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개발 참고 사항을 정리한다. 주제는 아래와 같다. 언듯 봐도 어려운 주제다.
현재 약 42개의 스텝 모터를 제어해야 하는 점자 디스플레이를 개발 중이며, A4933 드라이버와 아두이노, 디먹스를 활용한 병렬 제어 방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아두이노의 OPIO 핀 수 부족 문제, 전압 전류 계산 및 전원 설계, 다수 모터 동작 시 발생하는 간섭 및 노이즈, 아두이노의 신호 처리 성능 한계 등 여러 어려움이 있어 이에 대한 멘토링이 필요합니다. 하드웨어 회로 구성과 제어 방식 등 시스템 전반에 걸친 조언 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IR 센서를 활용한 PCCR 기법 기반 시선 추적 방법과 딥러닝 기반 시선 추적 방법의 성능을 비교·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학회에 논문을 투고해보고 싶습니다. 3차 멘토링 논문 작성 경험이 없어 기본적인 논문 작성 프로세스와 함께, 전체적인 흐름이나 주의할 점 등에 대해 조언을 받고 싶습니다. 6.23-6.27 中1일 6.30-7.4 中1일 오프라인 7.7-7.10 中1일 임베디드 HW/SW 직무를 희망하며, 자동차 및 방위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진로를 준비하고 포트폴리오 작성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해당 산업과 직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력서 상의 경쟁 력 있는 경험(예: 논문 작성 경험 등)을 쌓고자 합니다. 또한 현직자의 관점에서 프로젝트의 방향성이나, 학부 시절에 경험해두면 좋을 점들에 대해...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42개의 스텝모터를 개별 제어한다는 것은 꽤 복잡한 시스템 설계를 요구합니다. A4988 드라이버와 아두이노를 활용한 구동 시스템은 가능한 구성이지만, I/O 확장, 전원 관리, 타이밍 제어, 열 방출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아래에 단계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점자 디스플레이 개발에 관한 사전 조사 자료 포스팅
스테퍼 모터와 아두이노 - 완벽한 가이드, 점자 구현 참고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5 - Gemini
일단 Clude를 사용하여 정보 탐색을 시작하기로 한다.
🧠 전체 개요
- 목표: 6-dot 기반 점자셀을 여러 개 묶어, 전기적 구동으로 점자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 구동 메커니즘: 각 점자 핀을 1개 스텝모터로 수직 제어 (42개 점자핀 = 42개 스텝모터)
- 기술 선택: 아두이노 + A4988 드라이버 + 외부 전원 + I/O 확장
⚙️ 1. 하드웨어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아두이노 메가 2560 | 다수의 I/O 핀 제공, 시리얼 통신 가능 |
A4988 드라이버 x 42 | 스텝모터용 드라이버, DIR/STEP 제어 |
NEMA 8 or NEMA 11 스텝모터 x 42 | 소형 스텝모터 (0.5A~1A급) |
외부 파워서플라이 (12V, 최소 10A 이상) | 전체 전원 공급 (드라이버 및 모터용) |
MOSFET or 릴레이 보드 (선택) | 모터 전원 ON/OFF 제어 |
히트싱크 + 쿨링팬 | 발열 관리용 |
I/O 확장 보드 (74HC595 or PCA9685) | 핀 수 부족 문제 해결 |
점자셀 기구부 | 3D프린팅 또는 CNC로 제작된 메카니즘 |
🔌 2. 하드웨어 블럭도
[ PC/라즈베리파이 ]
│
USB/Serial
│
[ 아두이노 메가 2560 ]
│
┌───────┴────────────┐
│ │
▼ ▼
74HC595 x N or PCA9685 x N (I/O 확장)
│ │
▼ ▼
