 경영은 시장에 참여하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을 고려해야 한다 는 개념이다. 이해관계자란 시장의 소비자, 정부, 종업원, 협력 사 등 기업 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모든 관련자를 의미한다. 즉, 단순히 주주 이익 극대화라는 목표를 넘어 기업과 관계된 이해관계자 모두의 이익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2019년 8월, 미국의 주요 기업 CEO들이 모인 Business Roundtable (BRT)에서 기업의 목표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설정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2020년 세계경제포럼(WEF)의 <다보스 매니페스토 2020>에서도 주주 자본주의를 넘어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의 전환을 강조하였다.

 

포용적 자본주의 Inclusive Capitalism

 

주주 자본주의로부터 탈피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위한 가치 창출을 추구한다. 분기별 수익 등 단기 목표에 치중하기보다 기업과 사회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기업 활동의 방향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2015년 5월 영국에서 열린 ‘포용적 자본주의 회의’를 계기로 용어가 널리 알려졌다. 이후 글로벌 주요 기업 및 비영리재단, 투자사들이 참여하는 ‘포용적 자본주의 위원회(CIC, Council for Inclusive Capitalism)’가 결성되었으며,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 기구에 지지를 천명한 바 있다.

 

임팩트 투자 (Impact Investing)

 

재무적 성과 추구와 함께 환경과 사회에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기업과 프로젝트, 펀드 등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투자를 추구하는 방법 중 하나 다. 임팩트 투자를 하는 주체는 개인부터 금융기관, 연기금까지 다양하다. 임팩트 투자는 사회책임투자(SRI, Socially Responsible Investing), 지속가능 투자 등과 유사하지만,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사회적·환경적 임팩트를 성과로 측정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주주참여 (Shareholder Engagement)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로 대표되는 개념으로, 투자자가 우려하는 이슈에 대해 기업과 지속적으로 의사소통하는 행위를 지칭한다. 최근에는 기후변화가 주요 이슈로 자리 잡았다. 주주들은 의결권 행사, 주주 결의안 발송 등을 통해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 관여한다. 주주 관여 활동, 주주 개입 등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중대성/중요성 (Materiality)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이슈가 무엇인지를 식별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에 표시하는 개념이다. GRI, SASB 등 지속가능성 표준에서 제시하는 개념을 참고할 수 있다. GRI에 따르면 중대성 이슈를 선정할 때 기업이 경제·환경·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거나 이해관계자의 평가, 또는 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슈를 고려해야 한다. SASB는 기업에 재무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지속가능성 요인을 중대성 이슈로 정의하며, 77개 산업별 중대성 이슈를 제공한다. 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글로벌 가이드라인과 국내외 동향 분석, 이해관계자 설문 및 인터뷰 등을 토대로 핵심 중대성 이슈를 결정한다.

 

Double Materiality

 

이중 중요성(중대성)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의 환경·사회적 요인뿐만 아니라 기업이 세계에 미치는 영향, 즉 내부적 관점과 외부적 관점을 모두 보아야 한다는 의미다.

 

최근 유럽증권감독청(ESMA)은 IFRS재단의 지속가능성 표준 제정과 관련해, “ESG요소가 보고기업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기업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도 포착할 필요가 있다”며, “이러한 이중 감독은 ESG 분야에서 기업의 위치와 성과를 이해하는 데 핵심”이므로 이중 중대성 개념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EU 집행위원회는 2019년 2월 유럽 비재무정보공개지침(NFRD) 개정안 초안을 만들어 공개했는데, 여기에 이중 중대성이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다. 특히 기후변화처럼 현재에는 드러나지 않지만, 미래에 그 재무적인 영향력이 강화될 사안 또한 중대성 기준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ESG 표준을 둘러싼 논의에서 ‘미래의 기준’으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https://contextsustainability.com/double-materiality-guide/

 

전 과정 평가 (LCA : Life Cycle Assessment)

 

