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24 Assets: Create a Digital, Scalable, Valuable and Fun Business That Will Thrive in a Fast Changing World》 (Daniel Priestley 저)에 대한 핵심 교훈과 '24가지 핵심 자산'에 대한 상세한 설명입니다.
24 자산: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성공할 수 있는 디지털, 확장성, 가치, 재미를 갖춘 비즈니스를 만드세요.
책이 주는 핵심 교훈
- 비즈니스는 단순한 수익 창출 도구가 아니라, 디지털, 확장 가능하며 가치 있고 즐거운 자산(asset)이 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지속해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Barnes & NobleSoBrief.
- 단기적인 판매에만 집중하지 않고, **자산 중심 사고(balance sheet thinking)**로 전환함으로써 장기적인 비즈니스 가치와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ScribdSoBrief.
- 수입은 “자산이 따라온다(Income follows assets)”는 원리를 기반으로, 디지털 자산 구축을 통해 수익 구조가 안정되고 확장된다고 이야기합니다 ScribdSimone Smerilli.
‘24가지 자산’ – 7가지 카테고리별 분류
Daniel Priestley는 기업이 미래 지향적이고 매력적인 사업이 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24가지 핵심 자산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습니다 SplentoSoBrief:
1. 지적재산(Intellectual Property Assets) | Content, Methodology, Registered IP 콘텐츠, 방법론, IP 지적재산 등록 |
2. 브랜드(Brand Assets) | Philosophy, Identity, Ambassadors 철학, 정체성, 홍보대사 |
3. 시장(Market Assets) | Positioning, Channels, Data 포지셔닝, 채널, 데이터 |
4. 제품(Product Assets) | Gifts, Product for Prospects, Core Product, Products for Clients 선물, 잠재 고객용 제품, 핵심 제품, 고객용 제품 |
5. 시스템(Systems Assets) | Marketing & Sales, Management & Admin, Operations 마케팅 및 영업, 경영 및 관리, 운영 |
6. 조직문화(Culture Assets) | Key People of Influence, Marketing & Sales (팀), Technicians 주요 영향력 있는 인물, 마케팅 및 영업(팀), 기술자 |
7. 자금조달(Funding Assets) | Business Plan, Valuation, Structure, Risk Mitigation 사업 계획, 가치 평가, 구조, 위험 완화 |
이들 자산은 각각 독립적으로 가치 있고, 함께 작동할 때 기업의 경쟁력을 더 크게 강화합니다. 특히 “기업이 성장하려면 여러 자산이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생태계(ecosystem of assets)”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shortform.comBookey.
적용 전략: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 우선 2~3가지 핵심 자산에 집중하여 ‘세계 수준의 수준(world-class)’으로 키우는 것을 목표로 삼습니다 Simone Smerilli.
- 자산은 한 번 만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와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개선, 업그레이드해야 실질적인 가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BookeySoBrief.
- Lifestyle 비즈니스와 Performance 비즈니스를 구분하여 전략을 수립합니다. 두 유형은 투자 우선순위와 자산 활용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Bookeycharellegriffith.com.
이 프레임워크는 프로젝트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메이커 활동, 디지털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해보기에 매우 강력합니다.
특정 자산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실제 적용 방법이나 예시를 더 깊이 살펴보고 싶다면 알려주세요.
Q1: 어떤 자산 카테고리가 지금 당신의 사업이나 활동에 가장 즉각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Q2: 지금부터 90일 내에 집중해서 강화할 수 있는 2~3가지 자산은 무엇인가요?
Q3: lifestyle 비즈니스와 performance 비즈니스 중, 현재의 방향성과 어울리는 모델은 어떤 것인가요?
위 프레임워크를 프로젝트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메이커 활동, 디지털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단계적인 로드맵을 제안해주세요. 상세한 이정표를 제시하세요.
