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메디컬

디자인과 의료의 융합, 의료서비스디자인참고서,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지구빵집 2014. 2. 21. 22:08
반응형



"디자인과 의료의 융합, 의료서비스디자인참고서"

 그 동안 의료서비스 분야의 혁신을 이야기 할때는 첨단 의료기기와 시스템 구축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기술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변화되는 의료서비스 환경이 중심이 되어 회자되어 왔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일반 국민들이 의료서비스에 기대하는 수준이 일반 서비스업에 기대하는 수준만큼의 높아지면서 수요자의 서비스 만족도가 제고될 것이 요구되어 지는 상황으로 변화하고 있다.



 ‘2012년 국가고객만족도의 조사결과 고객만족도와 고객유지율 모두가 높은 수준으로 조사된 산업은 병원서비스였다. 그 동안 오랜 대기시간과 수납시스템의 불편함, 의료서비스 품질에 대한 불신 등으로 병원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불만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점차 의료계의 경쟁이 치열해 짐에 따라 환자 중심 경영을 중시하는 풍조가 조성돼 고객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서비스를 개발했다. 아울러 치료기술을 차별화하는 등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 하려는 노력을 기울인 결과 고객기대수준과 고객인지품질이 상승했다.’
(내일신문 2013년 1월9일 내용 중 발췌)

위의 보도 내용처럼 수요자의 이러한 변화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노력은 의료계 자체에서도 병원내 QI(Quality Improvement)팀의 운영 등으로 꾸준하게 해왔다. 하지만 정량적으로 파악되는 유형화된 서비스 품질의 개선이 위주가 되다보니 의료서비스 전후방에서 이루어지는 무형성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 경우는 많지 않았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차세대 성장 동력인 “의료서비스” 분야에 의료서비스 혁신을 위한 시범사례를 개발하기 위해서 한국디자인진흥원 주관으로 2011.9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약 15개월에 걸쳐 ‘의료기기/환경의 수요자 중심 혁신을 위한 융합형 의료 서비스 디자인 플랫폼 개발’ R&D 연구를 진행했다. 그리고 2013년 1월에 연구결과를 담은 책을 한권 펴냈다.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t)는 디자인이 의료서비스에 접목이 되면서 어떻게 의료서비스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에 관한 시범사례를 통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의료정보전달체계를 개선한 사례인 ‘국민건강보험 건강검진 결과서 리디자인’, 제품과 서비스 개선사례인 ‘정형외과 외래진료실 서비스디자인‘ 등이 있으며, 해외 사례로는 영국 디자인카운슬 주관으로 2009년도에 진행된 ’세균퇴치디자인’ (Deisgn Bugs Out) 프로젝트 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외에도 시각, 제품, 환경, 서비스 등 디자인을 통한 의료서비스 혁신에 기여한 사례들도 부록으로 담고 있다.

첨부문서  링크: 디자인과 의료의 융합, 의료서비스디자인참고서,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http://www.designdb.com/dtrend/trend.r.asp?menupkid=238&pkid=14683


[이 보고서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시행한 디자인기술개발사업의 기술개발 보고서입니다.
이 내용을 대외적으로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시행한
디자인기술개발사업의 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