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예나 지금이나, 앞으로도 생명의 유일한 목적은 생존, 살아남는 것이다. 조금이라도 더 살려고 발버둥 치는 일이 전부다. 그 외 다른 것들은 살아남은 다음의 이야기다. 황홀한 것들은 언제나 살아남은 다음에 오는 것들이다.
시각, 후각이나 느낌, 예감이 가장 먼저 위험을 알아차린다. 촉각으로 넘어가면 이미 살고 죽는 문제가 시급한 때다.
겉모습으로 판단해야 위험에 빠지지 않는다. 가장 먼저 보고 판단하는 일이 우선이다.
겉모습만 보고 판단해야 훨씬 삶을 평온하게 만든다. 항상 겉모습만 보고 판단한다, 살아남은 다음에 나머지 것들을 보아도 충분하다.
"영장류의 시각 시스템이 단순히 사물을 ‘이름표’로 분류하기 위해서 있는 것일까? 시각 정보 처리는 결국 우리 뇌가 더 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부이다. 포식자를 탐지하면 도망가야 하고, 사회적 시선을 감지하면 표정이나 제스쳐를 준비해야 한다. 즉, 시각 정보는 단순한 인식을 넘어, 빠르고 적절한 행동을 준비하도록 돕는다. 보고 싶던 친구라면 다가가 인사를 건네고, 피하고 싶은 상대라면 고개를 돌린다. 실제로 물체 인식과 물체의 위치를 처리하는 시각 경로는 거기서 그치지 않고 전전두피질, 두정엽, 운동 피질 등 판단이나 행동과 관련된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 능동적인 뇌
반응형
'Fun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파민: 당신의 삶을 지배하는 최후의 호르몬 (0) | 2025.08.19 |
---|---|
야생에서 가족은 혈연으로 맺어지는 것이 아니라 생존과 충성심으로 맺어진다 (5) | 2025.08.17 |
카르미나 부라나 24편의 시 (4) | 2025.08.17 |
존윅 발레리나 문신이 의미하는 것 (3) | 2025.08.16 |
인기를 얻고 싶으세요? 다른 사람을 좋아하세요. (2) | 2025.08.14 |
AFI 선정 100대 명대사 (13) | 2025.08.06 |
일심동체(一心同體), 부창부수(夫唱婦隨), 남부여대(男負女戴)는 모두 부부 관계를 나타내는 사자성어 (3) | 2025.08.06 |
아이디어는 행동함으로 명확해진다 (2) | 2025.08.01 |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