숨 고르고, 단계별로 차근차근 풀어갈게요 —
아래 로드맵은 Daniel Priestley의 ‘24 Assets’ 프레임워크(7개 카테고리, 총 24개 자산)를 프로젝트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메이커 활동,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적용하도록 구체화한 것입니다. 핵심 원칙(자산 중심 사고, 먼저 2~3개 핵심 자산을 세계 수준으로 만들기 등)은 책에서 제시된 방향을 따릅니다. (Bookey, Splento)
한눈 요약 (핵심 아이디어)
- 목표: 사업을 ‘일회성 수익 원천’이 아닌, 지속적이고 확장 가능한 자산 포트폴리오로 전환. (Income follows assets) (SoBrief, 아마존)
- 전략: 1) 현재 자산 진단 → 2) 90일 내 2~3개 핵심 자산을 집중적으로 ‘세계 수준’으로 개선 → 3) 추가 자산 확장 및 시스템화 → 4) 투자/스케일(또는 지속적 라이프스타일 운영)으로 전환. (Simone Smerilli, Shortform)
전체 로드맵(단계별, 구체 이정표 — 날짜 포함)
기준일: 2025-08-11 시작(현재 시점 2025-08-10 기준). 각 구간은 권장 범위이며 필요 시 병렬로 진행 가능.
Phase 0 — 준비 & 진단 (2025-08-11 ~ 2025-08-31) — 3주
목적: 현재 자산의 'Heat-map' 작성, 우선순위 결정.
주요 작업 / 산출물
- 24자산 현황 진단표 작성(각 자산 1~5점) — 산출: 24-Assets Heat Map. (예: 콘텐츠 라이브러리, 커리큘럼 방법론, 회원 DB 등 점수화)
- 핵심 질문: 지금 당장 매출과 확장에 가장 영향 높은 2~3자산은 무엇인가? (예: Methodology, Content, Channels)
- 최소 1시간짜리 팀 워크숍 실행(내부 + 핵심 외부 멘토 1명).
성과지표(KPI) - Heat-map 완료, 우선순위 3개 자산 확정.
이유/설명: 시작 전에 전체 상태를 숫자화하면 자원 배분(시간·인력·예산)이 명확해집니다. (Bookey)
Phase 1 — 핵심자산 집중: MVP → 세계수준(집중형 90일)
기간: 2025-09-01 ~ 2025-11-29 (90일)
목표: 우선순위로 정한 2~3개 자산을 ‘검증 가능한 산출물’로 만들기. 교육/메이커/콘텐츠 각각에 적용된 예시는 아래.
핵심 활동 (예: 선택된 자산 = Methodology(교육방법), Content(콘텐츠 라이브러리), Channels(유통))
- Methodology (교육의 핵심 방법론)
- 작업: 시연 가능한 ‘시그니처 프로젝트 커리큘럼’ 1개 제작(예: 8주 프로젝트 — IoT 환경에서 센서 → 데이터 시각화 → 간단한 PCB 설계 포함).
- 산출: 강의 슬라이드 8개, 실습 가이드, 평가 루브릭, 샘플 결과물(학생 포트폴리오).
- KPI: 베타 수강생 10명, 만족도 ≥ 4.2/5.
- Content (콘텐츠 자산)
- 작업: Evergreen 동영상 12개(각 8~12분), 4개의 블로그 튜토리얼, 1종 무료 ‘Gift’ (예: 초급 키트 조립 가이드 PDF).
- 산출: 콘텐츠 라이브러리(정리된 CMS), 각 콘텐츠의 재사용 템플릿.
- KPI: 이메일 구독자 +500명 / 동영상 평균 시청시간 ≥ 4분.
- Channels (시장 채널)
- 작업: 2가지 핵심 채널에 집중(예: YouTube + 유료 코스 플랫폼(Thinkific/Teachable) 또는 기업 제휴 채널).
- 산출: 기본 마케팅 퍼널(랜딩페이지 → 무료 Gift → 웨비나 → P4P(Paid intro course)).
- KPI: 유입 전환율(랜딩→구독) ≥ 7%, 웨비나 참가자 중 구매 전환 8~12%.
도구/역할(권장)
- 콘텐츠 제작: OBS/캡쳐, 간단한 편집(Adobe Rush 또는 CapCut), Notion(콘텐츠 관리).
- 교육 플랫폼: Thinkific/Teachable + Stripe 결제.
- 담당: PM 1, 콘텐츠제작자 1, 교육디자이너 1, 마케팅파트타이머 1.
중요 이정표(90일 내)
- D+30: 시그니처 커리큘럼의 1주차 & 3개 동영상 업로드 완료.
