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가정에 PC를 보유한 학생들의 성적이 더 낮은 것으로 조사

지구빵집 2010. 6. 28. 11:05
반응형
KISTI 미리안『글로벌동향브리핑』 2010-06-25

전 세계 정치가들과 교육자들은 소위 디지털 디바이드(디지털 격차)를 해소할 목적으로 가정마다 컴퓨터를 설치하고, 초고속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였는데, 최근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이와 같은 PC와 인터넷 장비를 보유한 학생들의 학교 성적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본 기사에서는 이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듀크대학의 스탠포드 공공정책 스쿨에서 수행한 최근 연구에서는 특히 수학과목과 독서과목을 중심으로 이와 같은 스코어 차이가 발생한다고 말하면서, 결손가정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학생일수록 낮은 점수를 보이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팀의 Jacob Vigdor 교수와 Helen Ladd 교수는 북캐롤리나의 시험성적을 포함하여 컴퓨터를 사용하는 질문들이 어떠한 결과를 보이며 나타나는지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작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대상이 된 학생들이 가정에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컴퓨터를 사용하는지 여부와 TV 시청여부, 취미생활로써의 독서생활 행태 등에 대하여 다각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간 동안 가정용 컴퓨터와 초고속 인터넷 접속 자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2005년을 기준으로 브로드밴드 접속이 북캐롤리나의 모든 지역에서 가능하게 되었음을 언급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전 연구에 비하여 몇 가지 이점들을 가지고 있는데, 먼저 연구샘플 크기가 15만 명의 개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돋보였고, 이와 같은 데이터는 연구진들로 하여금 동일 학생들의 읽기나 수학성적을 학생들이 자신의 집에 개인용 컴퓨터를 보유하기 전과 보유하고 난후를 비교하면서, 15개 등급으로 가정에 컴퓨터를 보유한 동료들의 수와 이러한 점수들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읽기나 수학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은 그다지 많지 않지만 충분히 유의한 수준으로 발견되었다고 연구팀은 말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유사한 연구를 지난 2005년에도 수행한바 있는데, 그 당시만 해도 지금처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세대가 활발하지 않았다고 말하면서, 본 기술은 그 당시 유행한 인터넷 메신저보다도 원시적인 것으로 치부될 만큼 기초적인 것이라 말하면서, 지난 몇 년간의 이와 같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의 비약적인 발전이 가져오고 있는 상황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여 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들이 컴퓨터 기술을 생산성 향상 도구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에 비하여, 어린 학생들은 이와 같은 인식을 잘 공유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진은 말하면서, 중간 단계의 성적을 보이고 있는 어린이들은 대개 컴퓨터를 사용하여 소셜 네트워킹에 참여하거나 게임 등을 즐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러한 활동에는 명백한 성별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언급하고 있다.

연구팀의 Vigdor와 Ladd 교수는 가정용 컴퓨터 사용이 부모들의 컴퓨터 사용에 대한 모니터링이 적절하게 이루어진다면 효과적이다고 말하면서, 결손 가정일수록, 부모들은 자녀들의 컴퓨터 사용에 대하여 무관심한 경우가 많이 발견되고, 교육적 목적으로 자녀들이 컴퓨터를 사용하도록 하는 부분에 있어서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컴퓨터 접속을 확대하는 프로그램이 기존의 학생들의 성적 차이에서 나타나는 갭을 오히려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고 말하면서, 미국 주정부마다 어느 주에서는 학생들에게 랩탑등을 보급하면서, 해당 프로그램을 적극 추진하기도 하지만, 미시간 주 같은 경우에는 이러한 보급 프로그램 자체를 승인하기는 하지만, 이를 위한 자금지원은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Scaling the Digital Divide: Home Computer Technology and Student Achievement;디지털 디바이드 스케일링; 가정용 컴퓨터 기술과 학생 성취도"라는 명칭으로 발간된 연구보고서는 온라인으로 내셔널 경제 연구 관련 저널에 출판되었고, William T. Grant Foundation 재단의 자금지원을 현재 받고 있다.

출처 :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0/06/100618170920.ht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