제품 및 서비스 등 산업 활동이 일어나는 모든 단계, 즉 원료 채취-가공-조립-수송-사용-폐기의 전체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제품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의 에너지 및 자원 사용을 파악하고, 이로 인해 환경에 가해지는 영향 및 잠재적 피해를 규명해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지속가능금융 (Sustainable Finance)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금융으로서, 사회·경제· 환경에 영향을 주는 금융 활동을 뜻한다.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대응 등 환경에 대한 녹색금융(Green Finance)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금융서비스 및 상품, 시장체제 및 관련 제도를 아우른다. 금융이 수익성뿐만 아니라 사회적·환경적 가치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성찰에서 나온 개념이다.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1972년 로마클럽 보고서 <성장의 한계>, 1987년 브룬트란트 보고서 <우리 공동의 미래>에서 언급됐으며, 생태계의 보존과 미래 세대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경제성장을 추구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이후 경제성장과 포용적인 사회 발전, 환경보호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지속 가능한 발전 (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개념으로 이어졌다. 경제성장은 장기적으로 환경, 사회 및 인간에게 끼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사회)책임투자 (SRI, RI : (Socially) Responsible Investing)

 

광의의 의미로는 ESG 투자, 지속가능투자, 벤처 필란트로피 (Venture Philanthropy)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투자에 대한 윤리적이고 가치 중심적인 접근법에 근거한다. 18세기 퀘이커교와 감리교를 중심으로 한 윤리투자에서 20세기 인종 차별 반대, 시민권 확대 등을 추구한 사회책임투자로, 최근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한 ESG 투자로 이어지고 있다.

 

협의의 의미로는, 사회책임투자와 임팩트 투자, ESG 투자 등의 개념은 구분이 다소 모호한 측면이 있다. 미국 SIF(The Forum for Sustainable and Responsible Investment)는 ESG 투자가 SRI와 개념적으로 유사하나, 최적의 투자성과를 강조하는 선관주의 의무(Fiduciary duty)를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고 본다. 최근에는 SRI, 임팩트 투자, ESG 투자 간의 개념 차이를 수익성과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고려 정도를 기준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임팩트 투자와 SRI는 사회 적 책임과 가치, 임팩트에 방점을 두는 반면, ESG 투자는 경제 적 가치 혹은 수익률에 방점을 둔다.

 

지속가능투자 Sustainable Investing

 

전통적인 투자 접근 방식에 ESG를 고려해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호,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 측면에 기여하고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행위를 뜻한다. 책임투자, ESG 투자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탄소가격제 (Carbon Pricing)

 

오염자 지불 원칙에 따라 배출한 탄소에 비용을 책정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이다. 대표적으로 온실 가스 배출권거래제(ETS), 탄소세 등이 있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는 전 세계 46개 국가에서 시행 중이며, 한국은 2015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탄소국경(조정)세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탄소배출 규제가 약한 국가에서 강한 국가로 제품을 수출할 때 적용되는 무역관세를 의미한다. EU는 그린 딜(European Green Deal)의 일환으로 2023년 도입을 예고하였고, 미국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고려하고 있다. 유럽은 중국, 미국에 이어 3번째로 교역량이 많은 수출국으로, 탄소국경세가 도입될 경우 한국 기업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탄소누출 (Carbon Leakage)

 

기업이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 등 비용상의 이유로 탄소배출 규제가 엄격하지 않은 타국으로 생산 설비를 이전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탄소누출 현상이 심해질 경우 결국 탄소의 총 배출 량이 증가할 수 있다.

 

탄소발자국 (Carbon Footprint)

 

개인 또는 기업 등이 직·간접적으로 발생시키는 온실가스, 특히 탄소의 총량을 의미한다. 일상 생활 및 제품 생산에서 사용하는 연료, 전기, 폐기물 등이 모두 포함된다. 특히 기업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측정 시, 아래와 같은 유형에 따라 측정한다.

