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 글 모음

소설가 김훈 에세이 ‘죽음의 고찰’

반응형

 

 

【팔십을 바라보게 되니까 오랫동안 소식이 없던 벗들한테서 소식이 오는데, 죽었다는 소식이다. 살아 있다는 소식은 오지 않으니까, 소식이 없으면 살아 있는 것이다. 지난달에도 형 뻘 되는 벗이 죽어서 장사를 치르느라고 화장장에 갔었다. 화장장 정문에서부터 영구차와 버스들이 밀려 있었다.

 

관이 전기로 속으로 내려가면 고인의 이름 밑에 ‘소각 중’이라는 문자 등이 켜지고, 40분쯤 지나니까 ‘소각 완료’, 또 10분쯤 지나니까 ‘냉각 중’이라는 글자가 켜졌다. 10년쯤 전에는 소각에서 냉각까지 100분 정도 걸렸는데, 이제는 50분으로 줄었다. 기술이 크게 진보했고, 의전 관리하는 절차도 세련되었다.

 

‘냉각 완료’가 되면 흰 뼛 가루가 줄줄이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서 나오는데, 성인, 한 사람 분이 한 되 반 정도였다. 직원이 뼛가루를 봉투에 담아서 유족들에게 하나 씩 나누어 주었다. 유족들은 미리 준비한 옹기에 뼛가루를 담아서 목에 걸고 돌아갔다.

 

원통하게 비명횡사한 경우가 아니면, 요즘에는 유족들도 별로 울지 않는다. 부모를 따라서 화장장에 온 청소년들은 대기실에 모여서 아이스크림을 먹고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고 있었다. 제 입으로 “우리는 호상(喪)입니다”라며 문상객을 맞는 상주도 있었다.

 

그날 세 살 난 아기가 소각되었다. 종이로 만든 작은 관이 내려갈 때, 젊은 엄마는 돌아서서 울었다. 아기의 뼛가루는 서너 홉쯤 되었을 터이다. 뼛가루는 흰 분말에 흐린 기운이 스며서 안개 색깔이었다. 입자가 고와서 먼지처럼 보였다. 아무런 질량감도 느껴지지 않았다.

 

물체의 먼 흔적이나 그림자였다. 명사라기보다는 ‘흐린’이라는 형용사에 가까웠다. 뼛가루의 침묵은 완강했고, 범접할 수 없는 적막 속에서 세상과 작별하고 있었다. 금방 있던 사람이 금방 없어졌는데, 뼛가루는 남은 사람들의 슬픔이나 애도와는 사소한 관련도 없었고, 이 언어도단(言語道斷)은 인간 생명의 종말로서 합당하고 편안해 보였다.

 

죽으면 말 길이 끊어져서 죽은 자는 산 자에게 죽음의 내용을 전할 수 없고, 죽은 자는 죽었기 때문에 죽음을 인지할 수 없다. 인간은 그저 죽을 뿐, 죽음을 경험할 수는 없다. 화장장에 다녀온 날 저녁마다 삶의 무거움과 죽음의 가벼움을 생각했다. 죽음이 저토록 가벼우므로 나는 남은 삶의 하중을 버티어낼 수 있다.

 

뼛가루 한 되 반은 인간 육체의 마지막 잔해로서 많지도 적지도 않고, 적당해 보였다. 죽음은 날이 저물고, 비가 오고, 바람이 부는 것과 같은 자연현상으로, 애도할 만한 사태가 아니었다. 뼛가루를 들여다보니까, 일상생활하듯이, 세수하고 면도를 하듯이, 그렇게 가볍게 죽어야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돈 들이지 말고 죽자, 건강보험 재정 축 내지 말고 죽자, 주변 사람을 힘들게 하지 말고 가자, 질 척 거리지 말고 가자, 지저분한 것들을 남기지 말고 가자, 빌려 온 것 있으면 다 갚고 가자, 남은 것 있으면 다 주고 가자, 입던 옷 깨끗이 빨아 입고 가자, 관은 중저가가 좋겠지. 가면서 사람 불러 모으지 말자, 빈소에서는 고스톱을 금한다고 미리 말해두자….

 

가볍게 죽기 위해서는 미리 정리해 놓을 일이 있다. 내 작업실의 서랍과 수납 장, 책장을 들여다보았더니 지금까지 지니고 있었던 것의 거의 전부가 쓰레기였다. 이 쓰레기 더미 속에서 한 생애가 지나갔다. 똥을 백자 항아리에 담아서 냉장고에 넣어둔 꼴이었다.

 

나는 매일 조금씩, 표가 안 나게 이 쓰레기들을 내다 버린다. 드나들 때마다 조금씩 쇼핑백에 넣어서 끌어낸다. 나는 이제 높은 산에 오르지 못한다. 등산 장비 중에서 쓸 만한 것들은 모두 젊은이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나머지는 버렸다. 책은 버리기 쉬운데, 헌 신발이나 낡은 등산 화를 버리기는 슬프다.

 

뒤축이 닳고 찌그러진 신발은 내 몸뚱이를 싣고 이 세상의 거리를 쏘다닌, 나의 분신이며 동반자이다. 헌 신발은 연민할 수밖에 없는 표정을 지니고 있다. 헌 신발은 불쌍하다. 그래도 나는 내다 버렸다.

 

뼛가루에 무슨 연민이 있겠는가. 유언 하기는 쑥스럽지만 꼭 해야 한다면 아주 쉽고 일상적인 걸로 하고 싶다. “딸아, 잘생긴 건달 놈들을 조심해라.

 

아들아, 혀를 너무 빨리 놀리지 마라.” 이 정도면 어떨까 싶다.

