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M2M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물지능통신이 여는 스마트세상]<6>M2M 단말 확산을 위한 과제 영화 `아바타`를 보면 타 행성의 식물이 텔레파시를 이용해 서로 통신하고 교감하면서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는 상상에 근거한 것이지만 사물지능통신(M2M) 시대에는 상상이 현실화하면서 무생물인 사물까지 상호 통신이 가능해진다. 각 사물에 통신 모뎀과 컴퓨터 칩이 내장돼 인공지능을 처리한다. 우리 주변 모든 기계와 장치가 인간 생활을 윤택하고 편리하게 만들기 위해 서로 협업하는 M2M 시대가 도래하는 것이다. M2M 시대에는 통신망에 연결되는 사물 모두가 M2M 단말이 된다. 냉장고, TV, 세탁기 등 스마트가전부터 은행 ATM, 거리 자동판매기, 자동차, 건강정보를 수집하는 헬스케어 장치, 원격지에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스마트검침 장치까지 M2M 단말은 종류를 헤아리.. [사물지능통신이 여는 스마트세상]<5>M2M 시장에서 통신사의 역할 사물지능통신(M2M)은 기존 유무선 통신과 마찬가지로 초기 대규모 투자로 시작한 후 소비자가 단말을 구입하며 확산하는 형태로 진화할 전망이다. M2M은 단말 보급, 통신망 구축을 놓고 보면 오히려 통신보다 더 많은 초기 비용이 수반된다. 트래픽 발생 규모가 적어 수익규모는 낮고 투자회수에 더 긴 시간이 소요된다. 이런 이유로 M2M은 현재 텔레매틱스, 헬스케어 등 고가의 수직적(vertical) B2B 시장에서만 활용된다. 하지만 M2M의 미래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향후 100년은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고 교육·교통·물류 등 개인과 사회비용을 줄여나가는 것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한다. 이 같은 사회 비용 최적화 사업이 미래 M2M 수요를 확산시킬 것이다. 전통적인 시각에서 보면 M2M 시장에서 통신.. 사물지능통신이 여는 스마트세상 <4>M2M 표준화의 중요성 [사물지능통신이 여는 스마트세상]M2M 표준화의 중요성 출처 : 전자신문 http://www.etnews.com/news/special/2662838_1525.html 시장조사업체 아이데이트에 따르면 세계 사물지능통신(M2M) 시장은 2008년 111억7000만 유로 규모에서 내년엔 295억유로로 두 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M2M은 산업 간 융합의 중심 추세로 자리 잡으며 명실공히 차세대 IT 대표서비스로 부상 중이다. M2M은 정책·공공 측면에서도 자동차·전력·원격검침·가전·의료 같은 다른 산업 분야와 결합해 시스템 운영비를 줄이고 산업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 온다. 이는 곧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진다. M2M을 활성화하기 위한 표준화 작업도 활발하다. ITU-T가 일반적인 구조와 요구사항..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