A4988 x 42개 (각각 DIR, STEP)
│
▼
스텝모터 x 42
│
▼
점자핀 수직 제어 메카니즘
🔧 3. 배선 구성 (예시: A4988 x 1)
A4988 핀 연결 대상
VMOT | 12V 전원 (+) |
GND (VMOT 쪽) | 12V 전원 GND |
GND (논리) | 아두이노 GND |
VDD | 아두이노 5V |
STEP | 아두이노 디지털 핀 (또는 확장 핀) |
DIR | 아두이노 디지털 핀 (또는 확장 핀) |
ENABLE | (선택) 전체 드라이버 비활성화용 |
MS1~MS3 | 스텝분해도 설정 (Low: Full Step) |
RESET/SLEEP | 함께 연결하여 항상 ON |
🔍 4. 아두이노 기본 코드 예시 (1개 모터 기준)
const int dirPin = 2;
const int stepPin = 3;
void setup() {
pinMode(dirPin, OUTPUT);
pinMode(stepPin, OUTPUT);
digitalWrite(dirPin, HIGH); // 방향 설정
}
void loop() {
for (int i = 0; i < 200; i++) { // 1바퀴 (200스텝)
digitalWrite(stepPin, HIGH);
delayMicroseconds(800); // 속도 제어
digitalWrite(stepPin, LOW);
delayMicroseconds(800);
}
delay(1000); // 1초 대기
}
🛠 5. 여러 모터 확장 제어 방식
방법 1: 직접 연결 (Mega2560 활용)
- 메가 2560은 약 50개 디지털 핀 제공 → DIR/STEP 각각 2핀 × 42개 = 84핀 → 불가능
방법 2: 시리얼 I/O 확장 칩 (74HC595)
- 한 개에 8비트 출력 제공
- 6개 이상 사용 필요, 시리얼 전송으로 동시제어는 어려움
- 모터 수가 많을 경우 속도 지연 발생
방법 3: PCA9685 서보 드라이버 보드 활용
- 16채널 PWM 지원, I2C로 최대 62개 보드 확장 가능
- STEP 신호로 PWM 사용 가능
- DIR 핀은 다른 I/O 확장으로 제어 가능
- 추천 방식
🔋 6. 전원 설계
- A4988 드라이버당 1A 이상 필요 시,
42개 모터 × 0.8A = 약 34A 전류 필요 - 여유 감안해 12V 40A 파워서플라이 권장
- 각 드라이버에 100uF 이상의 바이패스 콘덴서 추가 권장
🌡 7. 발열 및 안전
- A4988 드라이버에 히트싱크 + 팬 부착 필요
- 쿨링팬은 자동 온도 감지 트리거나 수동 제어
- 전원 라인에는 퓨즈 또는 전류 보호 소자 사용
🧩 8. 소프트웨어 전략
- 비트맵 점자 매핑
ex. 6-dot 점자 셀: 2x3 binary → 모터의 on/off or 위치로 변환 - 다중 타이밍 제어:
millis() 기반 스케줄링 또는 타이머 인터럽트 기반 제어 - 상태 기억 배열: 모터 위치 상태 저장 후 필요 시만 구동
✅ 결론 및 전략 요약
요소 추천
아두이노 | Mega2560 또는 STM32 등으로 확장 |
I/O 확장 | PCA9685 + I2C 방식 |
드라이버 | A4988, 열 고려 필수 |
모터 | 소형 스텝모터, 소비전류 낮은 모델 |
전원 | 12V 30~40A, 보호 회로 포함 |
기계 구조 | 슬라이더형 핀 or 리니어 액추에이터 커스터마이징 |
Q1: 42개의 모터 중 일부만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전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알고리즘 설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Q2: A4988 대신 TMC2209 같은 정밀 스텝 드라이버로 전환하면 어떤 이점과 단점이 있을까요?
Q3: 점자 디스플레이를 더 얇고 저전력으로 만들기 위한 모터 대체 기구 (예: Shape Memory Alloy, Linear Solenoid 등)는 무엇이 있을까요?
Q3 질문:
점자 디스플레이를 얇고 저전력으로 설계하려면, 스텝모터 대신 아래와 같은 대체 구동 메커니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들 기구는 부피와 소비 전력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대량 점자셀 구성에 유리합니다.
