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에서 열리는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마라톤 🤖🏃♂️
로봇공학의 미래가 왔습니다! 베이징에서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마라톤이 개최되어 AI 기반 이동성과 지구력의 한계를 넓혔습니다.
🔹 휴머노이드 전용 레이스 - 참가자는 수동 제어 또는 완전 자율형 휴머노이드 로봇이어야 합니다.
🔹 지구력 및 민첩성 테스트 - 이 이벤트는 로봇이 장거리 달리기에서 균형, 속도 및 조정력을 보여주도록 도전합니다.
🔹 로봇공학의 혁신 - 엔지니어는 이 레이스를 사용하여 두 발로 걷는 동작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휴머노이드 로봇을 더욱 효율적이고 사실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 왜 중요한가요?
🚀 로봇공학 발전 - 달리기는 휴머노이드 로봇에게 가장 어려운 작업 중 하나이며, 정확한 균형과 역동적인 동작 제어가 필요합니다.
🤖 AI 및 모션 러닝 – 이 마라톤은 미래의 실제 세계 애플리케이션에 필수적인 AI 기반 모션 인텔리전스의 개발을 가속화합니다.
🏅 스포츠의 미래? – 앞으로 몇 년 안에 로봇 올림픽을 볼 수 있을까요?
이 이벤트는 물류, 의료, 심지어 경쟁 스포츠에 휴머노이드 로봇을 통합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계를 나타냅니다.
💬 스포츠에서 로봇에 대한 생각은 어떻습니까? 언젠가 인간을 능가할 수 있을까요? 논의해 봅시다!
다음은 기사 내용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다음달 열리는 휴머노이드 로봇 마라톤 대회의 접수가 시작됐다.
베이징시는 4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 대회'를 4월 13일 이좡(亦庄)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중국 언론 베이징칭녠바오에 따르면 지난해 베이징 이좡에서 열린 하프 마라톤 대회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톈궁(天工)'이 등장해 출발선에서 선수 응원을 펼친 바 있다. 선수들과 같이 결승 지점을 통과해 주목 받았다. 베이징 이좡을 전국적인 로봇 산업의 핵심 지역으로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이징경제개발구에 따르면, 올해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출발선에서부터 선수들과 같은 경로를 달린다. 이 대회는 5일 참여 신청 접수를 시작했다. 참가 신청은 5일 오전 10시부터 11일 오후 5시까지다.
이번 대회는 난하이쯔(南海子) 공원 남쪽 광장에서 시작된다. 휴머노이드 로봇과 선수가 동일한 경로를, 동시에 달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사람과 로봇의 안전을 위해 로봇이 선수와 동일한 경로를 달리지만 별도의 주행 트랙을 마련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결승선 통과 시간은 약 3시간 30분으로 정해졌다. 일반 참가 선수들의 제한 시간은 3시간 10분이다. 대회 중에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으며, 로봇을 교체하고 릴레이 형식으로 완주할 수도 있다.
로봇 교체 횟수와 완료 시간을 기준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실시하며, 경기 중 로봇을 교체하면 1회당 10분의 패널티가 부과된다. 로봇은 인간을 닮은 외관을 하고 있으며, 바퀴형 구조가 아닌 두 다리로 걷거나 달려야 한다. 제어 방식은 수동 원격 제어(반자율 포함)나 완전 자율 제어가 가능하다. 다만 로봇이 트랙에서 다른 참가 로봇 및 주변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하며 대회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인 '2025 베이징 이좡 하프 마라톤 및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이 오는 4월 13일 오전 7시 30분에 출발 총성을 울린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일반 선수들과 함께 출발하여 동일한 코스를 따라 21.0975km의 경주를 달리게 된다. 대회 참가 신청은 3월 5일 10시부터 3월 11일 17시까지 진행된다. 로봇 참가팀은 마라마라(马拉马拉)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이번 대회의 출발점은 난하이쯔공원(南海子公园) 1기의 남쪽 광장에 있고, 결승점은 퉁밍후국가정보혁신단지(通明湖国家信创园)에 위치한다. 로봇과 일반 선수들은 동시에 출발하지만, 안전을 위해 전 구간 철제 펜스나 녹지대를 이용해 분리되며, 동일한 코스, 별도의 트랙에서 경주를 진행하게 된다. 보다 많은 로봇들이 완주할 수 있도록, 대회 측은 로봇 부문의 경기 종료 시간을 약 3시간 30분으로 설정했다. 경기 중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으며, 로봇을 교체해 릴레이 방식으로 완주할 수도 있다. 최종 성적은 완주 시간과 로봇 교체 횟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산정되며, 경기 중 로봇 교체 시마다 10분의 페널티가 적용된다.
이번 대회에 참가하는 로봇은 사람 형태를 갖춰야 하고, 두 발로 걷거나 달릴 수 있어야 하며, 바퀴를 이용한 구조는 허용되지 않는다. 조종 방식의 경우, 수동 원격 조종(반자율 포함) 또는 완전 자율 조종이 가능해야 한다. 참가팀은 로봇이 경기 코스, 다른 참가 로봇 및 주변 인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보장해야 하며, 경기 코스, 대회 규정 및 특정 기술 요구 사항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또한 대회의 과학기술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경기 전 개막식은 로봇이 진행하며, 경기 후 로봇 쇼케이스 및 인터랙티브 체험 등 일련의 행사가 마련될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서는 1, 2, 3위 입상자에게 각각 5,000위안, 4,000위안, 3,000위안의 상금을 수여하며, 완주상, 최우수 내구력상, 최우수 인기상, 최우수 보행상, 최우수 디자인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수상자가 선정된다.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개발팀의 혁신적 성과를 인정하고 격려하기 위해, 상당한 규모의 과학기술 혁신 연구개발 장려금도 제공될 예정이다.
원문 출처: 베이징일보, 베이징발표(北京发布)
'호모러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령별 최대 산소 섭취량, 나이가 들어도 계속 달리는 방법 (1) | 2025.04.09 |
---|---|
청남대 울트라 마라톤 100km 4월 12일 (0) | 2025.04.04 |
2025년 2분기 마라톤 달리기 훈련 계획표 (0) | 2025.04.03 |
2025년 3월 달리기, 마라톤은 늘 놀라움으로 가득 차 있다. (2) | 2025.04.01 |
처음부터 좋은 달리기란 없다. 일 년에 한번 있는 당번 후기. (2) | 2025.03.22 |
2025 서울마라톤 완주, 다시 처음 마음으로 시작하기 (4) | 2025.03.21 |
2025 JTBC 마라톤 사전 접수 기간 - 추첨제 전환 (0) | 2025.03.18 |
마라톤은 단순한 레이스가 아니라 회복력, 용기, 자아 발견의 여정 (0) | 2025.03.18 |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