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자/Arduino

Nano 33 IoT 보드에서 5V 출력 사용하는 방법

반응형

 

 

 

결론: 보드 뒷면의 두 점을 솔더링으로 할 경우 반드시 USB 전원을 사용해야지만 5V 출력이 나온다. 외부 전원, 그러니까 Vin과 GND를 외부 전원에 연결할 경우 죽어도 5V를 쓸 수 없다. 

 

Nano 33 계열의 보드(Nano 33 IoT, Nano 33 BLE와 BLE Sense)들은 기본적으로 DC 3.3V로 동작한다. 5V 핀은 NANO 33 IoT에서 기본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전 Arduino 보드는 5V I/O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예방 조치로 분리하는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3.3V 대신 5V로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여 실수로 보드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해당 핀의 5V는 다음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 VUSB로 표시된 두 개의 패드에 납땜 브리지를 만듭니다 (아래 이미지).
  • USB 포트를 통해 NANO 33 BLE Sense에 전원을 공급합니다.
  • VIN 핀을 사용하여 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면 조정된 5V를 얻지 못하므로 솔더 브리지를 수행하더라도 5V 핀에서 아무것도 나오지 않습니다.  

 

VUSB로 표시된 두 개의 패드에 납땜 브리지

 

외부 전원을 사용하고 5V로 구동하는 릴레이를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 어떻게 5V를 사용하는지 회로 구성을 보여준다. 

 

외부 전원을 사용하고 5V로 구동하는 릴레이를 사용 연결도

 

 

보통 릴레이는 아래와 같은 모습

 

릴렌이 작동 모드

 

또 결론을 말씀드리면 나노 33 IoT에서 3.3V 출력으로 릴레이를 제어하면 동작은 할지 모르지만 보장을 못한다는 말입니다. 결국 레벨 쉬프터를 사용하지 않고 3.3V 릴레이를 사용했고요. 릴레이는 보통 커런트로 동작하기 때문에 3.3V 출력을 트랜지스터를 거쳐 사용하시면 동작 잘할 겁니다.  



반응형

캐어랩 고객 지원

취업, 창업의 막막함, 외주 관리, 제품 부재!

당신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 실패만 반복하는 외주 계약, 아이디어는 있지만 구현할 기술이 없는 막막함.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명확한 학습, 실전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의 부재'에서 시작됩니다.

이제 고민을 멈추고, 캐어랩을 만나세요!

코딩(펌웨어), 전자부품과 디지털 회로설계, PCB 설계 제작, 고객(시장/수출) 발굴과 마케팅 전략으로 당신을 지원합니다.

제품 설계의 고수는 성공이 만든 게 아니라 실패가 만듭니다. 아이디어를 양산 가능한 제품으로!

귀사의 제품을 만드세요. 교육과 개발 실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세요.

지난 30년 여정, 캐어랩이 얻은 모든 것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카카오 채널 추가하기

카톡 채팅방에서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당신의 성공을 위해 캐어랩과 함께 하세요.

캐어랩 온라인 채널 바로가기

캐어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