- D+60: 베타코스 런칭, 첫 10명 수강 완료, 피드백 루프 정리.
- D+90: 코스 개선판 공개, 유료 고객 30명(목표 예시), 구독자 1,000명(누적).
설명(이유): Priestley는 초기에 2~3개 자산을 세계 수준으로 키우라고 권합니다 — 집중이 가장 큰 레버리지. (Simone Smerilli, Shortform)
Phase 2 — 시스템화 & 확장 (2025-12-01 ~ 2026-05-31) — 6개월
목표: 반복 가능한 시스템 구축,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 데이터 축적.
주요 활동
- 제품화: Core Product(유료 장기 코스), Products for Prospects(P4P — 유료 입문), Products for Clients(기업용 워크숍 패키지) 정식화.
- 시스템 자산: 마케팅 자동화(이메일 시퀀스), 고객 관리(CRM), 온라인 결제/배송(키트 판매 채널) 구성.
- 데이터 자산: 고객 여정 데이터 수집, 학습 성과 데이터 축적(완주율, 성과 지표).
- 브랜드 자산 강화: 철학(교육철학 문서화), 시각 아이덴티티(브랜드 가이드라인), 초기 홍보 대사(열성 수강생 3명 → ‘Ambassadors’).
성과지표
- MRR(월반복수익) 달성 목표(예시): 5,000~10,000 USD (지역/시장 고려).
- 코스 완주율 ≥ 60%, 고객 재구매율 ≥ 20%.
산출물(구체)
- LMS에 최종 코스 업로드, 기업용 제안서 템플릿 3종, Fulfillment SOP(키트 포장/배송) 문서화.
Phase 3 — 가치 고도화 & 외부 연결 (2026-06-01 ~ 2026-11-30) — 6개월
목표: 브랜드 신뢰·시장지위(포지셔닝) 강화, 파트너십·유통망 확대, 자산의 투자 매력 증대.
활동
- 파트너십: 대학/교육센터/기업과 파일럿 3건 실행(워크숍·교재 공급).
- IP 보호: 핵심 Methodology·상표 등록 검토 및 출원(국내/필요시 해외). (Registered IP)
- 데이터 고도화: 학습 성과 데이터를 제품 개선에 연결(데이터 기반 커리큘럼 최적화).
- 문화 자산: 핵심 인력(강사·엔지니어) 정규화, 채용/온보딩 매뉴얼 확립.
성과지표
- 파트너 파일럿 3건 계약 완료.
- 상표 출원 또는 저작권 등록(증빙 문서).
- 연간 수익 대비 마진 개선(운영효율 상승).
Phase 4 — 스케일/투자/수익화 최적화 (2026-12-01 ~ 2027-08-10) — 9개월
목표: 사업모델 다양화(구독, 라이선스, B2B) 및 Funding Assets 정비(비즈니스플랜·Valuation·구조).
주요 행동
- 자금/구조: 투자(시드) 또는 채무(대안금융) 옵션 정리, 사업구조(지주/부문 분리) 설계.
- 라이선스/프랜차이즈 모델 테스트: 교육 방법론을 외부에 라이선스.
- 제품 라인업: 키트-코스-커뮤니티 결합형 구독 모델 출시.
성과지표
- 연간 ARR 목표(예시) 및 투자유치(필요시) 타겟 수치 제시.
- 라이선스 파트너 1~3곳 확보 또는 B2B 계약 체결.
실무 체크리스트 — 각 자산별(간단 요약)
(아래는 프로젝트 기반 교육 / 메이커 활동 / 디지털 콘텐츠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실무 항목)
- Intellectual Property
- 문서화: 커리큘럼, 교수법(방법론) 문서화.
- 콘텐츠 라이브러리(폴더/버전관리).
- 법적 보호: 상표·저작권 신청 검토. (Bookey)
- Brand
- 브랜드 철학 1페이지 요약, Tone of Voice 정의.
- 비주얼 가이드(로고·컬러·타입) 제작.
- Market
- 이상적 고객(페르소나) 3개 정의.
- 핵심 채널 2개 집중(콘텐츠-유료 전환 퍼널 설계).
- Product
- 무료 Gift(리드마그넷) 설계 → 유료 진입로 제작.
