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Big Data)와 의료 보건 산업 - 3. 국내 빅데이터 활용사례
빅데이터(Big Data)와 의료 보건 산업 - 3. 국내 빅데이터 활용사례 ◉ 공공 부문에서는 최근 의료 관련 단일 보험자로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보험료, 진료내역, 출생 등 8,000억 건이 넘는 데이터 공개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짐 - 최종 표본추출 대상 4,660만 명 중 약 100만 명(2.2%)의 표본을 추출하여 표본 코호트 DB를 구축 및 희귀질병, 검진 DB는 전수 DB를 구축하였으며 향후 공개 범위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질예정임 - 이와 같은 DB는 대표성, 지속성, 포괄성, 완결성을 감안하여 구축되며 일반화된 자료, 장기간 관찰이 필요한 연구가 가능한 자료, 사회경제적 변수들이 포함된 자료 등의 특성을 지님3) - 다만 건강보험 데이터의 한계로 비급여 항목이 포함되지 못하고 포괄수..
데이터에서 의사결정:빅 데이터를 위한 가치사슬
헬스케어, 교통, 재무, 에너지, 자원소비, 환경적 지속성, 국토방위와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여러 가지 이슈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이 필요하고, 이에 더하여, 적절한 품질과 더불어 솔루션의 제공도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위한 기반 기술들과 날이 갈수록 진화하고 있는 사용자 요구사항은 정보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용량과 다양성을 부각시키고 있고, 데이터는 여러 가지 복잡한 소스로부터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대한 산출물을 도출하고자 할 때, 기술적 측면과 이해관계자 측면에서 모두 기업들은 원시 데이터를 양질의 데이터로 변환시켜야 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어려움은 보다 유용한 정보로 자동적으로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