Scope 1: 기업이 소유 또는 관리하는 사업장의 물리적 장치나 공정에서 직접 배출하는 온실가스

Scope 2: 기업이 구매하는 에너지를 공급자들이 생산할 때 발생하는 간접 배출

‌Scope 3: 가치사슬에서 발생하는 모든 간접 배출 (원자재 공급, 제품 사용, 처분 및 운송 단계 등)

 

탄소세 (Carbon Tax)

 

탄소 감축 대책의 하나로 탄소 함유량에 비례해 세금을 부과 하는 제도다. 석탄, 석유 등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연료에 세금 부과로 가격을 인상하여 탄소배출량 절감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 1990년 핀란드를 시작으로, 스웨덴, 덴마크, 캐나다 등 26개국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EU는 2023년 도입을 추진 중이다. 한국 정부도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탄소세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탄소중립 (Carbon Neutrality)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제로(0) 로 만든다는 의미다. 협의의 개념으로는 순 배출량 자체를 제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지만, 잔류 배출을 허용하되 배출한 만큼 상쇄하여 실질 배출량을 제로로 만드는 광의의 개념으로 더욱 널리 쓰인다. 한국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네이버,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몇몇 기업은 탄소 중립을 넘어 ‘탄소 네거티브(carbon negative)’를 선언하기도 했다. 탄소 네거티브란 현재까지의 배출량 이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서 실질적 배출량을 ‘마이너스’로 만든다는 개념으로, 탄소중립보다 진일보한 조치로 평가된다.

 

탈탄소화 (Decarbonization)

 

에너지 생산·소비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감축하고 배출량 제로(0)로 나아가는 전 과정을 의미한다.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탈탄소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최근 정부와 기업이 탄소배출을 지속 적으로 절감하고 배출량을 상쇄할 수 있는 정책을 발표하는 과정에서 탄소중립과 함께 핵심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BAU (Business As Usual,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온실가스의 총량 추정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030 온실 가스 배출 전망치(BAU)’의 경우 인위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 2030년에 배출될 온실가스 총 배출량 추정치를 나타낸다. 한국은 2030년까지 2030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 대비 37% 감축을 목표로 한다

 

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산업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대기로 배출하기 전에 포집한 다음 압력을 가해 액체 상태로 만들어 해저 또는 지하 에 저장하거나(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활용하는 기술(CCU,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을 총칭한다. 대표적인 CCU 기술로는 이산화탄소와 물의 반응을 활용해 수소와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에탄올·메탄올 등 화학산업 원료를 생산하는 기술이 있다.

 

ESG 채권

 

환경, 사회, 지속가능성 등에 해당하는 사업 및 프로젝트에 한정해 발행하는 특수목적 채권을 통칭한다. 사회책임투자 (SRI)채권으로 불리기도 한다. 크게 녹색채권(Green Bond), 사회적 채권(Social Bond),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으로 구분된다. 한국거래소는 ESG 채권 발행 활성화를 위해 사회책임투자채권 세그먼트를 오픈하기도 했다. ESG 채권을 발행하기 위해서는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에서 제정한 녹색채권원칙(GBP)과 국제기후채권기구(CBI)에서 개발한 기후채권표준(CBS) 등을 충족해야 하며, 자금의 용도를 설명하는 사전검증을 필수로 진행해야 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ESG 채권 발행은 급증하고 있다. 2020년 기준 국내 ESG 채권 발행액은 58조 9000억 원, 글로벌 발행액은 약 560조 원에 달한다.

 

녹색채권 Green Bond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프로젝트나 사회기반시설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친환경 관련 사업 등에만 사용할 수 있어 녹색산업을 분류하는 택소노미 (Taxonomy·녹색분류체계)의 역할이 중요한 분야다. 글로벌 ESG 채권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사회적 (가치) 채권 Social Bond

 

사회가치 창출 사업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주거복지, 중소기업 지원, 일자리 창출, 취약계층 지원 등이 목적이다. 특히 초창기 국내 ESG 채권은 주택금융공사, 한국장학재단, 중소기업벤처진흥공단 등 공기업에서 발행한 사회적 채권이 주를 이뤘다.

 

지속가능채권 Sustainable Bond

 

환경 친화적이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프로젝트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녹색채권과 사회적 채권의 성격을 융합한 특징을 가진다.

 

PCR (Post-Consumer Recycled)

 

소비자가 사용한 후 버린 제품의 원재료를 다른 자재 생산에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재료에 의존할 필요가 없고, 매립 지에 폐기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재생 플라스틱이 대표적인 PCR 제품이다.

