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Anarchist

페이스북의 양단간 보안 정책 강화를 요구하는 공개 서신 발송

반응형

 

111개 정보인권단체, 페이스북의 양단간 보안 정책 강화를 요구하는 공개 서신 발송

 

지난 2019년 10월 4일, 미국, 영국, 호주 정부는 페이스북에 보낸 공개 서신을 통해, 페이스북의 보안 강화 정책을 유보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아동 성착취를 포함한 범죄 단속을 저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그러나 전 세계 111개 정보인권단체들은 강력한 보안이야말로 자유로운 소통, 공공 안전, 민주적 가치에 필수적임을 강조하며 페이스북에 정부의 요구에 굴복하지 말고 보안 강화에 계속 노력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진보네트워크센터도 공동 서신에 함께 하였습니다.

 

Zuckerberg plans to make Facebook private with auto-expire messages https://1stnews.com/zuckerberg-plans-to-make-facebook-private-with-auto-expire-messages/

 

서신 전문

 

2019년 10월 7일, 주커버그 귀하,

 

페이스북의 양단간 보안 계획(END-TO-END SECURITY PLANS)에 대한 공개 서신

 

오늘 아래 서명한 단체들은 페이스북의 메시징 서비스 전반에 양단간 보안의 증진을 계속 추진할 것을 분명하게 촉구합니다.

 

미국, 영국, 호주 정부는 “[페이스북이] 보안 강화가 공공 안전을 축소하는 것이 아님을 보장할 수 있을 때까지” 이 계획을 중단할 것을 요청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들이 완전히 퇴행했다고 생각합니다. 플랫폼이 강력한 양단간 보안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데이터가 유출되거나 잘못 다뤄지거나 혹은 강력한 권력 혹은 범죄자에게 취득되어 악용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메시징 서비스의 놀라운 범위를 고려할 때, 양단간 보안을 기본적으로 보장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자유로운 소통, 공공 안전, 민주적 가치에 필수적입니다. 우리는 페이스북의 전 제품 및 서비스에 걸쳐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당신의 계획을 계속 진행할 것을 촉구합니다. 우리는 소위 “백도어” 혹은 이용자 메시지 내용에의 “예외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해달라는 (정부들의) 요구에 맞설 것을 요구합니다. 그것은 암호화 및 모든 이용자의 프라이버시와 보안을 근본적으로 약화시킬 것입니다.

 

Sincerely,

1. 7amleh-The Arab Center for Social Media Advancement

2. Access Now

3. ACM US Technology Policy Committee

4. ACT | The App Association

5. AfroLeadership

6. Alternatives

7.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8. Americans for Prosperity

9. APADOR-CH

10. ARTICLE 19

11. Asociación Argentina de Usuarios de Internet – Internauta Argentina

12. Asociación Colombiana de Usuarios de Internet

13. Asociación por los Derechos Civiles (ADC), Argentina

14. 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 (APC)

15. Association for Technology and Internet – ApTI Romania

16. Bangladesh NGOs Network for Radio and Communication (BNNRC)

17. Bolo Bhi

18. Bits of Freedom

19. Canadian Internet Registration Authority

20. Cedis/IDP – Centre for Law and Internet Studies

21. Centro de Ensino e Pesquisa em Inovação (CEPI), FGV Direito SP, Brasil

22. Center for Computer Security and Society, University of Michigan

23. Center for Democracy & Technology

24. Center for Studies on Freedom of Expression (CELE), Universidad de Palermo

25. Centre for Information Technology and Development (CITAD)

26. CETyS at Universidad de San Andrés, Argentina

27. Coalizão Direitos na Rede

28. Code for Romania

29. Collaboration on International ICT Policy for East and Southern Africa (CIPESA)

30. Colnodo

31. Credo Global

32. Defending Rights & Dissent

33. Demand Progress Education Fund

34. Derechos Digitales, América Latina

35. Digital Empowerment Foundation

36. Digital Rights Watch

37. Državljan D

38. Electronic Frontier Finland

39.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40. Electronic Frontiers Australia

