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이란 무엇인가? 우리말을 우리 문자인 한글로 적는 방식을 규정한 법이다. 우리말을 적는 통일된 방식이 없어 사람마다 적는 방식이 제각각이라면 우리의 문자 생활은 큰 혼란에 빠질 것이다. 따라서 한글 맞춤법은 불필요한 규제가 아니요 효율적인 문자 생활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규범인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맞춤법이 좋은 맞춤법일까? 독자가 읽을 때 이해하기 쉽도록 적어 주는 방식일 것이다. 맞춤법은 필자와 독자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의사 전달을 위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글 맞춤법의 원리는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에 나타나 있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위 조항은 한글 맞춤법의 표기 대상이 표준어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즉 우리 국민의 공통적인 표준어를 맞춤법 규정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맞춤법은 표준어가 정해지면 이를 어떻게 적을지 결정하는 구실을 한다.
한글 맞춤법 100제 - 임동훈 (국립국어연구원) 저 - 한글문서 20페이지
'무한정보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소셜미디어가 지배하는 초연결사회에서의 마케팅 키워드 진정성 (0) | 2014.02.16 |
|---|---|
| 우리나라 속담풀이, 속담사전 프로그램 배포~ 속담 4225개 담고, 검색되고... (0) | 2014.02.05 |
| 사업계획서 작성할 때 꼭 들어가야 할 것 (3) | 2014.01.24 |
| 구글검색으로 할 수 있는 100가지 (0) | 2014.01.22 |
| 직장인의 행복을 높이는 6가지 방법 (1) | 2013.12.18 |
| 우연을 성공으로 만드는 힘 - 세렌디피티(Serendipity) (0) | 2013.11.13 |
| 국제 인권법상의 통신감시 13개 원칙 (0) | 2013.09.23 |
| 복 받는 삶을 만드는 50가지 방법 연구에 도움되길. (0) | 2013.08.28 |
취업, 창업의 막막함, 외주 관리, 제품 부재!
당신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 실패만 반복하는 외주 계약,
아이디어는 있지만 구현할 기술이 없는 막막함.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명확한 학습, 실전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의 부재'에서 시작됩니다.
이제 고민을 멈추고, 캐어랩을 만나세요!
코딩(펌웨어), 전자부품과 디지털 회로설계, PCB 설계 제작, 고객(시장/수출) 발굴과 마케팅 전략으로 당신을 지원합니다.
제품 설계의 고수는 성공이 만든 게 아니라 실패가 만듭니다. 아이디어를 양산 가능한 제품으로!
귀사의 제품을 만드세요. 교육과 개발 실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세요.
캐어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