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 모음

신영복 선생님의 책 정리와 좋은 글들

지구빵집 2018. 9. 26. 10:30
반응형



신영복 선생님의 책 정리와 좋은 글들


1.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신영복 옥중서간

(1988년 초판 햇빛출판사, 1998년 증보판 돌베개)


“없는 사람이 살기는 겨울보다 여름이 낫다고 하지만, 교도소의 우리들은 없이 살기는 더합니다만 차라리 겨울을 택합니다. 왜냐하면 여름 징역의 열 가지 스무 가지 장점을 일시에 무색케 해버리는 결정적인 사실-여름 징역은 자기의 바로 옆사람을 증오하게 한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모로 누워 칼잠을 자야 하는 좁은 잠자리는 옆사람은 단지 37도의 열덩어리로만 느끼게 합니다. 이것은 옆사람의 체온으로 추위를 이겨나가는 겨울철의 원시적 우정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형벌 중의 형벌입니다.”(6쪽)


“사랑이란 생활의 결과로서 경작되는 것이지 결코 갑자기 획득되는 것이 아니다. 한 번도 보지 못한 사람과 결혼하는 것이, 한 번도 보지 않은 부모를 만나는 것과 같이 조금도 이상하지 않은 까닭도 바로 사랑은 생활을 통하여 익어가는 것이기 때문이다.”(22쪽)


“고립되어 있는 사람에게 생활이 있을 수 없다. 생활이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적·정치적·역사적 연관이 완전히 두절된 상태에 있어서의 생활이란 그저 시간의 경과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시간이 물질의 운동양식이라면 나는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바위처럼 풍화당하는 하나의 물체에 불과하다.”(23쪽)


”그러나 생각해보면 ‘창문’보다는 역시 ‘문’이 더 낫습니다. 창문이 고요한 관조의 세계라면 문은 힘찬 실천의 현장으로 열리는 것입니다. 그 앞에 조용히 서서 먼 곳에 착목(着目)하여 스스로의 생각을 여미는 창문이 귀중한 ‘명상의 양지(陽地)’임을 부인할 수는 없지만, 그것은 결연히 문을 열고 온몸이 나아가는 진보 그 자체와는 구별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1981년 세모에.”(194쪽)


“머리 좋은 것이 마음 좋은 것만 못하고, 마음 좋은 것이 손 좋은 것만 못하고, 손 좋은 것이 발 좋은 것만 못한 법입니다. 관찰보다는 애정이, 애정보다는 실천적 연대가, 실천적 연대보다는 입장의 동일함이 더욱 중요합니다. 입장의 동일함 그것은 관계의 최고 형태입니다.”(313쪽)


2. 엽서

(1993년 너른마당 초판 출간, 2003년 돌베개 재출간)


3. 나무야 나무야

(1996년, 돌베개)


“어리석은 자의 우직함이 세상을 조금씩 바꿔갑니다. 현명한 사람은 자기를 세상에 잘 맞추는 사람인 반면에 어리석은 사람은 그야말로 어리석게도 세상을 자기에게 맞추려고 하는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세상은 이런 어리석은 사람들의 우직함으로 인하여 조금식 나은 것으로 변화해간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직한 어리석음, 그것이 곧 지혜와 현명함의 바탕이고 내용입니다.(82쪽)


4. 더불어숲

(1998년 중앙M&B 첫 출간, 2015년 돌베개 개정판)


“우리가 많은 유적들 앞에서 매번 확인한 것은 장구하고 육중한 역사의 무게였습니다.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근본에 있어서는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는 확인은 매우 쓸쓸한 것이었습니다. 과거의 청산은 그만큼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의 생각이 그렇고, 완고한 현실의 구조가 그렇습니다. 떠난다는 것은 지금까지 우리들이 쌓아 온 ‘생각의 성(城)’을 벗어나는 것일 뿐 아니라 그 성을 허무는 일이기 때문입니다.”(12쪽)


“우리는 이겼다’는 외침과 ‘나는 이겼다’는 외침 사이에는 참으로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가 우리들로 하여금 쓸쓸한 감상에 젖게 하는 까닭은 아마 아직도 ‘내’가 ‘우리’를 이겨야 하는 것이 바로 오늘의 현실이고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철학이 되어 있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46쪽)


5. 강의

(2004, 돌베개)


“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옛말에 이르기를 ‘군자는 물을 거울로 삼지 않고 사람을 거울로 삼는다’고 했다. 물을 거울로 삼으면 얼굴을 볼 수 있을 뿐이지만 사람을 거울로 삼으면 길흉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오늘날 공격 전쟁이 이롭다고 하는 사람들은 어찌하여 지백과 부차의 일을 거울로 삼지 않는가? (사람을 거울로 삼으면) 전쟁이야말로 흉물임을 일찌감치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382쪽)


6. 처음처럼-신영복 서화 에세이

(2007, 신영복 지음, 이승혁·장지숙 엮음, 랜덤하우스 코리아)


“서도의 격조는 기교가 아니라 어리숙함에서 나온다. 환동(어린아이로 돌아감)의 경지를 서도의 으뜸으로 친다. 어수룩함은 보는사람으로 하여금 자기도 그렇게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갖게 하고 격려한다. 그러므로 대교약졸(재주가 아주 능한 사람은 꾀도 쓰지 않고 자랑도 하지 않으므로 언뜻 보기에는 못난 것처럼 보인다는 뜻)의 서도는 인간에 대한 예의를 갖춘 최고의 예술이다.”(121쪽)


“붓글씨를 쓸때 한 획의 실수는 다음자로 보완하고 한자의 실수는 그 다음자로 감싼다 마찬가지로 한행의 결함은 그 다음행의 배려로 고쳐나간다 이렇게 얻은 한폭의 서예작품은 실수와 사과와 결함과 보상으로 점철되어있다.” (163쪽)


7. 담론-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2015, 돌베개)



"변화는 결코 개인을 단위로, 완성된 형태로 나타나는 게 아니다. 모든 변화는 잠재적 가능성으로 그 사람속에 담지 되는 것이다. 그러한 가능성은 다만 가능성으로 잠재되어 있다가 당면의 상황 속에서, 영위하는 일 속에서, 그리고 함께 하는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발현되는 것이다."(243쪽)


글 참고 : https://www.huffingtonpost.kr/2016/01/17/story_n_9002026.htm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