 

오래전에 돌아가신 나의 아버지는 스스로 ‘광야를 달리는 말(!)’을 자칭했다. 아버지는 집 밖으로 나돌면서 평생을 사셨는데, 돌아가실 때 유언으로 ‘미안허다.’를 남기셨다. 한 생애가 4 음절로 선명히 요약되었다.

 

더 이상 짧을 수는 없었다. 후회와 반성의 진정성이 느껴지기는 하지만, 이것은 좋은 유언이 아니다. 이미 돌이킬 수 없이 늦었고, 대책 없이 슬프고 허허로워서 어쩌자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퇴계 선생님은 죽음이 임박하자 “조화(造化)를 따라서 사라짐이여, 다시 또 무엇을 바라겠는가?”라는 시문을 남겼고, 임종의 자리에서는 “매화에 물 줘라.” 하고 말씀하셨다고 제자들이 기록했다. 아름답고 격조 높은 유언이지만 생활의 구체성이 모자란다.

 

내 친구 김용택 시인의 아버지는 섬진강 상류의 산골 마을에서 평생 농사를 지으며 사셨다. 김용택의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 김용택을 불러 놓고 유언을 하셨는데, “네 어머니가 방마다 아궁이에 불 때느라고 고생을 많이 했다. 부디 연탄보일러를 놓아드려라.”라고 말씀하셨다.

 

(나는 이 이야기를 김용택의 어머니 박덕성 여사님한테서 직접 들었다. 몇 년 후에 김용택의 시골집에 가봤더니 그때까지도 연탄보일러를 놓지 못하고 있었다.)

 

나의 아버지, 퇴계 선생님, 김용택의 아버지, 이 세 분의 유언 중에서 나는 김용택 아버지의 유언이 최고라고 생각한다. 이 유언은 건실하고 씩씩하고 속이 꽉 차 있다. 김용택 아버지는 참으로 죽음을 별것 아닌 것으로, 아침마다 소를 몰고 밭으로 나가듯이 가볍게 받아들이셨다.

 

그리고 숨을 거두는 순간에도 인생 당면 문제가 무엇인 지를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이 정도 유언이 나오려면, 깊은 내공과 오래고 성실한 노동의 세월이 필요하다.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다. 삶은 무겁고 죽음은 가볍다. 죽음과 싸워서 이기는 것이 의술의 목표라면 의술은 백전백패한다.

 

의술의 목표는 생명이고, 죽음이 아니다. 이국종처럼, 깨어진 육체를 맞추고 꿰매서 살려내는 의사가 있어야 하지만, 충분히 다 살고 죽으려는 사람들의 마지막 길을 품위 있게 인도해주는 의사도 있어야 한다. 죽음은 쓰다듬어서 맞아들여야지, 싸워서 이겨야 할 대상이 아니다.

 

다 살았으므로 가야 하는 사람의 마지막 시간을 파이프를 꽂아서 붙잡아 놓고서 못 가게 하는 의술은 무의미하다. 가볍게 죽고, 가는 사람을 서늘하게 보내자. 단순한 장례 절차에서도 정중한 애도를 실현할 수 있다. 가는 사람도 보내는 사람도, 의술도 모두 가벼움으로 돌아가자. 뼛가루를 들여다보면 다 알 수 있다.

 

이 가벼움으로 삶의 무거움을 버티어낼 수 있다. 결국은 가볍다. 나는 행복한 사람으로 보는, 천하를 통일하고 불로장생 살고 싶어 만리장성을 쌓았던 중국의 ‘진시황제나’, 로마의 휴일에 공주 역으로 데뷔하여 오스카상을 탄 아름답고 청순한 이미지의 ‘오드리 햅번’, 권투 역사상 가장 성공하고 가장 유명한 흑인 권투 선수 겸 인권 운동가 ‘무하마드 알리’, 연봉을 단 $1로 정하고 애플을 창시하여 억만장자가 된 ‘스티븐 잡스’, 철권통치로 영원히 북한을 통치할 것 같았던 ‘김일성’, 그들은 모두 이 세상을 떠났다. 재산이 13조로 가만있어도 매달 무려 3천 억 원의 돈이 불어나는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도 병상에 누워있다가 결국 고인이 됐다.

 

이렇게 화려하게 살다가 떠나간 사람 중 누가 부럽습니까? 걸을 수 있고, 먹을 수 있고, 친구들과 대화할 수 있고, 또 카톡도 즐기며, 이렇게 사는 삶이 행복한 삶이 아닐까?

 

세상에는 없는 게 3가지가 있다. ①정답이 없다. ②비밀이 없다. ③공짜가 없다. 그리고 죽음에 대해 분명히 알고 있는 것 3가지가 있다. ①사람은 분명히 죽는다. ②나 혼자서 죽는다. ③아무것도 가지고 갈 수 없다.

 

또 죽음에 대해 모르는 것 3가지 있다. ①언제 죽을지 모른다. ②어디서 죽을지 모른다. ③어떻게 죽을지 모른다. 그래서 항상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모든 사람이 태어나는 방법은 거의 비슷하지만, 그러나 죽는 방법은 천차만별하다. 그래서 인간의 평가는 태어나는 것보다 죽는 것으로 결정된다.

 

내가 세상에 올 땐 나는 울었고, 내 주위의 모든 이들은 웃었다. 내가 이 세상을 떠나갈 땐, 사람들이 아쉬워 우는 가운데, 나는 웃으며 홀홀히 떠나가자.】

 

글 출처 : 뉴스프리존 '죽음의 고찰'

 

 

김훈 작가

 

 

반응형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