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수행

여여(如如) 모든 사물이 있는 그대로, 사실 그대로 변함없이 같다.

지구빵집 2019. 8. 19. 10:10
반응형

여여(如如) 모든 사물이 있는 그대로, 사실 그대로 변함없이 같다.

 

   여여(如如)란 만유 제법의 실상(實相)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우주만유의 본체, 또는 있는 그대로의 진실한 모습을 뜻한다. 불교에서는 제법(諸法)의 실상(實相)을 나타내고 있는, ‘있는 그대로’의 존재양식-여실(如實)-을 진리로 생각하고, 어떤 특수한 원리에 근거한 진리를 배척한다.

 

   여(如)가 불가에 들어 와서 쓰일 때는 ‘같이, 그러한’의 뜻으로만 쓰이지 않고, ‘본연 그대로의 모습’이란 뜻으로도 쓰인다. 그리고 여(如)는 반드시 여실(如實)이며 진여(眞如)를 나타내는 말이다. 그래서 본래 여(如)라는 말은 ‘같다’는 의미의 술어에 불과하지만, 불교의 용례 상으로는 사물의 진수(眞髓)를 가리키는 주어이자 명사로서 쓰이게 된다.

 

     여(如) 하고 여(如) 하다는 뜻으로, 있는 그대로 같고 같다, 있는 그대로 항상 그렇고 그러하다, 있는 그대로 (대)자유롭다는 뜻이다. 여(如)의 뜻이 하나만이 아니므로 여하고 여하다 해서 여여라 하고, 불변이나 변함이 없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삼라만상 모든 사물이 있는 그대로, 드러나 있는 그대로, 변함이 없이 같다는 뜻이고, 자연법이(自然法爾)와 같은 뜻이다. 여여(如如)라는 한자는 원래 산스크리트어 타타타(tatahta)의 의역으로, 본연 그대로의 모습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여여 하다는 말은 사물의 있는 모습 그대로 한결같다, 있는 모습 그대로 변함이 없다, 더 나아가서 있는 모습 그대로가 절대 진리(자연, 법)라는 뜻이다.

 

   그리하여 여여란 일체 모든 법이 있는 그대로 불이(不二)로 동일 평등하므로 같다는 것이다. 무엇이 불이(不二)로 동일 평등함으로 같다는 것인가? 그것은 본성 진여(眞如)로 같다는 여(如)이다. ‘여시(如是)=여여(如如)=여실(如實)=진여(眞如)’라는 말이다.

 

   즉, 여여(如如)라는 말은 우주 삼라만상 모든 사물이 있는 그대로, 사실 그대로 변함없이 같다는 말이다. 모든 사물을 있는 그대로의 상태로 보고 듣고, 보면 보는 성품 자체가 되고, 들으면 듣는 성품 자체가 되는 것이다. 이러할 때 여(如)가 되는 것이다. 여(如)는 오는 것도 아니요, 어디로 가는 것도 아니다. 어떤 상태에서 존재하고 있는 것도 아니고 존재하고 있지 않다는 것도 아니다.

 

   여(如)를 방해하는 아무 것도 없고, 어디나 존재하고 부서지는 일도 없고, 나누어지지 않는 불이(不二)이며, 어떤 때라도 여(如)가 아닌 일이 없고, 항상 여(如)이다. 여(如)는 여(如)에 의해 작용하되 그러면서도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는다. 즉, 모든 법에 저절로 있는 여(如)에 모든 법은 모두 여(如)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이를 일러 여하고 여하다 해서 여여라 하는 것이다.

 

   대개 사람들은 삶의 상황 속에서 각자의 편견, 주관, 경험에서 비롯한 선입견, 자기의 가치관, 기호, 고정관념, 인간적 본능 등이 작용하는 분별의식이라는 안경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인식하며, 그 안경으로 인해 왜곡되고 변조된 것을 받아들인다. 게다가 있지도 않는 관념도 만들어 놓음으로써 그 관념이 대상을 변질시키기도 한다.

 

   예를 들면, 창조주라는 관념을 만들고, 인간은 그 창조주의 피조물이라는 관념을 만든다. 이런 관념을 지닌 사람이 사람을 볼 때는, 사람 그 자체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항상 신에게 복종할 의무가 있는 피조물로서의 사람으로 보고 받아들인다. 이러한 분별의식을 떠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여여라고 한다.

 

   이러한 여여(如如)사상은 가장 인도적(印度的)이면서도 중국,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가 불교사상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여(如)는 본래 부사였으나 나중에 명사로 쓰이게 됐다. 그리고 깨달은 자, 즉 부처님을 다른 표현으로 여래(如來)라 하는 것은 바로 이 ‘진여로부터 내생한 이’로서, 수행을 완성한 사람을 말함이다. 진여로부터 왔기 때문에 진리의 체현자로서 중생을 가르쳐 이끈다는 부처님의 다른 이름인 것이다. ‘여여(如如)’에서 앞 글자 여(如)는 바로 여래(如來)의 여(如)자로서 진리를 뜻한다.

