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한정보제공

통계에 기반한 학습이 중요한 이유

반응형

 

  html 태그(지금 코딩야학 방송을 보는 중이라서 html 태그인데, 다른 공부도 마찬가지)를 공부할 때 모든 태그들을 정리한 표를 보면서 공부하는 방법은 어리석은 방법이라고 한다. 구글에서 750만 개의 모든 index 페이지(홈페이지)를 분석하여 얻은 통계에 따르면 겨우 28개의 태그요소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말하자면 28개의 태그요소만 공부하면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는 이야기다. 참고: https://www.advancedwebranking.com/html/

 

<html> 100%

<head> 100%

<body> 98.9%

<title> 97.3%

<meta> 96.5%

<div> 94.1%

<a> 93.8%

<script> 91.3%

<link> 90.5%

<img> 90.4%

<span> 84.5%

<p> 83.2%

<li> 79.1%

<ul> 78.8%

<style> 76.9%

<br> 71.9%

<h1> 59.6%

<h2> 58.9%

<input> 55.3%

<form> 51.3%

<h3> 49.6%

<iframe> 46.4%

<nav> 45.9%

<strong> 44.8%

<footer> 44.7%

<header> 44.3%

<button> 37.4%

<i> 34.1%


  위 태그요소에 대해 정확히 알면 HTML 태그에 대한 공부는 90% 이상 아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말이다. 이런 학습이 바로 통계에 기반한 공부다.

 

  다른 예를 들면 중국어 공부를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할일은 구글에서 검색엔진에서 아래와 같이 검색하는 일이다. 검색어로 "frequency of chinese words" 라고 입력하여 검색하면 검색결과 아래와 같은 사이트가 나온다. http://lingua.mtsu.edu/chinese-computing/statistics/char/list.php?Which=MO 

 

이미지와 설명 출처 https://opentutorials.org/course/3084/18452

 

  이 사이트는 중국어 1만 단어의 사용빈도순에 따른 랭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등이 누구인가요? 的자입니다. 화학적, 과학적, 프로그래밍적에서 쓰는 적자입니다. 적자 혼자서 무려 4%의 빈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1만 개의 글자 중에서 4%를 쓴다는 것은 엄청난 인기죠. 또 상위 6등까지를 합치면 빈도수가 10.31%입니다.

 

  바로 이런 방법이 "통계에 기반한 학습방법"이다. 사실 쉽고 단순한 것들을 합성해서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수련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다. 이런 방식의 수련을 충분히 한다면 어느 순간 실력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있다. 익숙하게 하는 일이 공부의 전부다. 지름길도 없고, 왕도(王道)도 없다. - 이미지 출처가 글의 시작 -

 

 

 

반응형

캐어랩 고객 지원

취업, 창업의 막막함, 외주 관리, 제품 부재!

당신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 실패만 반복하는 외주 계약, 아이디어는 있지만 구현할 기술이 없는 막막함.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명확한 학습, 실전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의 부재'에서 시작됩니다.

이제 고민을 멈추고, 캐어랩을 만나세요!

코딩(펌웨어), 전자부품과 디지털 회로설계, PCB 설계 제작, 고객(시장/수출) 발굴과 마케팅 전략으로 당신을 지원합니다.

제품 설계의 고수는 성공이 만든 게 아니라 실패가 만듭니다. 아이디어를 양산 가능한 제품으로!

귀사의 제품을 만드세요. 교육과 개발 실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세요.

지난 30년 여정, 캐어랩이 얻은 모든 것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카카오 채널 추가하기

카톡 채팅방에서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당신의 성공을 위해 캐어랩과 함께 하세요.

캐어랩 온라인 채널 바로가기

캐어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