- 기업용 패키지 템플릿 작성.
- Systems
- 마케팅 자동화(랜딩→이메일→결제) 구축.
- 운영 SOP, 채용·교육 매뉴얼 정비.
- Culture
- 핵심 인력 역할 정의, 온보딩 체크리스트.
- 커뮤니티(슬랙/디스코드) 규칙·가이드라인 설정.
- Funding
- 12개월 P&L 시나리오 3개(보수/중간/확장).
- 리스크 매트릭스(주요 리스크 + 대응책) 문서화. (Splento)
두 가지 관점(전략적 선택)
- 린(Lean) — 부트스트랩 / 빠른 검증
- 장점: 리스크 낮음, 빠른 피드백.
- 방식: 무료/저가 제품으로 커뮤니티 확보 → 유료 전환 → 점진적 확장.
- KPI 초점: CAC, LTV, 완주율.
- 성장(Investor-focused) — 공격적 스케일
- 장점: 빠른 시장 점유, 팀 확장.
- 방식: 핵심자산(콘텐츠·방법론)에 투자 → 파트너/영업팀 확대 → B2B 계약 다수 확보.
- KPI 초점: ARR, 파트너 수, 성장률.
(혼합 모델 가능: 핵심 자산은 내부에서 ‘세계 수준’으로 만든 뒤, 투자로 빠르게 해외/기업 시장 진출)
권장 도구 & 예산(초기)
- 콘텐츠/교육: Notion, Loom, OBS, Thinkific/Teachable.
- CRM/마케팅: ConvertKit/Mailchimp, Zapier, Google Analytics.
- 판매/배송(키트): Shopify + 로컬 물류 파트너.
- 예산(예시 초기 6개월): 인건비(파트타임 포함) + 콘텐츠 제작(장비) + 마케팅 광고 = 지역 규모에 따라 5,000~30,000 USD 범위.
빠른 시작을 위한 30일 액션 플랜(요약)
- Heat-map 완성(3일) — 우선 3자산 선택.
- 시그니처 프로젝트 설계(10일) — 1회차 수업 계획·자료.
- 핵심 콘텐츠 6개 제작(15일) — 강의 3개, 튜토리얼 3개.
- 간이 랜딩페이지 + 무료 Gift 오퍼(20일) — 첫 유입 테스트.
- 베타 모집(30일) — 10~20명, 피드백 루프 시작.
레퍼런스(핵심 출처)
- 전체 24자산 리스트·원칙 요약(책 요약/PDF). (Bookey, Splento)
- ‘2~3개 자산 우선 집중’ 권고와 템플릿 응용 사례. (Simone Smerilli, Shortform)
- “Income follows assets” 개념 및 책 개요. (SoBrief, 아마존)
원하시면 다음 단계로 (A) 현재 사업에 대한 Heat-map 템플릿(표 형태, 바로 채워서 쓰는 파일) 을 만들어 드리거나, (B) 90일 스프린트용 상세 주간 체크리스트(요일별 할 일+책임자)로 바로 내려드릴게요. 어느 걸 먼저 만들까요?
Q1
제가 지금 당장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면, 어떤 2~3개의 자산에 집중해야 하나요?
Q2
90일 스프린트를 실행할 때, 팀 구성은 어떻게 짜는 게 효율적일까요? (역할·시간·외주 비율 포함)
Q3
린(빠른 검증)과 투자(확장) 전략 중 지금 당장 추천하는 단계는 무엇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개발자의 서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eloping IoT Projects with ESP32, 2판의 코드 저장소 (1) | 2025.09.07 |
---|---|
재난은 기꺼이 받아들이고 행운은 신중히 받아들여라. (1) | 2025.08.27 |
러닝&마라톤 무작정 따라하기 (15) | 2025.08.05 |
권력의 법칙 48 - 핵심 요약본을 다운로드하세요 (2) | 2025.08.02 |
조지 엘리엇: 펜을 초월한 지성 (6) | 2025.07.31 |
버트런드 러셀, 게으름을 찬양하며 (6) | 2025.07.28 |
AI 활용의 시작! '당장 써먹는 AI 프롬프트 사전'으로 생산성 높이기 (5) | 2025.07.27 |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2) | 2025.07.24 |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