 

   삼라만상의 살아 있는 모든 것을 중생(衆生)이라고 한다. 중생의 살아가는 삶의 방식이 여섯 가지인데, 이를 육도(六道)라고 한다.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 수라(修羅), 사람, 천상(天上, 하늘)이 육도다. 이것은 각자 따로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삶 속에 머물면서 중생의 마음 따라서 육도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이다.

 

   헌데 마음을 갈고 닦고 또 닦아 맑아지면 여래(如來)의 지경에 이른다. 여래는 「그렇게(tathā 如) 간(gata 去) 이, 그렇게(tathā 如) 도달한(āgata 來) 이」라는 말이다.

 

후기 대승불교에서 여래는 모든 사람에게 내면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본질인 불성(佛性)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됐다. 즉, 깨달음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진여(眞如 tatahta)와 같은 의미로 쓰이게 됐다. 모든 중생은 그러한 여래를 자신 안에 품고 있기 때문에 깨달음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여래는 존재하는 모든 것의 참된 상태로서 말로 형언하기 어려운 궁극적 실재를 지칭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 여래란 아주 여여(如如)한 상태에 있다는 말이다.

 

   진리는 결코 멀고 거룩한 곳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지극히 가까운 우리들 주변에 있다. 그리고 있는 그대로 보라는 ‘여’의 논리는 뒤에 공(空)과 같은 뜻이 오게 된다. 차례대로 관찰해 나아가 보니 모두가 공(空) 아닌 것이 없다. 그리하여 여의 진실은 곧 공의 진실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 학자들은 공이면서 불공(不空), 불공이면서 공이라는 것은 여여(如如)의 뜻과 다름이 없기 때문에 중도(中道)라고도 해석한다.

 

   다음은 당나라 선승 대주 혜해(大珠慧海) 어록집인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여여(如如)란 어떤 것입니까?"

 

    "여여란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이니, 마음이 진여(眞如)인 까닭에 여여라고 하느니라. 과거 모든 부처님들도 이 여여행(如如行)을 행해서 성도하셨고, 현재의 부처님도 이 여여행을 행해서 성도하시고 미래의 부처님도 이 여여행을 행해서 또한 성도하실 것이니, 삼세에 닦아 증(證)한 바의 도(道)가 다름이 없으므로 여여라 함을 알지니라.”

 

   이와 같이 대주 선사는 "여여(如如)란 흔들림이 없다는 뜻이니[是不動] 바로 마음이 진여[心眞如] 그 자체이니 여여라고 명한다[名如如]."라고 했다. 흔들림이 없다는 말은 바로 중심이 잡혔다는 말이다. 중심이 잡혔으니 더 이상 어떤 것에도 마음이 끌려가지 않는다는 말이다. 여여 부동하다는 말이다.

 

   그래서 일체에 무심할 수 있다. 흔들림이 없으려면, 세상 잡사에 무심하려면, 마음에 힘이 있어야 한다. 힘이 없으면 끌려 다니게 돼있다. 세상에는 많은 일들이 일어났다가 사라진다. 이것들은 끊임없이 우리의 관심을 끌어가는 원심력(遠心力)으로 작용한다. 내 안에 구심력(求心力)이 없으면 지속적으로 출몰하는 주변 잡사에 끌려갈 수밖에 없다. 내가 주인이 돼 주도적인 삶을 엮어갈 힘이 없으면 상대에 피동적으로 살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여여 하다는 말은 이미 나에게 힘찬 구심력이 작용한다는 말이다. 지혜를 바탕으로 나의 양심의 명령에 따라 행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 구심력은 바로 마음이 진여(眞如) 그 자체일 때 작동한다. 진여란 바로 깨끗한 마음, 지극히 순수한 마음, 어디에도 묶이지 않으며, 무엇이든지 수용할 수 있는 여유로운 마음이다. 중심이 잡혀 흔들림이 없고 모든 것을 수용할 수 있는 여여 함은 바로 이 진여의 작용을 바탕으로 한다.

