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2m표준화 동향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물지능통신이 여는 스마트세상]<5>M2M 시장에서 통신사의 역할 사물지능통신(M2M)은 기존 유무선 통신과 마찬가지로 초기 대규모 투자로 시작한 후 소비자가 단말을 구입하며 확산하는 형태로 진화할 전망이다. M2M은 단말 보급, 통신망 구축을 놓고 보면 오히려 통신보다 더 많은 초기 비용이 수반된다. 트래픽 발생 규모가 적어 수익규모는 낮고 투자회수에 더 긴 시간이 소요된다. 이런 이유로 M2M은 현재 텔레매틱스, 헬스케어 등 고가의 수직적(vertical) B2B 시장에서만 활용된다. 하지만 M2M의 미래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향후 100년은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고 교육·교통·물류 등 개인과 사회비용을 줄여나가는 것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한다. 이 같은 사회 비용 최적화 사업이 미래 M2M 수요를 확산시킬 것이다. 전통적인 시각에서 보면 M2M 시장에서 통신.. 사물지능통신이 여는 스마트세상 <4>M2M 표준화의 중요성 [사물지능통신이 여는 스마트세상]M2M 표준화의 중요성 출처 : 전자신문 http://www.etnews.com/news/special/2662838_1525.html 시장조사업체 아이데이트에 따르면 세계 사물지능통신(M2M) 시장은 2008년 111억7000만 유로 규모에서 내년엔 295억유로로 두 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M2M은 산업 간 융합의 중심 추세로 자리 잡으며 명실공히 차세대 IT 대표서비스로 부상 중이다. M2M은 정책·공공 측면에서도 자동차·전력·원격검침·가전·의료 같은 다른 산업 분야와 결합해 시스템 운영비를 줄이고 산업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 온다. 이는 곧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진다. M2M을 활성화하기 위한 표준화 작업도 활발하다. ITU-T가 일반적인 구조와 요구사항..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