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서 주의력은 새로운 사치품으로 그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다. 과거의 사치품이 귀금속, 고가 의류 등 희소한 물질적 자원의 독점을 통해 과시되었다면, 정보 과잉 시대의 사치는 가장 희소하고 재생 불가능한 자원, 즉 개인의 주의력을 어떻게 배분하고 '낭비'하느냐로 재정의된다. 주의력은 한정된 생명의 시간과 직결되기에, 그 가치는 금전적 가치를 초월하는 수준에 도달했다.
우리는 매 순간 수많은 미끼에 노출되며, 우리의 주의를 '무료'로 제공하라는 끊임없는 요구에 시달린다. 때문에, 주의력을 아무 곳에나 흘려 보내지 않고 의식적으로 지키고 보존하는 행위 자체가 고도의 절제와 인식 수준을 필요로 하는 '주의력 재정 관리'의 영역이 되었다. 진정한 사치는 그 귀한 주의력을 '함부로' 낭비하지 않는 데서 시작된다. 자극적이고 즉각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숏폼 콘텐츠, 피상적인 뉴스 헤드라인, 알고리즘이 짜준 쾌락 회로에 주의력을 '할인'하여 판매하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가장 흔한 '가난'의 표현이다.
반면, 주의력의 낭비, 그 자체가 새로운 사치의 표현이 된다. 여기서의 '낭비'는 비효율성이나 무의미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즉각적인 성과나 효율성이라는 시대적 강박에서 벗어나 여유와 선택의 자유를 만끽하는 행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두껍고 복잡한 논픽션 서적을 끈기 있게 독파하는 행위, 공들여 만든 예술 공연을 처음부터 끝까지 집중하여 관람하는 행위, 혹은 느리고 불편하지만 깊은 사유와 성찰을 요하는 고전적 형태의 미디어에 시간을 할애하는 것은 모두 '나에게는 이 귀한 주의력을 느리고 비효율적인 활동에 투자할 시간적, 정신적 여유가 있다'는 강력한 사회적 신호이다. 이는 마치 고전적 사치품처럼, 돈으로 살 수 없는 '여유와 선택의 자유'를 과시하는 행위와 같다.
주의력을 낭비하는 주체는 세상의 빠른 속도와 강요된 효율성을 거부하고, 자신만의 속도를 지킨다. 이러한 '주의력 사치'의 실현은 결국 타인의 시선이나 알고리즘의 유혹을 벗어나, **자신의 내면적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는 경험에 주의력을 전적으로 쏟아붓는 주체적인 삶의 선언이다. 따라서, 주의력은 단순한 인지 자원을 넘어, 현대인의 삶의 질과 사회적 지위를 규정하는 가장 귀하고 함부로 낭비해서는 안 될 사치품인 것이다. 이 사치품을 어디에, 어떻게 '낭비'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이야말로 21세기의 진정한 자유이자 특권이다.
주의력은 사치품이다
사치품은 특별하다: 희소하고 비싸며, 필요 이상으로 지불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특정 집단 내에서 지위를 부여받게 한다.
사치란 품질이나 적합성, 성능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치는 더 정확한 시계나 더 빠른 프로세서가 아니다. 사치는 타인이 낭비라고 여길 만한 행동을 감당할 수 있다는 표식이다.
버킨백은 사치품이다. 마찬가지로 논픽션 책 한 권을 통째로 읽거나, 공영 라디오 방송을 듣거나, 집에 머물며 무료로 들을 수 있음에도 콘서트에 참석하는 것도 사치품이다.
체크리스트에 체크하는 것 외의 미묘함, 이야기, 경험 등에 우리의 주의를 '낭비'함으로써 우리는 자신과 타인에게 메시지를 전한다. 최적화된 성과나 생존을 넘어선 무언가에 시간을 할당한다는 메시지다.
주의력이라는 사치품을 제공하기로 선택했다면, 그것을 빠르고 편리하게 만들려 할 때 그 가치를 스스로 훼손하는 셈이다.