🧩 1. 모터 대체형 구동 기술 제안
구동 방식 특징 장점 단점
Shape Memory Alloy (SMA)니티놀 와이어 | 전류로 가열 → 수축 | 초소형, 무소음, 저전력 | 반응속도 느림, 고온 시 성능 저하 |
Linear Solenoid솔레노이드 코일 | 전류로 전자기력 → 직선 이동 | 빠른 반응, 제어 쉬움 | 전류 연속 사용 시 발열, 전력 소비 ↑ |
Piezo Actuator | 고전압 → 미세 진동 or 변위 | 얇은 구조, 빠름 | 고전압 회로 필요, 구동 범위 작음 |
Electroactive Polymer (EAP) | 전기 자극 → 폴리머 확장/수축 | 유연한 구조, 초소형 가능 | 구동력 약함, 소재 취급 까다로움 |
MEMS 기반 마이크로 액추에이터 | 미세기계구조 → 정밀제어 | 매우 얇고 집적도 높음 | 고가, 대량 생산 난이도 ↑ |
현실적인 대체안 Top 2:
- ✅ Linear Solenoid (직선 솔레노이드)
- ✅ SMA (Shape Memory Alloy) 와이어
🧠 2. 추천 구조: SMA 기반 점자셀 설계
개요:
- SMA 와이어를 가열하여 수축 → 점자핀을 들어올림
- 냉각되면 원위치 (스프링 복귀)
동작 순서:
- SMA 와이어에 짧은 시간 고전류 인가
- 와이어 수축 → 점자핀 상승
- 전류 차단 → 냉각 → 스프링으로 복귀
⚙️ 3. SMA 기반 하드웨어 블럭도
[ MCU (예: STM32, ESP32, ATmega) ]
│
GPIO / PWM / I2C
│
┌────────┴────────┐
│ │
▼ ▼
MOSFET Array I/O 확장기 (PCA9555 등)
│
▼
SMA Driver 회로 (12V or 5V)
│
▼
SMA Wire + 점자핀 기계 구조
💡 4. SMA 제어 회로 예시 (1채널 기준)
구성 요소 설명
MCU GPIO | PWM or ON/OFF 신호 출력 |
MOSFET (IRF540 등) | SMA 전류 스위칭 제어 |
SMA 와이어 | 0.1mm~0.3mm 니티놀 |
보호 다이오드 | 역전압 방지용 |
병렬 콘덴서 | 전류 보완 (스파크 방지) |
🔋 5. 전원 설계 (SMA용)
- 동작 전류: 200~500mA/채널
- 42채널: 최대 21A → 실제 동시 구동 6~8채널 제한
- PWM Duty 조절 + 타이밍 스케줄링으로 순차 구동
- DC-DC 스텝다운 모듈 이용하여 12V → SMA 전원 공급
🛠 6. 소프트웨어 전략 (예: STM32 or ESP32)
- PWM 제어로 발열/동작 시간 조절 (100~300ms 정도)
- 점자 데이터 → bit-array로 매핑
- 구동 상태 배열 관리 (ON, COOLING, OFF)
- 병렬 구동을 시간적으로 분산 (millis() 또는 RTOS 타이머 사용)
📦 7. 기계 구조
- 점자핀 + 복귀 스프링 (또는 자체 탄성)
- SMA 와이어 고정: 한쪽은 점자핀, 한쪽은 고정
- 3D 프린트된 셀 구조, 핀 구동거리는 0.6~0.9mm 정도
✅ 결론 요약
항목 내용
설계 전략 | SMA 와이어 + MOSFET 제어 |
전원 구성 | DC 12V / PWM 제어로 발열 제어 |
MCU 추천 | STM32, ESP32, 또는 Arduino Mega + |
I/O 확장 | |
장점 | 얇은 구조, 저전력, 무소음 |
주의사항 | 냉각시간 고려한 시간 분할 제어 필요 |
Q1: SMA 방식의 반복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기계적 설계나 재료 개선 방법은 무엇인가요?
Q2: Linear Solenoid를 이용해 점자 디스플레이를 설계할 때 열과 전력 문제를 해결하는 회로 설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Q3: 다채널 SMA 점자셀을 블루투스 또는 Wi-Fi 기반으로 제어하기 위한 아키텍처는 어떻게 구성할 수 있나요?
'아두이노우노 R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5 - Gemini (2) | 2025.07.09 |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4 (5) | 2025.07.09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3 (4) | 2025.07.09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2 (2) | 2025.07.09 |
스테퍼 모터와 아두이노 - 완벽한 가이드, 점자 구현 참고 (1) | 2025.07.06 |
Arduino Uno R4 Wifi의 LED 매트릭스를 시계열 그래프로 사용하는 데모 (7) | 2025.07.01 |
Arduino UNO R4 Wifi 및 Sensirion SHT40을 사용한 온도 그래프 (0) | 2025.07.01 |
Arduino를 사용하여 ESP32 보드에 FreeRTOS 구현하기 개요 (12) | 2025.06.30 |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