 

Triple Bottom Line

 

1994년 존 엘킹턴(John Elkington)이 제안한 새로운 회계 개념으로, 기업의 성과를 평가할 때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 정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측정을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기업의 지속가능성 논의 및 지속가능 발전 개념과 맞닿아 있으며, 최근 ESG 관련 비재무정보 측정 표준화 및 회계기준에의 반영 논의의 배경이 된 개념이다.

 

2. 이니셔티브 및 기관

 

2050 장기 저탄소발전전략 (LEDS : 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

 

파리기후변화협약(2015) 당시 모든 당사국에게 제출을 요구 한 중장기 탄소 감축 전략이다.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장기 비전과 국가 전략을 제시한다. 한국은 2020년 12월 제출했으며, 5대 기본 방향으로 전기·수소 활용 확대 디지털 기술 연계를 통한 에너지 효율 향상 탈탄소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순환경제 이행 자연·생태 탄소 흡수 기능 강화 등을 담았다.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NDC :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보다 2℃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각 국가가 5년마다 제출해야 하는 자발적인 감축 목표이다. 감축 적응 재원 기술 역량강화 투명성 6개 분야를 포괄한다. 한국은 2030년까지 2017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24.4% 감축을 제시했으며 2025년까지 목표를 상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제기후 채권기구 (CBI : Climate Bonds Initiative)

 

2009년 영국 정부와 국제금융기관의 지원으로 설립된 국제 비영리기구다. 채권 시장을 움직여 지속가능한 금융으로의 전환을 촉구하는 투자자 이니셔티브다. 이를 위해 기후채권 표준(Climate Bonds Standards)을 개발하고 부문별 녹색 채권 발행기준을 제공한다.

 

기후채권표준 Climate Bond Standards

 

채권이나 기타 채무상품이 녹색채권 자격을 갖추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기준이다. 녹색채권원칙(GBP)과의 연계를 토대로 자금사용 및 추적, 보고에 대한 명확한 의무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저탄소 및 기후적응 프로젝트 등에 관한 구체적 기준과 독립된 검증 및 인증체계를 위한 가이드라인도 포함됐다.

 

국제항공탄소 상쇄감축제도 (CORSIA : Carbon Offsetting and Reduction Scheme for International Aviation)

 

국가별 탄소배출 규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국제항공운송의 탄소배출량을 관리하기 위해 2016년 UN 산하 국제민간항공 기구(ICAO)에서 합의한 계획이다. 순배출량을 2019년 기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 항공사는 초과한 탄소배출량만큼 배출권을 구매해 탄소배출량을 상쇄해야 한다. 2021~2023 년은 시범단계로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하며, 2021~2035년 까지 총 25억 톤 감축을 목표로 한다.

 

그린 뉴딜 (Green New Deal)

 

저탄소, 신재생에너지 등 녹색산업을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 으로 지원함으로써 기존의 화석연료 기반의 산업으로부터 전환하고 고용과 투자를 확대하는 정책을 의미한다. 최근 기후 변화 및 환경문제 대응과 관련하여, 각국 정부는 지구 온난화를 심화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하고 전기차, 수소에너지 등 에너지 청정화를 촉진하고 있다.

 

한국판 그린 뉴딜

 

2020년 7월 14일 발표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두 축으로 한다. 그린 뉴딜은 탄소 의존형 경제에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꾀하며, 도시·공간·생활 인프라의 녹색전환과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등을 통해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한다.