긱스 뉴스 해설이 더 길다.
주의력은 사치재임 - Attention is a luxury good (seths.blog)
- 주의력(Attention) 은 현대 사회에서 희소하고 값비싼 자원으로, 과거의 사치품과 같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능함
- 사치품(Luxury Good)의 본질은 품질이나 효율성이 아니라, 불필요하게 보일 정도로 시간과 자원을 낭비할 수 있는 여유의 표현임
- Birkin 백, 논픽션 독서, 공영 라디오 청취, 유료 공연 관람 등은 모두 주의력을 '낭비'함으로써 자신의 선택과 여유를 보여주는 예
- 우리는 즉각적인 성과나 효율성 대신, 서사·뉘앙스·경험에 주의를 쏟음으로써 자신에게 ‘나는 여유가 있다’는 신호를 보냄
- 이런 ‘주의력 사치품’을 제공하는 사람(창작자나 매체)은 그것을 빠르고 편하게 만들려 할수록 그 가치가 사라진다는 역설을 강조함
주의력의 사치적 속성
- 사치재(Luxury)는 본질적으로 희소성과 과시성을 통해 가치를 가짐
더 비싸고, 덜 실용적일수록 ‘불필요한 여유’를 드러내는 신호로 작용함
- 주의력도 같은 메커니즘을 따름
한정된 시간 속에서 무엇에 집중하느냐가 곧 사회적 신호로 작용함
즉, ‘주의를 어디에 쓴다’는 것은 돈을 어디에 쓰느냐보다 강한 정체성 표현이 됨
‘낭비’의 미학
- Birkin 백을 사는 행위처럼, 시간을 비생산적 활동에 쓰는 행위가 새로운 사치의 형태로 등장함
예: 논픽션을 끝까지 읽기, 라디오 생방송 청취, 무료로 들을 수 있는데도 공연장에 가는 행동 등
- 이런 ‘주의의 낭비’는 단순한 소비가 아니라 자신의 가치관을 보여주는 선언적 행위로 해석됨
최적화 사회에 대한 저항
- 오늘날 대부분의 콘텐츠는 ‘효율적 요약’과 ‘즉시성’ 을 목표로 하지만, 이는 사치적 주의력의 반대 방향임
- 저자는 ‘효율성의 시대’에서 느림과 몰입이 오히려 희소한 가치로 변했다고 지적함
즉, ‘빠른 요약’보다 ‘깊은 몰입’이야말로 사치의 상징
창작자에게의 역설적 조언
- 만약 당신이 사치품으로서의 콘텐츠, 즉 ‘주의력을 사치스럽게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면, 그것을 빠르고 편리하게 만들려는 시도는 그 가치를 스스로 파괴하는 일임
- 진정한 사치품은 불편함, 느림, 그리고 낭비의 여유 속에서만 의미를 가짐
시사점
- 현대의 정보 과잉 사회에서 ‘주의력’은 새로운 사회적 자본으로 부상함
- ‘빠름’과 ‘생산성’이 당연한 시대일수록, 느림과 집중은 사치이자 정체성의 표현이 됨
- 개인과 창작자 모두, 무엇을 ‘낭비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를 스스로 결정해야 함
'바른 생각 바른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똑똑한 것보다 친절한 것이 훨씬 더 어렵다 (0) | 2025.10.13 |
---|---|
단어 하나, 시선 하나도 중력을 가지고 있다 (0) | 2025.10.13 |
성공한 기업은 모두 비슷하고, 실패한 기업은 이유가 제각기 다르다. (0) | 2025.10.13 |
엄마와 아들에게 남은 시간은 점점 줄고 있다 (0) | 2025.10.13 |
내가 도망친 모든 것들에 축복과 행운이 가득하길 빈다 (0) | 2025.09.26 |
사람은 누구나 갑작스럽게 죽는다 (0) | 2025.09.26 |
존재하지 않는 검은 꽃 (0) | 2025.09.18 |
새가 아무리 많아도 한 마리씩, 한 마리씩 (1) | 202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