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 샤갈 # part 1
“우리 인생에서 삶과 예술에 진정한 의미를 주는 단 하나의 색깔은 바로 사랑의 색이다. 삶이 언젠가 끝나는 것이라면, 삶을 사랑과 희망의 색으로 칠해야 한다.”
-마르크 샤갈
마르크 샤갈과 그의 아내 벨라
생선가게에서 일하며 아홉 남매를 힘들게 먹여 살리던 아버지. 어느 날 아들은 아버지에게 말합니다. “화가가 되고 싶어요. 미술학교에 보내주세요”. 그리고 며칠 뒤 아버지는 미술학교 수업료 5루블을 그에게 건내줍니다. 마르크 샤갈(Marc Chagall, 1887~1985), 훗날 그는 20세기를 대표하는 미술 거장 중 한명이 됩니다.
러시아 마을- 1929
러시아 출신이지만 프랑스에서 활동한 샤갈. 그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만든 거장으로, 그의 그림 안에는 꿈과 사랑, 낭만, 환희와 슬픔 등 다양한 주제들이 몽환적인 색채들로 펼쳐집니다. 그리고 그는 그림뿐만 아니라 회화, 조각, 모자이크, 테피스트리, 문학 저술 등 종합예술가로서 활약했죠.
생일, 1915(결혼 몇 주 전에 완성한 그림)
1910년, 그의 인생의 가장 중요한 일이 발생하는데 바로 운명의 여인인 벨라(Bella)를 만나게 된 것입니다. “그녀를 처음 봤을 때 그녀의 눈은 나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모두 들여다보는 것 같았다. 그녀는 내 영혼이다”. 둘은 1915년 벨라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결혼을 하게 되고 이듬해에 외동딸 이다(Ida)가 태어납니다. 파리에 살던 시절인 1920년대 후반부터 세계적인 명성을 떨치기 시작한 샤갈은 이때를 ‘내 인생 가장 행복했던 시절’이라고 회고합니다.
붉은 꽃다발과 연인들, 1975(왼쪽 아래 연인은 샤갈 본인과 벨라)
그러나 1944년, 아내 벨라가 갑작스러운 병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암흑이 내 눈앞으로 모여들었다.” 몇 달 동안 작품 활동을 중단했다가 다시 시작한 그는 아내를 회고하는 작품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죽기 전까지 어린 시절에 대한 추억과 부모님, 벨라에 대한 사랑, 평화를 주제로 많은 그림과 작품들을 남기며 ‘사랑의 화가’로 불리게 됩니다.
“내게 그림은 창문처럼 보였고 그 창을 통해 나는 다른 세계로 날아올랐다.” - 마르크 샤갈
마르크 샤갈과 그의 딸이다
샤갈은 98세의 나이로 타계했는데 보기 드문 장수 화가 중 한명입니다. 그래서 그의 그림에는 자신이 살아온 시기에 유행했던 다양한 미술 사조가 녹아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인상주의, 입체주의, 초현실주의, 표현주의, 야수파 등.. 그렇기에 어느 특정 사조로 정의할 수 없을만큼 독특한 그만의 예술 세계를 창조할 수 있었죠.
인상주의 화가들은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던 관습을 거부하고 오로지 자신의 감각과 감정에만 집중했습니다. 그래서 세밀한 윤곽이나 점선의 경계가 없고 빠른 붓질과 색의 번짐 등이 특징이었죠.
연인들, 1928
인상주의를 신호탄으로 추상과 초현실주의의 시대가 열립니다. 추상화의 선구자인 칸딘스키는 “그림에서 더 이상 대상은 존재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죠. 그리고 더 나아가 실세계에서 사물들이 놓여있는 물리 규칙과 관찰자에게 보이는 시각 규칙마저 지키지 않기 시작합니다. 그렇게 ‘하늘을 나는 사랑꾼 화가 샤갈’이라는 칭호가 탄생합니다.
Over the Town, 1918
그의 작품 <나와 마을>에는 양과 사람이 마주보고 있고, 아래에는 꽃나무를 들은 손이 그려져 있습니다. 오른쪽에는 마을과 농부가 있구요. 이렇게 현실에서 양 머리 안에 다른 물체가 있는 것은 불가능하죠. 물리의 법칙을 위배합니다. 거꾸로 그려진 집과 여성도 마찬가지이구요. 중력의 법칙을 위배하죠. 이처럼, 샤갈의 작품은 현실 세계의 습관이나 시선으로 본다면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런 규칙들을 적용하려는 엄격한 자세를 버려야만 그림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죠.
나와 마을, 1911
또한 추상주의, 표현주의 작가들의 그림들은 상징을 많이 활용하는데 샤갈의 작품을 관전하며 그 안에 담긴 상징성 몇가지를 알려드려요:
1. 빨강, 파랑, 하양색이 자주 등장하는 것은 프랑스를 제 2의 고향으로 여겼던 샤갈이기에 프랑스 삼색기를 상징하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2. 작품 속에 종종 ‘물고기’가 등장하는데 이는 생선가게에서 일했던 자신의 아버지를 상징합니다.
3. 작품 속에 천사도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외동딸 이다를 상징한다고 합니다.
'문화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론 뮤익》 전시를 100명씩 관람할 수 있는 4번의 기회 (0) | 2025.04.17 |
---|---|
9월은 얼마나 아름다운 계절인가? (3) | 2024.09.03 |
에드바르 뭉크: 비욘드 더 스크림 (4) | 2024.09.01 |
피터, 폴 앤 메리의 Five hundred miles 가사 (0) | 2023.08.23 |
고든 헌트의 그림 (0) | 2023.07.13 |
푸르고 푸른 6월 같은 영화 남색대문 (2) | 2023.06.19 |
Eminem - Mockingbird 가사와 번역 (3) | 2023.05.10 |
2022년 여름 최고의 영화 (1) | 2022.07.29 |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