 

글로벌탄소 프로젝트 (GCP : Global Carbon Project)

 

2001년 결성된 글로벌 이니셔티브로, 국제 과학계와 협력해 인간 활동이 배출하는 탄소와 지구 시스템에 대한 지식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다.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해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GCP는 주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의 대기 중 농도와 각국의 정책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한다. GCP 및 국제에너지기구(IEA) 등에 따르면 2020년 탄소 감축량은 26억 톤으로, 1900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대 폭으로 감소하였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IPCC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988년 유엔환경계획(UNEP)과 세계기상기구(WMO)가 공동으로 설립한 국제기구로, 전 세계 3,000명 이상의 전문가가 기후변화와 관련한 과학적 사실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IPCC의 핵심 역할은 기후변화에 대한 전문적인 분석과 정책 방향을 제공하는 것이다. IPCC 보고서는 유엔기후변화 협약(UNFCCC)에서 정부 간 협상의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도 한다. 제2차 평가보고서(1995)는 교토의정서(1997)의, 제5차 평가보고서(2014)는 파리기후변화협약(2015)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했다.

 

녹색금융협의체 (NGFS : Network of Central Banks and Supervisors for Greening the Financial System)

 

각국 중앙은행과 금융감독기구가 기후변화 및 환경 관련 금융 리스크 관리·감독 기준을 논의하기 위해 만든 글로벌 협의체 로, 2017년 12월 설립되었다. 기후 리스크가 정부 및 금융 기관의 금융안정성 및 재정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비하여 권고 안과 가이드를 마련한다. 또한 파리 기후변화 협약의 목표 달성을 위해 리스크 관리를 통한 금융시스템의 역할을 강화하고 녹색 및 저탄소 투자를 지원한다. 국내에서는 한국은행만 가입하였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가입 검토 중이다.

 

녹색분류체계 (Green Taxonomy)

 

친환경 산업 및 금융 활동의 정의를 제공하는 기준이다. 명확 한 정의를 통해 그린워싱을 방지하고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프로젝트에 자금 공급을 지원한다. 2020년 EU에서 택소노미 초안이 마련됐고, 2022년 공식 사용될 예정이다. EU의 녹색분류체계는 기후변화 리스크 완화 기후 변환 리스크 적응 수자원 및 해양생태계 보호 순환경제로의 전환 오염물질 방지 및 관리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복원 등 6개 분야로 산업을 구분한다. 한국에서는 2021년 상반기 환경부 주도로 K-Taxonomy를 마련할 방침이며, 녹색금융 공사(가칭)가 녹색 산업 및 금융 전반을 전담할 예정이다.

 

비재무정보 공개지침 (NFRD : Non-Financial Reporting Directive)

 

2014년 EU 의회에서 통과된 법안으로, 비재무정보 공시 의무 화를 담았다. 2018년부터 역내 500인 이상 또는 자산총액 2,000만 유로 이상의 기업과 공익법인은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한다. 원칙준수 예외설명(Comply or Explain) 방식에 따라 환경문제, 이사회 다양성, 인권, 반부패 등 다양한 ESG 리스크와 기회에 대한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ESG 관련 기업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려는 취지다. 2021년 3월 개정안 발표가 예정돼 있다.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PS 제도)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 및 관련 사업 육성을 위한 제도로 2012년 도입됐다. 이에 따라 일정규모 이상(50만kW)의 발전 사업자는 총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해야 한다. 현재 한국수력원자력, 남동발전, 중부발전 등 에너지 공기업과 포스코에너지, SK E&S, GS EPS 등 14개 발전사가 해당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RPS 비율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에코바디스 (EcoVadis)

 

공급망의 사회적·환경적·경제적 성과를 평가하는 글로벌 기관으로, 2007년 설립됐다. 협력사가 제출한 자료를 기반으로 CSR 일반 환경 노동 관행 및 인권 정책 공정한 비즈니스 관행 지속가능한 조달 5가지 분야에 걸친 39개의 질문에 대해 평가한다. 2020년 75,000개 이상의 기업이 평가받았다.

