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른 생각 바른 글

日暮途遠 일모도원 : 해는 지는 데 갈 길은 멀구나.

반응형

 

日暮途遠 일모도원 

날 일, 저물 모, 길 도, 멀 원

해는 지는 데 갈 길은 멀구나.

할 일이 많은데 사소한 일 따위에 신경쓰느라 중요한 일을 그르치기 싫다는 뜻이다. 다른 말로 말하면 "닥x"

 

 

 

'사기' 오자서 열전에서 유래한 고사성어.

직역하면 해는 지는데 갈 길은 멀다는 뜻. 

본래 오자서는 초나라 사람이었다. 초나라 평왕이 간신 비무기의 모함을 믿고 오자서의 아버지와 두 형을 죽이자 오자서는 복수를 결심하며 오나라로 도망쳐 오나라왕 합려의 모사가 되어 합려가 왕이 되는데 공헌했다.

후에 오나라군이 초나라를 습격하여 초나라의 수도 영을 함락시키자 오자서는 평왕의 무덤을 찾아 헤맸고, 평왕의 무덤을 만들다가 무덤의 위치를 안다는 이유로 몰살당한 석공 중 살아남은 한 사람이 오자서에게 평왕의 무덤 위치를 알려주게 되어 무덤을 찾아갔다. 

오자서는 평왕의 무덤을 파헤친 뒤 관을 꺼내서는 "충신과 간신도 구분 못하는 네놈의 눈을 뽑아주마!"라며 두 눈알을 파내고, 평왕의 시체를 꺼내서 쇠몽둥이(鞭)로 300대를 후려치고서야 겨우 그만둘 정도였다.(掘墓鞭屍)(사서마다 다르다. 사마천의 사기나 사마광의 자치통감에서 300대, 십팔사략이나 기타 사서에서는 300 ~ 500대)

한편, 오자서의 절친한 친구였던 신포서는 초나라를 구하기 위해 다른 나라에 가 있다가 오자서가 평왕의 시체를 꺼내서 매질했다는 소식을 듣고 경악하여 편지를 보냈다. "자네의 복수는 너무 지나치지 않는가!"라고 꾸짖는 편지를 보냈다. 편지에 오자서도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해는 지고 갈 길은 멀어, 도리에 어긋난 일을 할 수밖에 없었다[吾日暮途遠 故倒行而逆施之].”

흔히 할 일은 많은데 시간이 없을 때 쓰이는 고사성어다.

하지만 정확한 의미는, 할 일이 많은데 사소한 일 따위에 신경쓰느라(또는 해가 지는 듯한 자연스러운 일때문에) 중요한 일을 그르치기 싫다는 뜻이다.

 

십팔사략 만화
십팔사략 만화
십팔사략 만화

고생을 같이 나누던 사이는 호강을 나누지 못하느니...

 

 

 

반응형

캐어랩 고객 지원

취업, 창업의 막막함, 외주 관리, 제품 부재!

당신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 실패만 반복하는 외주 계약, 아이디어는 있지만 구현할 기술이 없는 막막함.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명확한 학습, 실전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의 부재'에서 시작됩니다.

이제 고민을 멈추고, 캐어랩을 만나세요!

코딩(펌웨어), 전자부품과 디지털 회로설계, PCB 설계 제작, 고객(시장/수출) 발굴과 마케팅 전략으로 당신을 지원합니다.

제품 설계의 고수는 성공이 만든 게 아니라 실패가 만듭니다. 아이디어를 양산 가능한 제품으로!

귀사의 제품을 만드세요. 교육과 개발 실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세요.

지난 30년 여정, 캐어랩이 얻은 모든 것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카카오 채널 추가하기

카톡 채팅방에서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당신의 성공을 위해 캐어랩과 함께 하세요.

캐어랩 온라인 채널 바로가기

캐어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