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두이노우노 R4

아두이노 메가 보드 설계시 주의 사항

반응형

 

아두이노 메가 2560 - SPI, I2C 연결 주의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통신

 

아두이노와 함께 사용하는 모듈 중 SPI통신을 사용하는 것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SPI통신은 모듈 간의 통신 프로토콜 중의 하나입니다.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듈을 보드의 아무 핀에나 연결해서는 안됩니다. SPI통신은 네 가닥의 선을 사용하는데, 아두이노 우노의 경우 10~13번 핀에 연결해야 합니다.

 

 

아두이노 메가에서도 똑같은 위치에 있는 10~13번 핀에 SPI통신 기능이 만들어져 있으면 좋겠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다른 핀에 만들어져 있습니다.

 

10~13번 핀에 보면 "SPI is not here"이라는 문구가 보이시나요?

 

 

대신 오른쪽 하단을 보면 50~53번 핀에 SPI통신을 위한 핀들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SPI통신을 사용하는 모듈은 이 핀에 연결해야 합니다.

 

I2C통신

 

사실 SPI통신 외에도 주의해야 할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I2C통신인데요, I2C통신도 SPI통신과 마찬가지로 통신 프로토콜 중에 하나입니다. 그런데 SPI통신과는 다르게 두 개의 핀(SDA, SCL)을 사용합니다.

 

위의 아두이노 우노 그림을 보면 A4와 A5에 I2C통신 기능이 연결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아두이노 메가에는 20번과 21번 핀에 I2C통신 기능이 만들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I2C통신을 사용하는 모듈을 아두이노 메가에 연결할 때는 20, 21번 핀에 연결해야 합니다.

 

위에서 말한 두 가지만 주의하면 아두이노 우노와 아두이노 메가를 자유롭게 바꿔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더욱 좋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