 

대주 선사는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가 성취한 해탈은 다른 것이 아니라 바로 어디에도 끌려가지 않는 여여 함을 바탕으로 한 마음의 힘을 통해 얻었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유마경>에 이르기를 ‘모든 부처님들도 또한 같으며 미륵에 이르러도 또한 같으며, 내지 일체 중생에 이르러도 모두 같다. 왜냐하면 불성[진여]이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끊어지지 아니하고 항상 그대로 있는 성품이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심불급중생 차시무차별(心佛及衆生 此是無差別)」이다. 근본 마음 즉, 불성은 부처나 중생을 구분함이 없다. 늘 우리와 함께 작용하며 우리의 마음 그릇에 따라 어김없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상주법계(常主法界)하는, 즉 이 우주에 가득해 불생불멸(不生不滅)하는 불성(佛性)의 빛이 내 안에 원만히 작용하는 만큼 우리에게는 힘이 생긴다. 그리하여 구름에 달 가듯 그리고 강물이 흘러가듯 여여 한 삶을 살아 갈 수 있다.

 

   성철(性徹) 큰 스님께서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는 화두 아닌 화두를 세상에 던졌다. 많은 사람들이 의아해 했다. 왜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일까? 삼천 배를 성공한 몇몇 언론인들이 큰스님께 여쭈었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하는 말씀을 하셨는데 그 깊은 뜻이 무엇입니까?”

 

   성철 큰 스님이 답하셨다.

 

   “이 사람들아, 산이니까 산이라 하고 물이니까 물이라고 하지. 그럼 당신들은 산을 뭐라고 부르는고? 물을 뭐라고 부르는고?”

 

   큰 스님은 분별과 시비를 넘어서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볼 줄 아는 안목을 강조한 것이다. 그 어떤 것도 차별하거나 분별하지 않고 여여 한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라는 말이다. 여실지견(如實知見)하라는 말이다.

 

   <법화경> '수량품'에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여래여실지견삼계지상 무유생사 약퇴약출 역무재세급멸도자 배실배허 비여비이불여 삼계견어삼계(如來如實知見三界之相 無有生死 若退若出 亦無在世及滅度者 非實非虛 非如非異 不如三界 見於三界)」

 

   내용을 압축해 설명하면, “여실히 삼계의 상을 지견 또는 관찰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즉, 여실지견(如實之見)이 있는 곳에 깨달음, 해탈이 있다는 뜻이다. 여실지견이란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대로 본다는 뜻이다. 여실지견의 입장에서 보면 일체법은 유(有)가 아니면서 유이고, 유이면서 유가 아니다. 그래서 유에도 주(住)하지 아니하고 무(無)에도 주하지 않는다고 영명 연수(永明延壽, 904∼975) 선사는 말했다.

 

   <종경록(宗鏡錄)>제30권에서 “유여여급여여지독존(唯如如及如如智獨存)”이라 했다. 여든 공이든 적(寂)이든 그것만으로는 존재할 수 없는데 무엇인가 그것을 아는 놈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아는 놈이 지(智)라는 것이다. 이 지(智)가 있어야 여여가 인정된다. 이것을 여여지(如如智)라고 한다. 하지만 이 여여지는 여여 밖에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여여와 여여지는 또 일여의 체중(體中)으로 거두어지는 것이 아니면 안 된다. 여가 곧 여지이고 여지가 곧 여인 것이다.

 

   그리고 <금강경>에 "불취어상 여여부동(不取於相 如如不動)"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는 무상(無相)과 여여부동(如如不動)을 강조하는 말이다. 그리하여 “상을 취함이 없이, (만법은 무상하므로 관념, 사견 등에) 물들지 말고 여법(如法)하게 설해야 한다.”라고 했다. 듣는 상대가 귀하거나 천하거나, 남자든 여자든, 그런 모양에 마음을 두지 말고, 진리의 모습을 드러냄에 있어서 항상 진리의 자리에 머무름 없이 머무르되 어떤 경우라도 흔들리지 않음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그것 하나만 돼도 보통 사람하고는 달라질 수 있다. 여여 하게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선의 기본이라 하지만 이것을 학문으로만 알고 실천하지 않으면 그냥 스쳐가는 바람과 다를 바 없다. 산에서 시냇물 흐르는 좋은 소리를 듣고 집에 오자마자 남편을 본 순간 화가 난다면 아직 갈 길이 한참 멀다. 여여 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자신이 화가 났다거나 짜증 날 때 상대방 허물을 보기 전에 내 허물을 먼저 봐야 한다. 그래야 한 발자국이라도 부처님 마음에 다가가게 된다.

 

   1992년 무렵 대중가요로 히트한 '타타타'가 바로 이 '여여'라는 뜻이다.

 

     "네가 나를 모르는데

      난들 너를 알겠느냐

      한 치 앞도 모두 몰라

      다 안다면 재미없지

      바람이 부는 날은 바람으로

      비 오면 비에 젖어 사는 거지

      그런 거지"


있는 그대로 보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말이다. 여여부동하고, 여실지견(如實知見)하라는 말이 함축돼 있다.

 

글의 출처: http://blog.daum.net/511-33/12369987

참고자료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3558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9188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