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치하문 不恥下問
과학이란 무엇인가? 고전역학 1편 (KAIST 김갑진 교수의 물리학 특강 1/8)
불치하문(不恥下問) 不 : 아닐 불, 恥 : 부끄러울 치, 下 : 아래 하, 問 : 물을 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게 부끄럽지 않다.
모르면 누구에게도 물어야 한다는 뜻
-<논어(論語)>
자공(子貢)이 스승 공자에게 위(衛)나라 대부인 공문자(孔文子)의 시호(諡號)가 어떻게 해서 ‘문(文)’이 되었는지를 물었다.
공자가 답했다.
“공문자는 민첩해서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그런 까닭에 시호를 문이라 한 것이다(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文也).”
공자의 학문 자세를 엿볼 수 있는 대목으로 <논어(論語)> 공야장편에 나오는 얘기다.
불치하문(不恥下問)은 글자 그대로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아무리 지위가 낮거나 못난 사람일지라도 자기가 모르는 것을 알 수 있으니 묻는 것을 주저하고 수치스럽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
공자가 관직에 있을 때 종묘(宗廟)에서 제사를 모시는 일이 있었다. 공자는 제사를 지내면서 제물의 위치 등을 두루두루 종묘지기에게 물었다. 집에 돌아온 공자에게 제자들이 물었다.
“예(禮)로 말하면 스승님을 따를 사람이 없는데 어찌 종묘지기에게 그리 물으셨는지요.”
공자가 답했다. “종묘에서는 그게 예니라.” 공자가 왜 대인(大人)인지를 보여주는 장면이다.
공자천주(孔子穿珠)라는 말이 있다. 공자가 구슬을 꿴다는 뜻으로,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게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는 의미다. 공자가 실에 구슬 꿰는 법을 몰라 바느질하는 아낙네에게 물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공자는 아낙네의 말을 듣고 개미 허리에 실을 맨 뒤 구슬 구멍 반대쪽에 꿀을 발라 냄새를 맡은 개미가 구멍을 지나가도록 해 구슬을 뀄다고 한다.
삼인행 필유아사(三人行 必有我師). 역시 공자의 말이다. 셋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현자(賢者)는 우자(愚者)에게서도 배우지만, 우자는 현자에게서조차 배우지 못한다. - 글 참고, 생글생글



'바른 생각 바른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아름다운 코드가 무어 그리 중요한가? (1) | 2024.01.31 |
|---|---|
| 당장 써먹는 AI 프롬프트 사전 설명 자료 (1) | 2024.01.30 |
| 소풍 온 것처럼 산다. 장난처럼 산다. 겁 없이 지낸다. (2) | 2024.01.30 |
| '당장 써먹는 AI프롬프트 사전' 출간 안내 (3) | 2024.01.26 |
| 의미하는 것을 말하고, 말이 의미하도록 한다. (0) | 2024.01.19 |
| 출판 편집 도서 대출 (1) | 2024.01.16 |
| AI 시대, 올 것이 왔다. 태연한 척 한다. (1) | 2024.01.16 |
| 글쓰기에 좋지 않은 습관과 알아두면 좋은 스타일 (1) | 2024.01.15 |
취업, 창업의 막막함, 외주 관리, 제품 부재!
당신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 실패만 반복하는 외주 계약,
아이디어는 있지만 구현할 기술이 없는 막막함.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명확한 학습, 실전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의 부재'에서 시작됩니다.
이제 고민을 멈추고, 캐어랩을 만나세요!
코딩(펌웨어), 전자부품과 디지털 회로설계, PCB 설계 제작, 고객(시장/수출) 발굴과 마케팅 전략으로 당신을 지원합니다.
제품 설계의 고수는 성공이 만든 게 아니라 실패가 만듭니다. 아이디어를 양산 가능한 제품으로!
귀사의 제품을 만드세요. 교육과 개발 실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세요.
지난 30년 여정, 캐어랩이 얻은 모든 것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귀사가 성공하기까지의 긴 고난의 시간을 캐어랩과 함께 하세요.
캐어랩