 

유럽 그린 딜 (European Green Deal)

 

EU 집행위원회에서 중장기 경제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2019년 12월 발표한 정책 로드맵이다. 2050년 기후중립 달성을 목표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EU 경제의 전환을 위해 채택됐다. 탄소배출 감축, 에너지의 탈탄소화, 신산업 전략, 지속가능한 운송, 건축분야 에너지 및 자원 효율성 강화, 식품안전 및 생태계 보전 등 다양한 정책을 제시했다. 유럽 그린 딜 하에서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 2023년 탄소국경세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법적 구속력 확보를 위해 유럽 기후법(European Climate Law) 제정을 제안·심의하였고, 2022년까지 녹색회계 기준 수립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유럽 기후법 (European Climate Law)

 

2050년 기후중립 달성을 위한 유럽 그린 딜(European Green Deal)의 제도적 기반이 되는 법안으로, 2020년 기후중립 달성이 골자다. 2020년 3월 EU 집행위원회에서 제안된 후 10월 유럽의회 심의에서 채택됐다.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재설정(1990년 대비 60% 감축) 역내 모든 회원국의 2050년 기후중립 달성 204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 2023년까지 역내 모든 직·간접적 화석연료 보조금 철폐 등이 담겼다. 2021년 1월 현재 마무리 합의 단계에 있으며, 올해 유럽 기후법이 통과되면 탄소국경세 등 관련 기후 규제 입법안이 연이어 상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청정수소연합 (European Clean Hydrogen Alliance)

 

2020년 7월 EU 집행위원회에서 결성된 협의체로, 유럽 지역 내 기업 및 금융기관 200개 이상이 참여하고 있다. 유럽 수소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연합체로 2030년까지 저탄소 및 신재생 수소 생산 등 수소경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결성됐다.

 

유엔기후변화협약 (UNFCCC :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1992년 5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환경회의에서 채택된 협약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 기후현상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197개국이 비준했다.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에 대한 국가통계 및 정책 이행에 관한 보고서 작성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시행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권고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후 교토의정서(1997), 파리기후변화협약(2015)이 차례로 채택됐다. 협약 당사국은 매년 당사국총회(COP)를 개최한다. 2021년 11월 영국에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예정돼 있다.

 

 

https://svhub.co.kr/esghandbook/sub03.html#con01_00

 

 

유엔지속가능발전목표 (UN SDGs :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015년 제70차 UN 총회에서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결의한 의제로, 지속가능발전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인류 공동의 약속이다. 경제성장, 사회발전, 환경보호라는 세 가지 축을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개념에서 비롯됐다. 인간, 지구, 번영, 평화, 파트너십의 5개 영역에서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를 제시한다.

 

적도원칙 (Equator Principles)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 진행 시 환경파괴를 일으키거나 지역주민에 대한 인권침해 등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자금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금융기관들의 자발적 행동 협약이다. 2003년 국제금융공사(IFC)와 세계 10대 금융기관이 공동으로 발표하였다. 국내에서는 KDB 산업은행에 이어 2020년 신한은행이 가입했고, 우리은행, KB국민은행이 가입을 추진 중이다.

 

지속가능금융공시제도 (SFDR : Sustainable Finance Disclosure Regulation)

 

2018년 3월 EU가 발표한 지속가능금융 실행계획의 일환으로, 금융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 공시 규제다. 그린워싱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투자로 민간 자본을 유인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1년 3월 10일부터 시행 예정으로, 역내 금융기관들은 ESG 리스크로 인한 재무적 손실, 환경·사회적 목표에 기여하는 투자 규모, 환경·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등을 공시해야 한다. 당초 역외 투자자까지 SFDR 적용 대상이었지만, 이에 대한 반발이 있어 현재 논의 중이다.

 

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 (SSB :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2020년 9월 IFRS(국제회계기준) 재단은 ‘지속가능성 보고에 관한 협의문서(Consultation Paper on Sustainability Reporting)’를 통해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 제정을 위해 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SSB) 창설 계획을 발표하였다. SSB의 창설, 운영, 표준 제정 접근방법에 대하여 2020년 10~12월 동안 전 세계 전문가들로부터 의견 수렴을 진행했으며, 2021년 SSB를 출범시켜 ESG 회계 표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탄소회계금융협의체 (PCAF : Partnership for Carbon Accounting Financials)

 

2015년 네덜란드에서 시작된 글로벌 금융기관들의 협의체다. 기업 대출 및 투자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평가하고 공개하기 위한 회계 방법론을 개발한다. 전 세계 약 100개의 금융기관과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신한금융지주가 가입했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도 파트너사로 참여하고 있다.