41. Electronic Privacy Information Center

42. EMPOWER Malaysia

43. Engine

44. epicenter.works – for digital rights

45. Fanstaum Foundation

46. Fight for the Future

47. Foundation for Media Alternatives (Philippines)

48. Free Press

49. Freedom of the Press Foundation

50. Fundación Datos Protegidos (Chile)

51. Fundación Karisma, Colombia

52. Future of Privacy Forum

53. Gambia YMCA Computer Training Centre and Digital Studio

54. Global Forum for Media Development

55. Global Partners Digital

56. GreenNet

57. guifi.net

58. Hermes Center for Transparency and Digital Human Rights

59. Hiperderecho, Peru

60. Hub Women on Technology

61. Human Rights Watch

62. Index on Censorship

63. Instituto Beta para internet e Democracia

64. Instituto de Referência em Internet e Sociedade (IRIS), Brazil

65. Instituto de Tecnologia e Sociedade do Rio de Janeiro (ITS)

66. International Media Support (IMS)

67. Internet Australia

68. Internet Freedom Foundation

69. Internet Society

70. Internet Society – Bulgaria

71. Internet Society UK England Chapter

72. Internews

73. InternetNZ

74. ISUR, Universidad del Rosario, Colombia

75. IT-Political Association of Denmark

76. Korean Progressive Network Jinbonet

77. Iuridicum Remedium, z.s.

78. Latin-American Privacy Association

79. LGBT Technology Partnership

80. Media Matters for Democracy, Pakistan

81. National Coalition Against Censorship

82. New America’s Open Technology Institute

83. Open Briefing

84. Open Rights Group

85. OpenMedia

86. Open Net Africa

87. Open MIC (Open Media & Information Companies Initiative)

88. Paradigm Initiative

89. Pasifika Nexus

90. PEN America

91. Prostasia Foundation

92. Privacy International

93. R3D: Red en Defensa de los Derechos Digitales

94. Ranking Digital Rights

95. Reporters Without Borders (RSF)

96. Restore The Fourth, Inc.

97. Samuelson-Glushko Canadian Internet Policy & Public Interest Clinic (CIPPIC)

98. SHARE Foundation

99. Simply Secure

100. South Pacific Computer Society

101. SMEX

102. S.T.O.P. – The Surveillance Technology Oversight Project

103. TechFreedom

104. The Fourth Estate 105. Tor Project

106. Unwanted Witness Uganda

107. Voices for Interactive Choice and Empowerment (VOICE)

108. Vrijschrift

109. WITNESS

110. Women Of Uganda Network (WOUGNET)

111. Zenzeleni Networks NPC

 

원문출처: 정보인권-진보네트워크 센터

 

 

 

반응형

캐어랩 고객 지원

취업, 창업의 막막함, 외주 관리, 제품 부재!

당신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 실패만 반복하는 외주 계약, 아이디어는 있지만 구현할 기술이 없는 막막함.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명확한 학습, 실전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의 부재'에서 시작됩니다.

이제 고민을 멈추고, 캐어랩을 만나세요!

코딩(펌웨어), 전자부품과 디지털 회로설계, PCB 설계 제작, 고객(시장/수출) 발굴과 마케팅 전략으로 당신을 지원합니다.

제품 설계의 고수는 성공이 만든 게 아니라 실패가 만듭니다. 아이디어를 양산 가능한 제품으로!

귀사의 제품을 만드세요. 교육과 개발 실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세요.

지난 30년 여정, 캐어랩이 얻은 모든 것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카카오 채널 추가하기

카톡 채팅방에서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귀사가 성공하기까지의 긴 고난의 시간을 캐어랩과 함께 하세요.

캐어랩 온라인 채널 바로가기

캐어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