 

파리기후변화협약 (Paris Climate Change Accord)

 

2015년 12월 파리에서 개최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채택된 기후변화 대응에 관한 국제 협약이다. 2016년 11월 발표되었고, 2021년 1월부터 적용됐다. 195개 모든 당사국에 보편적인 구속력이 있는 첫 기후 합의로, 장기목표 감축 시장 메커니즘 도입 이행점검 재원 기술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보다 2℃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고, 나아가 1.5℃ 이하까지 억제되도록 글로벌 차원의 대응을 강화했다. 특히 당사국이 자발적 감축목표(NDC)를 제출하고, 2020년부터 5년마다 정기적으로 결과를 보고해 이행을 점검한다.

 

Net Zero Asset Managers Initiative

 

2020년 12월 출범한 글로벌 30대 자산운용사들의 협의체로, 9조 달러를 운용하고 있다. 영국 LGIM(Legal & General Investment Management), 스위스 UBS 등은 모든 자산군에서 2050년 혹은 그 이전까지 넷제로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Net-Zero Asset Owner Alliance

 

UN PRI(유엔 책임투자원칙)와 UNEP FI(유엔환경계획 금융 이니셔티브)가 공동 주관하는 기후변화 대응 리더십 그룹으로, 2019년 출범했다. 보험사 알리안츠그룹, 프랑스 예금금탁금고 (Caisse des Dépôts) 등 가입한 30여 개의 기관투자자들은 2050년까지 자사 포트폴리오의 넷제로를 구축하겠다고 선언했다.

 

New Plastics Economy Global Commitment

 

2018년 엘렌 맥아더 재단과 유엔환경계획(UNEP)에서 공동으로 출범시킨 이니셔티브로, 2025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과 이로 인한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월마트·네슬레·유니레버 등 글로벌 기업과 NGO, 국가 및 지방정부, 투자자 등 450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OECD 기업 지배구조원칙(2015)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의 투자활동 지원과 기업의 이익창출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권리와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1999년 처음 제정되었으며, 2005년에 이어 2015년 개정되었다. 주주권 및 주주평등, 기관 투자자 및 주식시장, 이해관계자, 공시와 투명성, 이사회의 책임 등으로 구성됐다. 글로벌 기준으로서 유효성이 입증돼 여러 국가에서 지배구조 개혁 관련 기본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다국적기업의 경제·사회·환경 측면의 긍정적 영향을 제고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2011년 OECD가 제정한 모범적 행동규범이다. 한국 등 OECD 회원국과 비회원국을 포함해 총 48개국이 수락했다. 법적 구속력은 없으나 수락국 연락사무소(National Contact Point)를 통해 홍보 및 이행 문제를 다룬다. 정보공개, 인권, 고용 및 노사관계, 환경, 뇌물공여, 뇌물청탁 및 강요 방지, 소비자 보호, 경쟁, 조세 등 광범위한 기업윤리 분야를 포괄한다.

 

P4G (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

 

P4G(녹색성장 및 2030 글로벌 목표를 위한 연대)는 2017년 9월 공식 출범한 국제 이니셔티브로, 녹색경제 분야의 공공민간 파트너십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 12개국 정부와 C40 세계도시 기후 정상회의, 글로벌녹색성장 연구소(GGGI), 세계경제포럼(WEF), 세계자원연구소(WRI) 등이 참여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파리기후변화 협약 이행 가속화, 녹색경제 관련 5대 중점 분야(물 에너지 순환경제 도시 식량/농업)에서의 민관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2021년 5월 한국에서 제2차 정상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다.

 

RBA (Responsible Business Alliance)

 

글로벌 공급망에서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및 ESG 관련 행동 규범을 제시하는 세계 최대의 산업 연합이다. RBA의 전신은 EICC(Electronic Industry Citizenship Coalition)로, 2004년 전자산업 내 이니셔티브로 출발했다. 현재는 전자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 도·소매업 등 다양한 업종의 150개 이상의 기업들이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 원칙, ILO(국제노동기구) 선언, 유엔 세계인권선언 등의 인권 기준에 근간을 두고 있다. 평가 기준인 RBA VAP을 바탕으로 생산 공정에서의 CSR 달성 여부, 근로자의 작업 조건, 운영 과정에서 인권과 지속가능성 고려 여부 등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에 따라 플래티넘-골드-실버 순으로 등급을 부여한다. 2021년 1월 1일부터 행동규범(Code of Conduct) 7.0 버전이 적용되고 있다.

 

RE100 (Renewable Energy 100%)

 

2014년 영국의 글로벌 비영리기구 클라이밋그룹(Climate Group)이 시작한 글로벌 기업 재생에너지 이니셔티브로,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와 연합해 탄생했다. 2050년까지 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을 100%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 세계 28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이 가입했으며, 한국에서는 2020년 11월 SK그룹 8개사가 최초로 가입했다. 정부는 2021년 RE100을 국내 실정에 맞춰 도입하는 한국형 RE100(K-RE100)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SSE Initiative (Sustainable Stock Exchanges Initiative)

 

각국의 증권거래소가 상장법인의 ESG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여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고 지속가능투자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UN에서 시작한 이니셔티브다. 2009년 반기문 UN사무총장 주도로 발족됐으며, UNCTAD(유엔무역개발협의회), UNGC, UNEP FI, UN PRI가 공동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2021년 현재, 전 세계 100개 거래소가 참여하며, 한국거래소는 2015년 20번째로 가입했다. SSE 이니셔티브는 GRI, IIRC, SASB 등을 활용해 각국 증권거래소의 ESG 정보 공개 가이던스 수립을 지원한다. 현재 전 세계 105개 증권거래소 중 한국(‘21년 1월 발표)을 포함해 56곳에서 명문화된 ESG 정보 공개 가이던스를 제공한다.

 

The Investor Agenda

 

파리기후변화협약 달성을 위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1.5℃ 기후행동’ 이니셔티브로, 글로벌 주요 기관(AIGCC*, CDP, CERES*, IGCC*, IIGCC*, UNEP FI, UN PRI)이 공동 발족했다. 투자(Investment), 기업관여(Corporate Engagement), 투자자 정보공개(Investor Disclosure), 정책 옹호(Policy Advocacy)의 4개 중점 분야에서 투자자 및 금융기관이 취할 수 있는 기후행동 조치를 제시하고 이행을 촉구한다. *Asia Investor Group on Climate Change, Coalition for Environmentally Responsible Economies, Investor Group on Climate Change, Institutional Investors Group on Climate Change

 

VBA Value Balancing Alliance

 

ESG 측정 및 화폐화에 대한 표준을 수립하기 위해 설립된 글로벌 기업 연합체로, 2019년 출범했다. 독일의 BASF가 회장사, SK와 노바티스가 부회장사를 맡고 있고, 도이치뱅크, 보쉬, BMW 등 글로벌 16개 기업이 회원사로 참여한다. 또한 4대 글로벌 회계법인, 경제기구(OECD·세계은행), 하버드대, 옥스퍼드대 등이 협력기관으로 활동 중이다. 2020년 10월, 온라인 세미나 ‘Value Balancing Alliance 2020 Korea’를 개최한 바 있다. 유럽연합(EU)이 기업 활동의 환경 영향을 회계에 반영하기 위해 추진 중인 ‘녹색회계(Green Accounting)’ 프로젝트를 수주해 진행하고 있다.

 

ZWTL (Zero Waste To Landfill)

 

미국 최초의 안전규격 인증기관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이 폐기물 배출량 제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입한 폐기물 관리 인증 제도이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하여 폐기물 배출량이 0으로 수렴하는 순환경제를 목표로 한다. 폐기물의 총중량에서 재활용을 할 수 없는 폐기물의 중량을 빼 재활용률을 수치화하여 기업의 자원 재활용 수준과 사업장 발생 폐기물의 재활용 수준을 등급으로 평가한다. 재활용률이 100% 일 경우 가장 높은 플래티넘, 95~99%는 골드, 90~94%는 실버 등급이 부여된다  

 

 

 

https://svhub.co.kr/esghandbook/sub03.html

 

 

 

반응형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